• 제목/요약/키워드: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8초

조직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장준호;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9-44
    • /
    • 2021
  • 최근 비윤리적인 친조직 행태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조직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함과 동시에 조직 동일시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이론과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와 전남지역 제조업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 동일시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은 비윤리적인 친조직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조직 동일시와 비윤리적인 친조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의 의의 및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직지원인식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있어서 심리적 특권의식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원종하;이은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98-617
    • /
    • 2020
  • 많은 기업에서 조직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에 따른 기업의 피해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피해규모의 크기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상황으로, 조직 관리 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리 방안과 실질적인 원인이 되는 변인을 규명하고,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을 줄여주는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근간으로 하는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조직지원인식과 심리적 특권의식에 주목하고, 이들 변인 간의 반응 메커니즘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노동참여 인구의 연령이 밀레니엄세대(1978년 이후세대) 혹은 Y세대라고 불리는 이들이 노동시장에 대거 참여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들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조직 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특권의식이 조직지원인식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밀레니얼세대에 해당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유효한 185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에 심리적 특권의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 심리적 특권의식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조직시민행동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키아벨리즘의 조절효과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chiavellism)

  • 송기륭;김경석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5-216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considering two sub-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ch as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 and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achiavellism.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269 sample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who are working for Korean companies. To examine the hypotheses,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 First,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on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but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Second, same with the previous results, machiavellism only had it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not on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 The moderating effect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lth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are studied many times, but there is no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ncepts. these two concepts share the figure that these behaviors are pro-organizational. The onl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s ethical or not. So,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machiavellism. In doing so, this study provided novel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ers of this filed.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 Organizational Behavior: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의연;전정호;이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87-510
    • /
    • 2019
  •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갖고 있는 양면성에 초점을 맞추어,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열의, 조직몰입,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565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는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으나, 조직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이중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며,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성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 내 구성원의 인지, 정서, 태도, 행동의 과정을 살펴보고, 다시 한 번 정서사건이론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행동패턴이 사회교환이론에 의해 규명되어진다는 점을 밝히는데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조직차원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 및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조직성과를 제고하는 동시에 윤리적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조직문화 및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 Park, Jonghy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69-276
    • /
    • 2020
  • 최근 조직에 이익이 되는 비윤리적 행동을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이라 정의하고 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리더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 및 사회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파악하였다. 10개 서울 및 수도권 기업 9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의 발휘가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영향관계의 검증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 발휘의 의도치 않은 부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제고 및 효과적인 윤리적 리더십 발휘를 위한 방안,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동일시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이강민;주시각;전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8
    • /
    • 2016
  •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동일시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개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229명이 제출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사용했고 구조 방정식 분석을 사용해 가설을 검증했다. 설문 조사가 갖는 동일 방법 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고 전산화된 설문지를 사용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 동일시에 의해서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동일시를 통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