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spectrum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34초

아세틸화가 Glycinin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tylation on Conformation of Glycinin)

  • 김강성;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4-720
    • /
    • 1989
  • 콩의 주요 저장 단백질인 glycinin의 라이신 잔기를 적당량의 acetic anhydride를 이용하여 28, 65, 85, 95%로 아세틸화시켰다. 아세틸화에 의한 구조적 변화를 solvent perturbant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자연상태의 단백질에 있어서는 타이로신 잔기의 약 40% 미만이 단백질 표면에 노출되어 있었으나 85% 아세틸화 glycinin에 있어서는 70% 이상이 표면에 노출되어 용매에 대해 접근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second derivative spectroscopy에 의해 서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아세틸화에 의해 타이로신과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이 단백질 표면으로 이동하여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near UV circular dichriosim의 결과 자연상태의 glycinin과 아세틸화가 일어난 glycinin 모두 유사한 모양의 spectra를 나타내었으나 95% 아세틸화 glycinin의 경우에는 tryptophan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Specific viscosity의 경우 아세틸화가 일어날수록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아세틸화에 의해 구형의 glycinin이 변형되어 분자의 부피가 커졌을 뿐 아니라 subunit의 분리에 의해 입자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 PDF

Swallow-Tail Terrylene Bisimide 적색 유기 형광체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allow-Tail Terrylene Bisimide as Organic Phosphor)

  • 정성봉;정연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94-200
    • /
    • 2020
  •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are developed for red organic phosphor because of their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luminous efficiency and high thermal stability. Despite these advantages, they have poor solubi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solvents and short emission wavelength as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ight-emitting diodes (LEDs). In this study, we prepared terrylene bisimide using a coupling reaction and swallow-tail imide group, which has excellent solubility.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swallow-tail terrylene bisimide (9C) were analyzed using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1H-NMR),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UV/Vis spectroscopy,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9C) in the UV/Vis spectrum was 647 nm, and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 was 676 nm. In the TGA, (9C) demonstrated good thermal stability with less than 5 wt% weight loss up to 415℃. In the solubility test, (9C) has a good solubility of more than 5 wt% in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When the compounds (9C) were mixed with PMMA (polymethly methacrylate), the films showed peaks at 680 nm in the PL spectra. The results verify the suitability of (9C) as a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s.

마이크로파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합성 및 그 광학적 특성 (Synthesis of Al-Doped ZnO by Microwave Assisted Hydrothermal Method and its Optical Property)

  • 현미호;강국현;이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55-1562
    • /
    • 2015
  •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독특한 전기 광학적 특성, 높은 표면적 등으로 인해 태양전지, 센서, 광소자 및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다. 금속 산화물 가운데 우수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산화아연은 3.37 eV의 넓은 밴드갭 에너지와 60 meV의 큰 엑시톤 결합에너지를 갖는 n-형 반도체로서 산화아연에 양이온을 도핑하여 전기 광학적 특성을 보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알루미늄이 도핑 된 산화아연을 마이크로파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다. 전구체의 종류와 몰 비 등의 반응 변수를 조절하여 최적의 결정형상과 광학적 특성을 갖는 산화아연을 합성하였으며, 알루미늄을 도핑하여 광학적 특성 변화를 시도하였다. 합성된 입자는 SEM, XRD, PL, UV-Vis 분광기 및 EDS 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광학적, 물리 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Stimulated Emission with 349-nm Wavelength in GaN/AlGaN MQWs by Optical Pumping

  • Kim, Sung-Bock;Bae, Sung-Bum;Ko, Young-Ho;Kim, Dong Churl;Nam, Eun-Soo
    •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9-85
    • /
    • 2017
  • The crack-free AlGaN template has been successfully grown by using selective area growth with triangular GaN facet. The triangular GaN stripe structure was obtained by vertical growth rate enhanced mode with low growth temperature of $950^{\circ}C$ and high growth pressure of 500 torr. The lateral growth rate enhanced mode of AlGaN for crack-free and flat surface was also investigated. Low pressure of 30 torr and high V/III ratio of 4400 were favorable for lateral growth of AlGaN. It was confirmed that the $4{\mu}m$ -thick $Al_{0.2}Ga_{0.8}N$ was crack-free over entire 2-inch wafer. The dislocation density of $Al_{0.2}Ga_{0.8}N$ was as low as ${\sim}7.6{\times}10^8/cm^2$ measured by cathodoluminescence. Based on the high quality AlGaN with low dislocation density, the ultraviolet laser diode epitaxy with cladding, waveguide and GaN/AlGaN multiple quantum well (MQW) was grown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stimulated emission at 349 nm with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1.8 nm from the MQW was observed through optical pumping experiment with 193 nm KrF laser. We also have fabricated the deep ridge type ultraviolet laser diode (UV-LD) with $5{\mu}m-wide$ and $700{\mu}m-long$ cavity for electrical properties. The turn on voltage was below 5 V and the resistance was ${\sim}55{\Omega}$ at applied voltage of 10 V. The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spectrum of UV-LD was also observed from pulsed current injection.

아조벤젠을 함유한 장쇄 지방산 단분자 막의 광이성화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isomerization of Monolayer Film of Long Chain Fatty Acids Containing Azobenzene)

  • 김무군;박태곤;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5-85
    • /
    • 1996
  • The absorption spectra of synthesis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start from p-(p'-hydroxy phenyl azo)-benzoic acid was investigat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y in chloroform solvent at the various temperature. In addition, The pressure-area of the water-air interface was obtained and the LB film was fabricated onto a quartz slide and quartz crystal by conventional Langmuir-Blodgett(LB) method. The UV absorption spectra of Langmuir-Blodgett(LB) film on quartz slide and spectrum of monolayer formed on quartz crystal have been measured.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are induced phtoisomerization by the application of u. 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alternatively the reversibility of phtoisomerization was more clear difference when the number of $C_{n}$ increased but, not so good at $C_{14}-azo$. At the pressure-area isotherms, the value of surface pressure increment were decreased when the number of $C_{n}$ increased. A surface pressure of 20mN/m was obtained as a proper one for a film deposition. The photoisomerization at LB films were induced by application of U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alternatively. So the LB film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has possibility to being applied to functional molecular devices such as photomemory and light switching.

무유화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된 Core/shell 형태 PMMA/CdS 나노입자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Core/Shell PMMA/CdS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urfactant-free Emulsion Polymerization)

  • 윤효정;임영목;심상은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88-192
    • /
    • 2012
  • in-situ 무유화 유화중합 및 후속 CdS 코팅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하여 CdS로 코팅된 PMM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dS/PMMA 나노입자의 크기는 201.7 nm 였으며, TGA 및 원소 분석 결과 10.37 wt%의 CdS를 함유하고 있었다. PMMA 입자 표면에 코팅된 CdS 나노결정의 크기는 3.55 nm였으며 주로 (111) 결정면으로 성장되었다. UV-vis 분석 결과 blue-shifting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CdS/PMMA 하이브리드 입자상태에서의 CdS는 벌크 상태의 CdS가 갖는 2.41 eV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2.70 eV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 양자구속효과에 의하여 기인하였다.

비이온성 고분자의 Iodine 착물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Influence of Surfactant on the Iodine Complex Formation of Some Non-ionic Polymers)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1-1037
    • /
    • 2018
  • 수용성 비이온고분자인 Polyvinylalcohol (PVA),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 cellusoe (HPC)와 iodine과의 착물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odiumdodecylsulfate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이들 사이의 반응을 수행하였다. PVP와 HPC에서 tri-iodide band의 적색 이동에 의하여 착물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PVA-iodine 착물에서는 500 nm 부근에서 고유의 특색있는 띠를 나타내었다. SDS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PVA-iodine 착물의 파괴를 가져왔고, 고유의 푸른색도 사라지게 만들었다. 그러나 SDS 단량체는 PVP, HPC와 iodine의 착물 형성을 도와주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분자 용액에서 겔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n-propanol은 고분자-iodine 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도와주었다. SDS가 있을 때와 없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순수한 HPC와 HPC-iodine 착물을 만들고 이들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Hybrid LED용 유기 형광체로서의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제조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as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

  • 정성봉;정연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86-92
    • /
    • 2019
  • Al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luminance efficiency, they have poor solubi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solubility characteristics, we prepared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1C) and (2C) with swallow-tail substituted imide, which is known to lead to excellent solubility.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1C) and (2C) were analyzed by $^1H-NMR$, FT-IR, UV/Vis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s of (1C) and (2C) in the UV/Vis spectrum were 558 nm and 556 nm,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s were 602 nm and 600 nm, respectively. In the TGA, (1C) demonstrated good thermal stability with less than 5 wt% weight loss up to $242^{\circ}C$. In the solubility test, (1C) and (2C) exhibited solubilities of more than 5 wt% in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dimethylformamide, but not in methanol. When the compounds (1C) and (2C) were mixed with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thin films showed peaks at 679 nm and 677 nm, respectively, in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1C) was found to be a possible candidate as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s.

RF 스퍼터링 및 급속열처리 공정으로 제작한 ZnS:Nd 박막의 구조 및 광학적 특성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ZnS:Nd Thin filmsss Produced by RF Sputtering and Rapid Thermal Annealing Process)

  • 김원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3-240
    • /
    • 2021
  • 다양한 함량으로 네오디뮴이 도핑된 황화아연 박막제작은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를 이용하여 황화아연과 네오디뮴을 동시 증착하여 박막을 제작하였고, 후처리 공정으로 급속열처리를 400℃ 에서 30분간 실시하였다. 다양한 네오디뮴의 도핑 함량(0.35at.%, 1.31at.%, 1.82at.% 및 1.90at.%)을 갖는 ZnS 박막의 구조, 형태,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X-선 회절 패턴은 모든 박막에서 (111)방향의 큐빅 구조로 성장하였다. SEM 이미지와 AFM 이미지를 통해 네오디뮴 도핑 함량에 의한 박막의 표면 및 구조적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EDAX를 통해 다른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Zn, S 및 Nd의 원소만을 확인하였다. UV-vi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제작된 박막의 투과율과 밴드갭을 확인하였다.

형광 단백질 mCherry-I202T의 pH 감응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 Dependent Properties of mCherry Mutant, I202T)

  • 이상민;정민섭
    • 공업화학
    • /
    • 제32권1호
    • /
    • pp.10-14
    • /
    • 2021
  • DsRed에서 유래한 적색 형광 단백질들 중 하나인 mCherry는 GFP와 유사한 3차 구조를 가진 잘 알려진 적색 형광 단백질 중 하나이며, 수소결합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지 않아서 pH 변화에 민감하지 않다. 반면 mCherry의 발색단 근처에서 돌연변이를 야기 시켜 만든 mCherry-I202T는 mCherry 단백질의 202번째 아미노산인 이소루신(Ile)을 트레오닌(Thr)으로 치환함으로써 모체와는 다르게 추가적인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주위 pH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뿐 아니라 적색 편이된 형광을 보였다. 수소결합이 확장된 I202T의 pH 민감성을 검증하기 위해 산성과 염기성 pH 범위에서 I202T의 UV-vis 흡광 스펙트럼 변화와 가역성을 확인하고, 그를 pH sensor에 적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