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confined compression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4초

B.G.I 지반보강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of B.G.I)

  • 유남재;서승오;김동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73-80
    • /
    • 2009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ffect of B.G.I (Best Grouting Innovation) method on reinforcing ground. In this thesi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summarize theoretical backgrounds of grouting and to compare the applicability of different grouting methods. Unconfined compression test with specimen prepared by injecting different grouts of B.G.I, S.G.R and L.W methods and by changing the curing time were carried out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initial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mobilized in the early stage. As results of test, the compression strength increases with curing times and specimen prepared with grouts of B.G.I method show greater value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s, the measured values of pH are in the range of 7-10 during tests. In field, preliminary construction to main construction at several site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ground by application of B.G.I method. From the results of permeability test in field, SPT test and phenol reaction test, it was found that N values after grouting are greater than those before grouting and values of permeability in grouted ground is reduced significantly.

  • PDF

Predicting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and split tensile strength of soil-cement via artificial neural networks

  • Luis Pereira;Luis Godinho;Fernando G. Branc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재33권6호
    • /
    • pp.611-624
    • /
    • 2023
  • Soil properties make it attractive as a building material due to its mechanical strength, aesthetically appearance, plasticity, and low cost. However, it is frequently necessary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soil mechanical properties with binders. Soil-cement is applied for purposes ranging from housing to dams, roads and foundation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UCS) and split tensile strength (CD) are essential mechanical parameters for ascertaining the aptitude of soil-cement for a given application. However, quantifying these parameters requires specimen preparation, testing, and several weeks. Methodologies that allowed accurate estimation of mechanical parameters in shorter time would represent an important advance in order to ensure shorter deliverable timeline and reduce the amount of laboratory work. In this work, an extensive campaign of UCS and CD tests was carried out in a sandy soil from the Leiria region (Portugal). Then, using the machine learning tool Neural Pattern Recognition of the MATLAB software, a prediction of these two parameters based on six input parameters was made. The results, especially those obtained with resource to a Bayesian regularization-backpropagation algorithm, are frankly positive, with a forecast success percentage over 90% and very low root mean square error (RMSE).

순환토사의 벤토나이트-폴리머 혼합비에 따른 매립지 차수재 적용성에 관한 연구 (Applicability of Recycled Soil Mixed with Bentonite-Polymer for Waste Landfill Liner)

  • 신은철;이희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63-7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경제적인 매립장 설계를 위해 점토차수재를 순환토사와 벤토나이트-폴리머 혼합 차수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순환토사는 모래가 90.58%이고 세립분이 1.88%이며 입도가 불량한 모래질 흙인 SP를 사용하였다. 순환토사는 벤토나이트를 4%, 6%, 8% 혼합하여 투수실험을 한 후 해성점토에 벤토나이트를 2%, 3%, 4% 혼합한 시료와 비교하였다. 점토는 3%에서 투수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순환토사는 8%에서 투수기준을 만족하였다.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기준에 맞는 시료를 만들기 위해 벤토나이트 혼합비가 4%인 시료를 대상으로 폴리머를 0.16%, 0.24%, 0.28% 혼합하여 투수시험을 하였다. 동일한 혼합비로 일축압축시험을 하여 시방기준에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벤토나이트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투수계수와 일축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폴리머 혼합시 강도는 초기에 증가한 후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폴리머 혼합시 벤토나이트 혼합비를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폐기물매립장 바닥차수재로서 순환토사-벤토나이트-폴리머 혼합시료는 벤토나이트 혼합비 4%, 폴리머 혼합비 0.28%에서 투수계수는 1.0×10-7cm/sec 이하, 일축압축강도는 500kPa 이상을 만족하여 폐기물매립장의 혼합차수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재구성 시료의 일축압축시험에서 유효응력경로를 이용한 원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In-situ Undrained Shear Strength Using Effective Stress Paths of Reconstituted Sample by Unconfined Compression Test)

  • 박성재;오원택;정경환;여주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93-102
    • /
    • 2003
  • 일축압축시험은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점토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c_u$)를 결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구속압이 없는 상태에서 시험이 시행되기 때문에 지중응력 조건을 재현할 수 없고, 또한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강도보다 과소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c_u$를 시료교란에 대해 보정하여 실무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강도 보정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흡수력 측정을 겸한 일축압축시험 만으로 원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이하, 원지반 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완전시료의 이론적 전단강도식(Noorany와 Seed, 1965)을 기본으로 하며, 유효토피압과 일축압축시험의 유효응력거동 분석 결과( $A_f,\phi'$)를 필요로 한다. 특히, 전단저항각($\phi'$)은 일축압축시험의 수정파괴포락선($K_f$) 기울기가 삼축압축시험에 비해 약 1.6배정도 더 크게 평가된다는 시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간단히 유추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해 추정된 원지반 강도는 삼축압축시험(CK$_0$UC)의 비배수 전단강도와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Study of geotechnical properties of a gypsiferous soil treated with lime and silica fume

  • Moayyeri, Neda;Oulapour, Masoud;Haghighi, Al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2호
    • /
    • pp.195-206
    • /
    • 2019
  • The gypsiferous soils are significantly sensitive to moisture and the water has a severe destructive effect on them. Therefore, the effect of lime and silica fume addition on their mechanical properties, when subjected to water, is investigated. Gypsiferous soil specimens were mixed with 1, 2 and 3% lime and 1, 3, 5 and 7% silica fume, in terms of the dry weight of soil. The specimens were mixed at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cured for 24 hours, 7 and 28 days. 86 specimens in the sizes of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test mold were prepared to perform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tests. The results proved that adding even 1% of each of these additives can lead to a 15 times increase i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with untreated specimen, and this increases as the curing time is prolonged. Also, after soak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s stabilized with 2 and 3% lime plus different percentages of silica fume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before soaking. The durability of the treated specimen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oaking. Direct shear tests showed that lime treatment is more efficient than silica fume treatment. Moreover, it is concluded that the initial tangent modulus and the strain at failure increased as the normal stress of the test was increased. Also, the higher lime contents, up to certain limits, increase the shear strength. Therefore, simultaneous use of lime and silica fume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gypsiferous soils.

경량기포토의 압축 및 인장 특성 (Compression and Tensil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ir-Trapped Soil)

  • 이영준;황웅기;윤성규;김종성;최대경;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631-642
    • /
    • 2010
  • This study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and tensile of lightweight air-trapped soils with uniform quality. Previously, EPS blocks are often used as lightweight embankment, but many problems such as the level difference and cracks caused by plastic(creep) deformation occurred in the EPS blocks. So, a new material development is urgent. By means of alternatives, lightweight air-mixed soil using in-situ soil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fields. In comparison with EPS block, lightweight air-mixed soil have less creep deformation in long-time, bu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m are different depending on soils where they are obtained. Therefore,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m is very difficult. In this study,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ir-trapped soil samples are investigated. To do this, the lightweight air-trapped soils are prepared using a manufactured sand with uniform quality. To found out the compression and tensil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ir-tapped soils, unconfined compression test and splitting tensile test are conducted on the specimens prepared with different unit weight, cement-sand ratio and air-pore.

  • PDF

해성점토의 지반 강도정수 상관성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Geotechnical Strength Parameters in the Marine Clay)

  • 허열;권선욱;이처근;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7호
    • /
    • pp.33-43
    • /
    • 2010
  • 한반도 남해안 부산지역의 해성점토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을 사전 파악하고, 지반 강도정수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대형 항만공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자료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해성점토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일분류법으로 ML, MH, CL, CH, ML-CL에 해당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 포함하였으며, SC로 분류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지반강도 특성에 대한 분석은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현장베인시험 결과에 의한 비배수 전단강도, 예민비, 유효마찰각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시 통계분석을 통하여 이상치를 제거하였으며, 또한, 교란도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깊이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동일한 위치에서 수행된 일축 및 삼축압축시험 자료를 분석하여 비배수전단강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심도와 비배수전단강도는 $S_u=0.015148D+0.04624$의 관계를 보이며, 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가 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비배수전단강도의 1.26배 정도 크게 평가되었다.

낙동강유역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of Nak-dong River)

  • 김영수;정우섭;석태용;임안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3-52
    • /
    • 2006
  • 최근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로 인해 낙동강유역의 많은 지역이 재산 및 인명손실을 크게 입고 있다. 이러한 재해 대책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본댐공사시 가물막이댐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CSG공법의 제방축조재료로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낙동강 유역의 하상재료인 빈입도의 모래를 시멘트와 혼합한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유역 2지점의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율을 2~8%까지 변화시키면서 다짐 및 CBR시험, 일축압축시험 그리고 중형삼축시험을 실시하여 시멘트혼합율과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변형에 따른 응력의 특성등을 검토함으로서 제체재료의 적합성 검토, 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준설토를 이용한 경량기포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연구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Foam Soil Consisting of Dredged Soils)

  • 김주철;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09-317
    • /
    • 2002
  • 본 논문은 경량기포혼합토(LWFS)의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는 단위중량의 감소와 압축 강도의 증가를 위하여 연안준설토, 고화제 및 기포를 혼합하여 제작되었다. 초기함수비, 고화제 함유율, 양생조건 및 구속압 등 다양한 조건으로 경량기포혼합토를 제작하여 일축 및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의 실험결과는 동일한 단위중량일 경우 응력-변형 거동과 압축강도는 준설토의 초기함수비보다 고화제 함유율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삼축압축시험에서 응력-변형 관계는 양생조건에 관계없이 변형-연화거동을 나타내었다. 구속압에 따른 응력-변형 거동은 경량기포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와 근접한 구속압을 경계로 다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 200kPa 이상으로 지반개량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량기포혼합토의 배합비는 준설토의 초기함수비 100%~160%와 고화제 함유율 6.6%로 나타났다.

Cemented Sand and Gravel 재료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and Gravel)

  • 김기영;박한규;전제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61-71
    • /
    • 2005
  • Cemented Sand and Gravel(CSG)재료는 댐 수몰지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는 하상자갈과 굴착토를 물, 시멘트와 함께 혼합한 재료를 총칭하는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가물막이댐과 본 댐 축조공사에 CSG 재료를 활용함으로써 댐 축조에 필요한 채석장 개발과 플랜트 건설에 투입되는 제반경비와 시공 공기를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석산개발에 따른 환경훼손을 완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그 활용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SG 재료의 기초적인 강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를 변화시켜 다짐시험, 일축압축시험 그리고 대형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고 단위 시멘트량과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응력-변형특성 등을 검토하였으며 각 인자별 상관식을 제시함으로써 CSG 공법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