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rained shear strength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19초

비닐하우스 기초 토양의 다짐률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 특성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Surface Soil Beneath Greenhouse Varying Compaction Rate)

  • 임성윤;허기석;곽동엽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6호
    • /
    • pp.17-26
    • /
    • 2021
  • Greenhouses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uplift pressure from strong wind, for which rebar piles are often installed near the greenhouse to resist the pressure. For the effective design of rebar piles,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shear strength of soil on which the greenhouse is constructed. This study experimentally evaluates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beneath the greenhouse. Four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agricultural sites, and prepared for testing with 75, 80, 85, and 90% compaction rates. One-dimensional unconfined compression test (UC), consolidated-undrained triaxial test (CU), and resonant column test (RC) wer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and shear modulus. Generally, the higher shear strength and modulus were observed with the higher compaction rates. In particular, the UC shear strength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200 sieve passing rate. Resulting from the CU test, the sample with the most of coarse soil had the highest friction angle, but the variation is small among samples. Resulting from the CU and RC tests, the ratio of maximum shear modulus with the major principle stress at failure was the higher at the finer soil. The ratio was two to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ratio from the standard sand. This indicates that the shear strength is lower for the fine soil than the coarse soil at the same shear modul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estimation of the pull-out strength of the rebar pile against the uplift pressure.

압밀응력비에 따른 낙동강모래의 비배수전단거통 특성 (Variation of Undrained Shear Behavior with Consolidation Stress Ratio of Nakdong River Sand)

  • 김영수;정성관;송준혁;정동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3-9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을숙도에 분포하는 0.558%의 세립분을 함유한 자연 사질토 지반에 대하여 느슨, 중간, 그리고 조밀한 지반 상태를 재현하여 초기정적전단응력의 영향을 정적 및 동적 시험을 통해 응력경로와 과잉간극수압 소산 및 잔류변형 거동을 규명하고, Bolton 이론에 의거한 파괴시 최대 유효마찰각을 상대밀도에 의한 영향과 구속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파괴선과 상전이점의 거리는 초기전단응력이 증가할수록 가까워지고, 느슨한 모래의 경우 그 영향이 커서 조밀한 모래의 응력경로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압밀응력비 조건이 1.4에서 1.8로 변함에 따라, 상대밀도의 증가와 함께 보다 큰 액상화 저항강도를 보이고 조밀한 상대밀도 조건에서는 유사한 CSR값을 보였다.

강도증가율을 고려한 연약점토지반 위의 성토의 안정해석 (Stability Analysis of Embankment on Soft Clay considering the Rate of Strength Increase)

  • 임종철;강연익;공영주;유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7-67
    • /
    • 1999
  • 연약점토지반 위의 성토사면에 대해 안정해석을 수행할 경우, 종래에는 해석의 간편성 때문에 하중재하 형태를 순간재하로 가정하고, 점토층 깊이에 대해 평균적인 비배수전단강도$(s_u)$를 적용하여 해석해 왔다. 그러나 실제 현장의 하중재하 형태는 성토하중의 점증적 중가와 방치가 단계적으로 반복수행되는 형태이므로 점토지반의 압밀진행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의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압밀 상태인 연약점토지반 위의 점증성토와 방치기간을 고려할 수 있고, 또한 압밀경과시간과 점토지반의 깊이에 따른 강도증가율을 고려할 수 있는 안정해석 프로그램(RSI-SLOPE)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로 가정한 해석단면에 대하여 성토설계를 수행하였고, 한계성토고에 대해서 강도증가율을 고려 않는 종래의 안정해석 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성토설계시 압밀계수$(c_u)$와 배수거리 $(H_{dr})$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도증가율을 고려한 안정해석 프로그램(RSI-SLOPE)을 이용하면 계획된 성토고까지 최소허용안전율을 만족하면서 성토할 수 있는 성토완료기간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성토계획 및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전기 주입에 의한 점성토의 강도증가 특성 (Characteristic of Strength Increase in Clayey Soil by Electrokinetic Injection)

  • 김기년;김종윤;한상재;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10-915
    • /
    • 2005
  • In this study a series of tests(bench scale test) are carried out for increasing in strength of clayey soil by EK-Injection method. In addition, the effects of strength increase in the treated sample are measured by operating the vane shear test device during 25 days at 5 days interval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ground improvement caused by diffusion.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strength increase was developed approximately double to 7 times in comparison to initial shear strength, and outstanding strength increase was created as much as 7 times while injecting the sodium silicate and phosphoric acid in anolyte and catholyte. In addition, the measured shear strength with the influence of diffusion and reduction of water-content had a tendency to converge in constant value in proportion to elapsed time. As a result of this study, strength increment developed by the influence of EK-Injection and diffusion rather than the reduction of water-content were high as 1000% on average

  • PDF

Flat DMT를 이용한 국내 연약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 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stim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by Flat DMT)

  • 변위용;김영상;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03-113
    • /
    • 2004
  •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 시험방법으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flat DMT는 국내 다양한 연약지반에서도 날로 그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DMT 자료 분석을 통한 연약지반의 설계변수 추정 시 사용되는 기존의 상관관계식들은 주로 국외의 자료를 바탕으로 제안된 경험적 상관관계로 이에 대한 적용성 검토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서해안 및 남해안에 위치한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flat DMT 시험을 수행하고 기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실내 시험으로부터 구한 설계변수들과 비교함으로써 기존에 제안된 상관관계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정을 수행하였다.

Probabilistic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on reinforced anisotropic soil slope

  • Halder, Koushik;Chakraborty, Debarghy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1호
    • /
    • pp.15-30
    • /
    • 2020
  • The probabilistic bearing capacity of a strip footing placed on the edge of a purely cohesive reinforced soil slope is computed by combining lower bound finite element limit analysis technique with random field method and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To simulate actual field condition, anisotropic random field model of undrained soil shear strength is generated by using the Cholesky-Decomposition method. With the inclusion of a single layer of reinforcement, dimensionless bearing capacity factor, N always increases in both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analysis. A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undrained soil shear strength increases, the mean N value in both unreinforced and reinforced slopes reduces for particular values of correlation length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or smaller correlation lengths, the mean N value of unreinforced and reinforced slopes is always lower than the deterministic solutions. However, with the increment in the correlation lengths, this difference reduces and at a higher correlation length, both the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an values become almost equal. Providing reinforcement under footing subjected to eccentric load is found to be an efficient solution. However, both the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bearing capacity for unreinforced and reinforced slopes reduces with the consideration of loading eccentricity.

시화호 주변 연약지반 피에조콘계수 산정에 관한 통계적 분석 (Evaluation of Piezocone Factors Applicable to Soft Ground Around Siwha Lake by Statistical Analysis)

  • 정진혁;박수범;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9-100
    • /
    • 2008
  • 국외에서 개발한 상관식이나 도표 등을 활용하여 국내 지반특성을 반영함에 있어 이를 그대로 국내지반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피에조콘계수 활용을 위해서는 국내 지반에 대한 시험결과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피에조콘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시화호 주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피에조콘 관입시험과 비교 분석하고, 비배수전단강도와 콘 관입저항력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피에조콘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 지역에 적합한 피에조콘계수를 재산정해 보았다.

경인지역 연약지반의 피에조콘계수 평가 (Evaluation of Piezocone Coefficient of Soft Grounds in the Areas of Gyeonggi and Incheon)

  • 박수용;김기범;이윤규;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1-49
    • /
    • 2012
  • 경기 서해안 지역인 인천 청라지구 및 송도지구, 경기 안산 시화지구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각 지역에서 수행된 실내시험, 현장베인전단시험과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압축지수의 상관식, 피에조콘계수 산정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액성한계, 소성지수, 함수비, 간극비, 압축지수는 지반심도에 따라 분포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인자들은 상호 관련이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지역에서 실시된 실내시험으로부터 각 지역 연약점토의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각각 상관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베인전단시험과 삼축 압축시험에 의한 비배수전단강도를 기준강도로 하여 경험적 방법에 의해 산정한 피에조콘계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피에조콘계수인 $N_{kT}$를 연구지역의 콘계수를 제안하였다.

국내 점성토 지반의 피에조콘 계수 (Piezocone Factors of Korean Clayey Soils)

  • 장인성;이선재;정충기;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5-24
    • /
    • 2001
  • 피에조콘 관입시험(Piezocone Penetration Test, CPTu)으로부터 점성토의 비배수 전단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피에조콘 계수가 필요하다. 피에조콘 계수는 경험적 방법(기준 시험 방법에 의한 비배수 전단강도와 피에조콘 시험 결과와의 직접 비교에 의하여 결정)에 의해 결정된 값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경험적인 피에조콘 계수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거의 대부분 특정 지역에 대한 값일 뿐 아니라 지반의 공학적 특성이나 지반의 불균질성 등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아직까지 미흡하기 때문에 국내 지반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지 역 총 46회의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현장베인시험 및 실내삼축시험으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와 비교하여 국내 점성토 지반의 경험적인 피에조콘 계수를 산정하였다. 기존 제시 값들과 비교함과 아울러 그 신뢰성을 분석하고, 소성지수와 과압밀비와의 상관성 및 기준 전단시험 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지반 조건에 대하여 얻어진 피에조콘 계수는 평균값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값의 분포 범위가 너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에조콘 계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과압밀비에 따라 구분하여 피에조콘 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 때 필요한 피에조콘 계수를 제안하였다.

  • PD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 Lei, Huayang;Feng, Shuangxi;Jiang, Y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125-140
    • /
    • 2018
  • Tianjin, which is located on the west shore of the Bohai Sea, is part of China's Circum-Bohai-Sea Region, where very weak clay is deposited. From the 1970s to the early $21^{st}$ century, Tianjin marine clay deposits have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geotechnical investigations. Because of these deposits' geological complexity, great depositional thickness, high water content, large void ratio, excessive settlement, and low shear strength,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need to be summarized and evaluated based on various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so that Tianjin can safely and economically sustain more infrastructure in the coming decade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especially its consolidation properties, are summarized, evaluated and discussed. The focus is on establishing correlations between the geotechnical property indexes and mechanical parameters of Tianjin marine clay. These correlations includ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water content and the void ratio, the depth and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the liquid limit and the compression index, the tip resistance and the constrained modulus, the plasticity index and the ratio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In addition, the primary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such as the intrinsic compression line (ICL), sedimentation compression line (SCL), compression index, $C_c$,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C_v$, and hydraulic conductivity change index, $C_{kv}$, are evaluated and discussed. A secondary consolidation property, i.e., the secondary compression index, $C_a$, is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C_a/C_c$ for Tianjin marine clay can be used to calculate $C_a$ in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predi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