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 irradiatio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9초

Synthesis of a Triblock Copolymer Containing a Diacetylene Group and Its Use for Preparation of Carbon Nanodots

  • Kim, Beom-Jin;Oh, Dong-Kung;Chang, Ji-Yo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03-107
    • /
    • 2008
  • Carbon nanodots were prepared by the pyrolysis of a triblock copolymer. The triblock copolymer, poly(methyl methacrylate)-b-polystyrene-b-poly(methyl methacrylate) was synthesized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using an initiator containing a diacetylene group. A polymer thin film on a mica substrate was prepared by spin-casting at 2,000 rpm from a 0.5 wt% toluene solution of the triblock copolymer. After drying, the cast film was vacuum-annealed for 48 h at $160^{\circ}C$. The annealed film formed a spherical morphology of polystyrene domains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30 nm. The film was exposed to UV irradiation to induce a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diacetylene groups. In the subsequent pyrolysis at $800^{\circ}C$, the cross-linked polystyrene spheres were carbonized and the poly(methyl methacrylate) matrix was eliminated, resulting in carbon nanodots deposited on a substrate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5 mn.

Hydrothermal Synthesis of Cubic Mesocrystal CeO2 for Visibl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 Yang, Hexiang;Zhou, Mengkai;Meng, Zeda;Zhu, Lei;Chen, Zhigang;Oh, Won-Chu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4-148
    • /
    • 2015
  • Cubic mesocrystal $CeO_2$ was synthesized via a hydrothermal method with glutamic acid ($C_5H_9NO_4$) as a template. The XRD pattern of a calcined sample shows the face-centered cubic fluorite structure of ceri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the selected-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pattern revealed that the submicron cubic mesocrystals were composed of many small crystals attach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orientation. The UV-visible adsorption spectrum exhibited the red-shift phenomenon of mesocrystal $CeO_2$ compared to commercial $CeO_2$ particles; thus, the prepared materials show tremendous potential to degrade organic dyes under visible light illumination. With a concentration of a rhodamine B solution of 20 mg/L and a catalyst amount of 0.1 g/L, the reaction showed higher photocatalytic performance following irradiation with a xenon lamp (${\geq}380nm$). The decoloring rate can exceed 100% after 300 min.

NF-κB 조절을 통한 오매추출물의 항염효과 및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Mechanism of Prunus mume Extract Regarding NF-κB)

  • 서원상;오한나;박우정;엄상용;이대우;강상모
    • KSBB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50-57
    • /
    • 2014
  • NF-${\kappa}B$ is a transcriptional factor which is involved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mmunity, inflammation, and cell survival. Many investigators studied on the mechanism involved in activation of NF-${\kappa}B$ signalling pathway via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of $I{\kappa}B$ regarding skin disease. Some specific molecules including Akt, MEK, p38 MAP Kinase, Stat3, et al. represent convergence points and key regulatory proteins in signaling pathways controlling cellular events such as growth and differentiation, energy homeostasis, and the response to stress and inflammation. Ultraviolet (UV) irradiation has many adverse effects on skin, including inflammation, alteration in the extracellular matrix, cellular senescence, apoptosis and skin cancer. Prunus mume, a naturally derived plant extract, has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as blood fluidity improvement, anti-fatigue action,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hibiting the motility of Helicobacter pyolri. Previous reports on various beneficial function prompted us to investigate UVB-induced or other immunostimulated biological marker regarding P. mume extract. P. mume extract suppresses UVB-induce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mouse skin epidermal JB6 P+ cells. The activation of activator protein-1 and nuclear factor-${\kappa}B$ induced by UVB was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P. mume extract treat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P. mume extracts might be used as a potential agents for protection of inflammation or UVB induced skin damage.

녹차씨 오일이 염색 및 탈색된 모발의 재손상 및 탈색 방지에 미치는 영향 (Damage Prevention Effect of Green Tea Seed Oil on Colored and Decolored Hair)

  • 민명자;최문희;김귀철;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287-294
    • /
    • 2013
  • 염색 및 탈색된 헤어는 일상생활 중의 자외선, 열기구 사용수세 (샴푸)에 의해 재손상되며, 이의 해결을 위해 최근 피부와 두피에 안전한 각종 천연물질의 연구가 활발하다. 이 연구는 녹차씨 오일의 광퇴색 방지와 모발 트리트먼트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러나 녹차의 기능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녹차씨 오일을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및 퇴색 방지의 연구는 미비하다. 염색 및 탈색된 헤어에 녹차씨 오일을 이용한 전처리 트리트먼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장 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고 모발표면을 SEM으로 분석하였으며 색차계를 이용한 모발 광퇴색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모발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측정에서 녹차씨 오일 전처리 시료는 버진헤어, 염색헤어, 탈색헤어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신장율은 염색헤어와 탈색헤어에서 낮아져 염색헤어와 탈색헤어에서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었다. 모발표면을 촬영한 결과 모든 군에서 전처리된 모발 큐티클의 문리가 더 선명하고 코팅효과가 확인되었다. 모발의 광퇴색 값은 열과 수세의 반복 실험에서 전처리된 각 시료 모두 $L^*$, $a^*$, $b^*$값이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 실험에서는 염색과 탈색헤어에서 $L^*$, $a^*$, $b^*$값이 각각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에 의해 녹차씨 오일은 염색 및 탈색모발의 재손상 방지와 열과 자외선에 의한 색상의 퇴색방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미용 실무현장에서 고객의 피부와 두피에 적합한 천연화장품 오일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항산화성 바이오 미네랄 활성수에 의한 항노화 및 미백효과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Efficacy by Antioxidative Mineral-bio Water)

  • 최현경;오명진;허명준;경경환;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09
  •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활성산소종을 형성한다. 이는 피부의 염증 반응을 야기시키며 콜라겐 생성 억제를 통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항산화성 미네랄 바이오 활성수1과 2(MIBA-W1, MIBA-W2)를 이용하여 항염증 및 항노화 기초 효능과 함께 미백효능을 측정하였다. 두 종류 MIBA-W 모두가 UV에 의해 증가된 TNF-${\alpha}$를 상당량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UVB에 의해 감소되는 콜라겐 합성량은 MIBA-W1에 의해 0.01 % 농도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MIBA-W2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MIBA-W2는 ${\alpha}$-MSH로 처리된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MIBA-W2 의 경우 고형분 0.001 % (부피비 5 %)의 농도에서 ${\alpha}$-MSH에 의한 멜라닌의 합성을 ${\alpha}$-MSH positive control 대비 약 50 %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종합하면 두 종류의 MIBA-W는 항염증 효능과 미백기능을 가지는 피부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인공피부 개발을 위한 생채 적합성 지지체에 관한 연구

  • 김창환;김천호;박현숙;강현주;한은숙;김윤영;최영주;이수현;최태부;손영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429-432
    • /
    • 2000
  •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항균성 등의 특징을 갖는 키토산 지지체는 type I -p collagen과 bFGF 또는 fibronectin을 함께 코팅함으로써 세포적합성을 향상시켜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ECM의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인공피부를 위한 적합한 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온실가루이 병원성 곰팡이의 특성 및 살충제 개발을 위한 평가 (Characteriz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from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Evaluation as Insecticide)

  • 윤휘건;신태영;유미라;이원우;고승현;배성민;최재방;우수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4-70
    • /
    • 2013
  •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는 온실에서의 경제적 주요 해충으로, 직접적으로는 작물을 흡즙 가해하여 영양분고갈로 작물을 고사시키고 간접적으로는 많은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한다. 이러한 온실가루이를 방제하기 위해 최근에 다양한 합성 농약을 사용하고 있지만,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해 온실가루이 개체의 저항성이 높아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온실가루이 사충으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특성과 살충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형태학적 조사와 ITS, ${\beta}$-tubulin, EF1-${\alpha}$ 영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통하여 Isaria fumosorosea로 동정하였고, I. fumosorosea SDTv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I. fumosorosea SDTv의 온실가루이 약충에 대한 살충력과 포자의 고온, UV-B 안정성, 저온발아력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살충력 검정은 실험실 조건에서 온실가루이 약충에 대하여 다양한 포자 농도($1{\times}10^5$ - $10^8$ conidia/ml)로 접종한 결과, 7일차에서 84-100%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포자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의 포자는 $35^{\circ}C$에서 그리고 0.1 $J/cm^2$ UV-B 조사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4^{\circ}C$ 조건에서 8일차부터 발아하였다. 또한, I. fumosorosea SDTv의 배지에 따른 chitinases와 proteases의 생산 활성을 비교한 결과 배지에 따라 다른 효소 생산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온실가루이에 대하여 높은 살충력을 보인 I. fumosorosea SDTv는 온실가루이에 대한 종합적 해충 방제 방법에 있어 효과적인 방제수단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열합성법에 의한 PbMoO4의 합성 및 그들의 광촉매 활성 (Synthesis of PbMoO4 Using a Facile Surfactant-assisted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Photocatalytic Activity)

  • 홍성수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307-312
    • /
    • 2016
  • $PbMoO_4$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고, XRD, Raman, TEM, PL, BET 및 DRS 등에 의해 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들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 하에서 Rhodamine B의 광분해 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XRD 및 Raman의 분석 결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손쉬운 수열합성에 의해 잘 결정화된 $PbMoO_4$ 구조를 가진 촉매들이 합성되었으며 52에서 69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합성된 $PbMoO_4$는 P-25와 순수한 $PbMoO_4$ 보다 높은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pH 9에서 합성된 $PbMoO_4$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촉매들은 540 nm 부근에서 강하고 넓은 PL 흡수밴드가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세기가 커질수록 Rhodamine B의 광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침전법으로 제조한 가시광선용 CdZnS/ZnO 광촉매의 재활용 특성 (Recycling Properties of Visible-Light Driven CdZnS/ZnO Photocatalyst Prepared by a Simple Precipitation Method)

  • 이근대;박성수;진영읍;홍성수
    • 청정기술
    • /
    • 제23권2호
    • /
    • pp.196-204
    • /
    • 2017
  • CdZnS/ZnO 복합체를 저온에서의 침전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한 다음, 가시광선 조사하에서 로다민 B 염료의 광분해에 대한 광촉매로서의 활성 특히 광촉매 재활용 특성에 대해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광반응 과정에서의 광촉매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X선 회절분석기,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X-선 광전자 분광법, UV-vis 확산반사 분광법 그리고 광자발광 분광기 등을 이용하여 반응 전후의 광촉매 시료에 대해 물성분석을 행하였다.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반응을 통하여 CdZnS/ZnO 광촉매는 보다 향상되고 안정된 활성을 나타냄을 볼 수 있었다. 로다민 B의 광분해반응에 대해 가능한 두 가지의 반응기구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발색단 골격의 탈알킬화 반응보다는 발색단 콘쥬케이트 구조의 절단 과정을 거쳐 주로 반응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단순 침전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CdZnS/ZnO는 비교적 높은 활성과 재활용성을 지닌 가시광선용 광촉매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asy and Fast Synthesis of Pd-MWCNT/TiO2 by the Sol-Gel Method and its Recyclic Photodegradation of Rhodamine B

  • Ye, Shu;Ullah, Kefayat;Zhu, Lei;Meng, Ze-Da;Sun, Qian;Oh, Won-Ch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1-256
    • /
    • 2013
  •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modified with Pd and $TiO_2$ composite catalysts were synthesized by the sol-gel method followed by solvothermal treatment at low temperatur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urface structure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energy-dispersive X-ray (EDX)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Photocatalytic recycle degra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both U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MWCNT/$TiO_2$ and Pd-MWCNT/$TiO_2$ composites. As expected, the nanosized Pd-MWCNT/$TiO_2$ photocatalysts had enhanced activity over the non Pd treated MWCNT/$TiO_2$ material in the degradation of a rhodamine B (Rh.B) solution. An increase in photocatalytic activity was observed and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photo-absorption effect by MWCNTs and the cooperative effect of Pd and $TiO_2$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recycled results, the as-prepared Pd-MWCNT/$TiO_2$ sample had a good effect o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