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water Communication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4초

수중 무인기의 최적 궤도 이동을 활용하는 계층적 수중 음향 센서 네트워크 구조 (A Hierarchical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Architecture Utilizing AUVs' Optimal Trajectory Movements)

  • 웬티탐;윤석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2호
    • /
    • pp.1328-1336
    • /
    • 2012
  • 수중 음향통신 환경에서는 지상 RF 통신에 비하여 제한된 대역폭, 높은 페이딩효과, 높은 수중음파 전달지연과 같은 제약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수중 음향통신의 제약을 극복하여 효과적인 대규모 수중감시시스템의 구축을 가능케 하는 계층적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구조는 수중센서, 클러스터헤드, 수중/해상 싱크 및 수중무인기를 포함하며, 패킷의 전송성공률을 최대화하고 센서노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수중무인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데이터라우팅을 제공한다. 즉, 클러스터 내부에서 클러스터멤버들은 Tree구조기반 라우팅을 사용하여 클러스터헤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며, 궤도 이동을 하는 수중무인기는 클러스터헤드로부터 병합된 센싱데이터를 수집하고 Store-carry-forward 방식으로 싱크노드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수중무인기의 최장 궤도이동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Integer Linear Programming 기반의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성능분석을 통하여 제안하는 수중센서네트워크 구조가 기존의 Gradient 기반 라우팅과 Geographical Forwarding 방식에 비해 높은 전송성공율과 낮은 전력소모를 획득할 수 있음을 보인다.

수중 통신에 적합한 CSMA기반 매체접근제어 프로토콜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CSMA based MAC protocols for underwater communications)

  • 송민제;장윤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068-1072
    • /
    • 2018
  • 지상의 무선 통신 환경과 비교하여 수중 환경은 전력제한, 긴 전파지연, 낮은 전송율, 큰 전파손실 등 통신에 불리한 많은 제약적인 특성들이 존재한다. 전파의 신호 감쇠가 심하여 상대적으로 전송 손실이 낮은 음파를 이용하여 통신하게 되는데 음파의 수중 속도는 약 1,500m/s로 지상의 전파속도에 비해 매우 느린 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지상 통신을 위해 제안된 기존의 MAC 프로토콜들은 바로 수중 통신에 적용될 수 없고 수중 환경에 적합하게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무선망의 대표적인 CSMA 기반 MAC 프로토콜들에 대해 수중 환경에서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수중통신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 설계를 위한 중요 고려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수중환경에서는 제어 패킷의 개수가 MAC 프로토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수중 통신에 최적인 새로운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는 연구들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색 LED 기반 수중 및 수상-수중 간 광무선 통신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White LED-based Underwater and Surface-to-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손경락;손창우;김성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309-31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백색 LED를 이용한 수중 가시광 통신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아날로그 음성 통신 시스템을 위하여 펄스위치변조 방식이 적용되었으며,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온-오프 키잉 변조 방식이 적용되었다. 시스템은 저가형으로 상용화된 발광소자인 백색 LED와 수광 소자인 실리콘 기반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근거리 수중통신을 위한 트랜시버를 개발하였으며 가시광 통신의 수중 통신 적용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광 감쇠와 산란 등으로 대기 중에서의 통신에 비하여 수중에서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얻었지만 수중통신 채널에 적합한 모뎀 기술이 적용된다면 수중에서 강인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천해 음향 통신에서 이미지 향상을 위한 디노이징 오토인코더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Denoising Autoencoder for Enhancing Image in Shallow Water Acoustic Communication)

  • Jeong, Hyun-Soo;Lee, Chae-Hui;Park, Ji-Hyun;Park, Kyu-Chi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27-329
    • /
    • 2021
  •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channel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multipath, background noise and scattering. Therefore, a transmitted signal is influenced by the sea surface and the sea bottom boundaries, and a received signal shows a delay spread. These factors create a noise in the image and degrade the quality of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model using a denoising auto-encoder used for unsupervised learning. Noise images generated by the underwater multipath channel were collected and used as training data.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as a PSNR parameter that expressed the noise ratio of the two images.

Attention-based for Multiscale Fusion Underwater Image Enhancement

  • Huang, Zhixiong;Li, Jinjiang;Hua, Zh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544-564
    • /
    • 2022
  • Underwater images often suffer from color distortion, blurring and low contrast, which is caused by the propagation of light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being affected by the two processes: absorption and scattering. To cope with the poor quality of underwater images, this paper proposes a multiscale fusion underwater image enhancement method based on channel attention mechanism and local binary pattern (LBP). The network consists of three modules: feature aggregation, image reconstruction and LBP enhancement. The feature aggregation module aggregates feature information at different scales of the image, and the image reconstruction module restores the output features to high-quality underwater images. The network also introduces channel attention mechanism to make the network pay more attention to the channels containing important information. The detail information is protected by real-time superposition with feature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in this paper produces results with correct colors and complete details, and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in quantitative metrics.

블루투스와 연동하는 수중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underwat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nterlinked with bluetooth)

  • 김민수;손경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923-928
    • /
    • 2014
  • 수중통신은 통신채널로서의 물이 가시광 영역을 제외한 전자파 영역에는 본질적으로 전도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공기 중 통신에 비하여 성능이 심각하게 제한된다. 음파통신은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자파에 비하여 음속이 수중에서 매우 느리므로 통신 속도에 제한이 있다. 한편 광무선 통신은 수중 관측이나 해중 모니터링을 위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모선의 통신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는 수중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ED 조명통신 시스템과 블루투스의 인터페이스로 수중-수상 통신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으며, 수중 3 m 거리에서 230.4 kbps 전송속도로 이미지와 문자를 에러 없이 전송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노력은 수중 무선 시스템과 수상에서 모니터링을 위한 모선과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인프라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Underwater Image Preprocessing and Compression for Efficient Underwater Searches and Ultrasonic Communications

  • Kim, Dong-Hoon;Song, Jun-Yeob
    •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 /
    • 제8권1호
    • /
    • pp.38-45
    • /
    • 2007
  • We propose a preprocessing method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from underwater imag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image features. We compared baseline JPEG and wavelet codec methods to determine the method best suited for underwater images.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enhanced the compression ratio and resolution, and provided an efficient means of compressing the images. The wavelet codec method yielded better compression ratios and image resolu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wavelet codec method linked with the proposed preprocess method provides an efficient codec processor and transmission system for underwater images that are used for searches and transmitted via ultrasonic communications.

압전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수중통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of ultrasonic transducer)

  • 김동현;우형관;황현석;진홍범;송준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58-1660
    • /
    • 2000
  • Simple signs were usually exchanged as the means of underwater communications. As people recently, need more informations for underwater activities, necessities of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s exchanging hunman voice ar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ordinary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investigat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 good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by making a basic communication module. The experiment is achieved by applying AM (Amplitude Modulation) which is mainly used for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s and using common ultrasonic transducers. Ultrasonic transducers usually have narrow bandwidth for transducing electrical energy to mechanical energy. For improvement of sound reconstruction, transducers need more bandwidth which covers voice's frequency range, and goof linearity characteristics in this frequency range. As underwater transmissions have many factors to distort signals. Amplitude Modulation is not a proper way for underwater communications. Using digital signal by sampling human voice should be a good way for this systems, because digital communication simplify transmitting signals.

  • PDF

A Multi-hop OFDM Frame Structure for Short-Range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Networks

  • Yu, HaiFeng;Kim, Woon;Chang, KyungHi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809-811
    • /
    • 2015
  •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high data rate services, the multi-hop frame structure is designed for the underwater acoustic (UWA) short-range system which is proposed as a part of ocean surveillance and tracking network (OSTN). Under the measured underwater channel environment, the link-level system performance are also evaluated. Simulation results show not only the packet error rate (PER) comparisons, but the optimal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s for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based short-range UWA communications network.

특성화된 수중음향통신모뎀을 위한 신호처리 모듈 구현 (Signal Processing Module Development for specialized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Modem)

  • 선희갑;박영준;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810-816
    • /
    • 2011
  • 기존의 수중음향통신모뎀은 상용 제품들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수중음향통신모뎀의 기능 및 성능 구현은 가능하지만 개발 시스템을 제품화하기에는 시스템의 크기나 개발 비용 등에서 단일 플랫폼으로의 시스템 구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중음향통신모뎀의 단일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현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호처리 모듈을 TigerSHARC DSP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