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aria Pinnatifida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4초

부산 태종대 굴통머리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rom the Gultongmeori Area, Taejongdae, Busan)

  • 신영도;이정우;최명원 ;임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96-203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ractions from Gultongmeori in Taejongdae, Youngdo, Busan. Based on dry weight,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were 34.98%, 11.55%, 0.43%, 17.82%, and 3.45%,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we used radical scavenging (DPPH and AB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measurement, and DNA oxidation assays.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n-hexane fraction than in other fractions. The n-hexane fraction was more effective at scavenging free radicals than other fractions as assessed using DPPH and ABTS assays (P<0.05). The ROS production assay showed that all sea mustard fractions decreased H2O2 induced cellular ROS production compared to that seen in the control (P<0.05); however, the n-hexane fraction reduced cellular ROS production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other fractions. Furthermore, the n-hexane fraction from Gultongmeori significantly inhibited genomic DNA oxid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sea mustard is associated with its high flavonoid and phenol content. This study proposes that processed food products supplemented with sea mustard can be developed as functional foods to promote health in the local population.

한국산 다시마 및 미역으로 부터 Fucoidan의 추출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도정룡;우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7-236
    • /
    • 1995
  • 국내산 갈조류로부터 생리 기능성이 우수한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다시마와 미역(엽상체와 포자엽 각각)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Fucoidan의 추출 조건은 pH 2.0의 산성 추출액으로 $65^{\circ}C$I에서 1시간 씩 3회 추출을 하였고 cetylpyridinium chloride를 사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부분 정제 fucoidan의 수율은 다시마 $2.71\%$, 미역포자엽 $6.65\%$, 미역 엽상체$0.40\%$였다. 특히 미역포자엽의 수율이 가장 높은 반면에 미역 엽상체는 가장 낮아 부위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DEAE-Sephadex A-25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부분 정제 fucoidan을 분획한 결과 다시마, 미역포자엽 모두 3종의 fraction으로 분획되었고 각 fraction은 전기 영동상에서 2종 이상의 band가 검출되어 불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분획한 주fraction을 다시 알콜 분별 침전법으로 재분획한 결과 다시마와 미역포자엽은 에탄올농도 $60-70\%$에서 침전된 fraction이 cellulose acetate 전기 영동 및 gel filteration chromatography상에서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균일하게 정제된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황산기의 mole 조성비는 다시마, 미역포자엽이 각각 1 : 0.31 : 2.43,1 : 0.87 : 1.99였다. 분자량은 다시마가 31,000, 미역포자엽이 38,000으로 비교적 적었다.

  • PDF

해조류의 유기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rganic Acid in Some Species of Marine Alage)

  • 김영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0-33
    • /
    • 1971
  • 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 in Porphyra tenera, roasted Porphyra tenera and Undaria pinnatifida. 2.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mong three of them, Porphyra tenera, roasted Porphyra tenera and Ucdaria pinnatifida. Butyric, propionic, acetic, fumaric, succinic, lactic, oxalic, malic, citric and unknown two acids were identifled by silica gel colcumn chromatography. 3. All of volatile organic acid, namely butyric, propionic and acetic acid in Porphyra tenera were decreased during the raosting.

  • PDF

미역(Undaria pinnatifida) 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Undaria pinnatifida Water Extract)

  • 정다현;김꽃봉우리;강보경;정슬아;김현지;정희예;박시우;안동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21-225
    • /
    • 2012
  • 미역 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itric oxide(NO) 분비량,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6 (IL-6) 및 IL-$1{\beta}$ cytokine 분비량, RAW 264.7 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의 NO 분비능에 미치는 미역 물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식세포 배양액의 $NO_2{^-}$ 농도를 측정한 결과 NO 분비량이 미역 추출물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첨가 농도에서 TNF-${\alpha}$, IL-6 및 IL-$1{\beta}$ cytokine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IL-6 cytokine의 경우 첨가물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미역 물 추출물 첨가에 의한 TNF-${\alpha}$, IL-6 및 IL-$1{\beta}$ cytokine 및 NO 분비량의 감소가 세포 사멸에 의한 영향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대하여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첨가 농도에서 대식세포 증식능이 control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미역 물추출물은 세포사멸에 의해 cytokine 분비량이 감소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으며, 대식세포 증식능을 증가시켜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추출조건에 따른 해조류의 알긴산 수율과 점도 (Comparison of Alginic Acid Yields and Viscosity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from Various Seaweeds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Undaria pinnatifida))

  • 윤미옥;이승철;임종환;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47-752
    • /
    • 2004
  • HWEM(hot-watele material ), WSA(water soluble alginate), ASA(alkali soluble alginate), AASA(acid alkali soluble alginate)의 네 가지 알긴산 추출방법을 이용해서 다시마(Laminaria religiosa), 미역(Undaria pinnatifida), 톳(Hizikia fusiforme)의 3가지 시료를 가지고 알긴산을 추출하여 수율을 알아본 결과 사용된 시료 중에서 AASA추출방법에 의한 미역에서의 알긴산 함량이 39.6%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WEM은 10.2∼18.6% 정도의 수율로 AASA 방법으로 얻은 수율보다 절반밖에 미치지 못하였다. 제조된 알긴산 분말의 색도는 다시마로부터 WSA추출법을 이용해서 제조한 알긴산의 ΔE값이 20.63으로 가장 밝게 나왔으며 추출에 사용된 모든 시료들에 있어서 WSA추출방법에 의한것이 밝은 색도를 가지며 ASA 추출방법을 이용해서 얻은 알긴산의 색도는 ΔE값이 75.31로 다른 것에 비해 어두운 색의 알긴산이 제조되었다. AASA 추출방법에서 3% $Na_2$CO$_3$ 농도에서 37.1%로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H$_2$SO$_4$의 농도를 0.1, 0.2, 0.4 N로 변화시켜서 추출한 결과는 0.4 NH$_2$SO$_4$에서 34.9%의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톳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점도는 상업용에 비해 훨씬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ASA추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긴산의 점도가 WSA에 의한 것보다 높은 점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 미역귀(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초콜릿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colate with Added Hot Water Extracts of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under Gamma Irradiation)

  • 김다미;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3-109
    • /
    • 2012
  • 미역귀를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을 위해 비조사구와 감마선 50 kGy 조사구의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을 첨가(1, 3, 5%)한 초콜릿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초콜릿의 수분함량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pH는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의 L과 b값은 비조사구 및 조사구에서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성을 보이며 높아졌고, 비조사구보다 조사구에서 경도가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페놀함량에서는 조사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비조사구보다 조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초콜릿의 활성이 결과 냄새와 맛, 달콤함과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조사 1%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았을 때, 감마선 조사 열수추출 분말 1% 첨가의 비율로 미역귀 초콜릿을 제품개발 함으로써 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의 부위별 중성 및 극성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Nutural Lipids and Polar Lipids in the Parts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 최선남;최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3-557
    • /
    • 2000
  •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gamma}$-linolenic acid (18:3, n-6) 및 $\alpha$-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alpha$-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gamma}$-linol 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 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

해조단백질 추출에 관한 연구 3. NaOH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 WEED PROTEINS 3. Extraction of NaOH Soluble Proteins)

  • 이강호;우순임;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0
    • /
    • 1978
  • 식용해조인 둥근돌김(Perphyra suborbiculata), 잎파래 (Enteromorpha linza),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미역 (Undaria pinnatifida, 자연생 및 양식),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쎌만모자반(Sargassum kjellmanianum) 누운첨각(Codium coarctatum)의 NaOH 가용성 단백질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소 즉, 추출용액의 농도, 용매량, 온도, 시간에 따른 조단백질과 순단백질(TCA 불용성 단백질)의 추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전시료가 0.05M NaOH 용액에서 가장 좋은 추출성적을 얻었으나, TCA 불용성 단백질은 $0.01\~0.025M$에서 추출성적이 좋았으므로, 0.025M에서 추출함이 좋을 것 간다. 2. 시료-용매비(w/v)는 건조시료 1g에 대하여 100ml의 용매를 첨가함이 좋은 것 같다. 3. 추출시간은 녹조류는 1시간, 양식미역 2시간, 자연생미역, 쎌만모자반, 모자반은 3시간에 최고의 추출성적을 얻었다. 4. 추출온도는 전시료가 $60^{\circ}C$에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 PDF

Clostridium 종을 이용한 미역으로부터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ABE) 생산 (Acetone, Butanol, Ethanol Production from Undaria pinnatifida Using Clostridium sp.)

  • 권정은;곽승희;김진아;류지아;박상언;백윤서;허아정;김성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6-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역을 이용하여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 효소 당화, 발효과정을 거쳐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실험에 대해 진행하였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에서의 최적 조건은 10%의 slurry, 270 mM의 황산, $160^{\circ}C$에서의 7.5분이었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는 열처리 시간을 줄이고 적은 농도의 황산을 사용해도 더 많은 당과 적은 저해물질을 생성해 낸다는 장점이 있다. 효소 당화에서는 Viscozyme L (${\beta}-glucanase$, Novozymes)을 12 unit/ml으로 처리하는 것이 25.1 g/l로 가장 많은 단당을 생성했다. 발효에서는 C. acetobutylicum KCTC 1724이 비교적 낮은 pH 5.0에서 많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장점이 있었지만 mannitol을 모두 소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고농도의 mannitol 배지에 순치한 C. acetobutylicum KCTC 1724을 사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이 각각 0.99 g/l, 5.62 g/l, 2.44 g/l로 순치하지 않은 C. acetobutylicum KCTC 1724를 이용해 발효했을 때 보다 부탄올은 2.45 g/l, 에탄올은 1.10 g/l 증가했으며 수율($Y_{ABE}$)은 0.24에서 0.37로 증가했다.

감마선 조사가 미역귀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Extraction Yield and Whiten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다미;김경희;성낙윤;정필문;김정수;김재경;김재훈;최종일;송범석;이주운;김진규;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12-7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 평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된 미역귀로부터 추출된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미백활성은 melanin 합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tyrosinase 억제활성과 melanocyte의 melanin 생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방사선의 조사는 선량 의존적으로 조다당의 추출수율을 증가시키고,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alpha}$-MSH로 melanin을 과생성 시킨 B16BL6 melanoma 세포내 melanin 생성 억제 활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마선의 조사는 미백활성을 갖는 미역귀 조다당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며, 미백 산업 분야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