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dose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4초

무지개송어의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 유도 (Induction of Physiological Sex-Reversal and Gynogenetic Diplo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철호;김대중;정창화;최경철;이채성;김동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양식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 암컷 무지개송어 대량생산을 위한 일환으로 성호르몬에 의한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어를 유도하였다. 생리학적으로 성전환된 수컷을 만들기 위하여 부화 후 첫 먹이를 먹는 시기에 웅성호르몬인 17 alpha-methyltestosterone (MT) 5 mg을 사료에 흡착시켜 사육수온 $13^{\circ}C$에서 적산수온 $800^{\circ}C$까지 처리한 결과 96.7%의 수컷 유도율을 보였다. 또한 정상 수컷 정액을 이용하여 수정 10분 후 $28^{\circ}C$에서 20분간 고온 처리하여 61.7%의 자성발생 2배체가 유도되었다.

노니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연구 (Anti-wrinkl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Extracts)

  • 이정노;김상우;유영경;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7-231
    • /
    • 2006
  • 주름생성의 주요 원인은 자외선, 공기 오염, 담배 연기,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깊은 주름, 잔주름, 피부거침, 피부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주름 생성 해결 및 피부 노화 문제의 해결은 화장품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최근에 열대 식물인 노니로부터 추출한 유효성분이 주름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노니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scopoletin)이 이러한 효과를 주는 활성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스코폴레틴은 인체 섬유아 세포를 이용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시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활성을 보였다($0.2{\mu}g/mL-89.5%$ 콜라겐 생합성 촉진. 또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 (v/v) 노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이용하여 12주 동안 임상연구를 수행하여, 안면의 주름 감소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제품이 주름을 감소시켜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니 추출물이 주름 개선효과가 매우 높으며, 노화 방지 원료로서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지버섯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의 냉감 수용체 TRPM8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Melastatin Subtype 8) 발현 유도 효과 (Inductive Effects of the Cold Receptor TRPM8 Expression in Ganoderma lucidum Extracts and Ergosterol)

  • 유화선;정지연;전원옥;이춘몽;이정노;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21
    • /
    • 2018
  • UV 뿐 아니라 가시광선, 적외선에 의해 발생된 열로 인해 피부 온도 상승, MMP-1의 증가에 따른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열에 의한 노화에서 피부 온도 조절은 노화 억제에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일시적인 수용체 전위 통로인 TRPM8은 멘솔 수용체(CMR1)로써 $25^{\circ}C$ 이하의 온도에서 활성화되고 시원한 감각을 발생시키는 냉 수용체로 보고되어 있다. TRPM8 조절을 통해 시원한 감각과 피부 온도를 조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인 영지버섯을 이용하여 냉 수용체인 TRPM8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영지버섯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TRPM8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영지버섯추출물, n-hexane 분획물 및 water 분획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TRPM8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Hex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에르고스테롤로 TRPM8 발현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영지버섯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은 화장품 분야에서 새로운 쿨링 소재로서 개발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평가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 오인영;김소영;석장미;정상욱;박진오;유광호;이갑석;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1-148
    • /
    • 2013
  •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한 자외선의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화장품 업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거나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 제품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차단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는 각각 $34.52{\pm}2.13$, $32.67{\pm}1.44$였다. 두 제품 간의 자외선차단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천연물 자외선차단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였고 제품도포로 인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상수원수의 고도정수처리 공정 파일롯 운전 연구 (Operation of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Downstream River Source Water)

  • 왕창근;오상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12
  • 상수원인 K강 하류부에서의 COD (4~10 mg/L)는 매우 높으며 암모니아성질소의 농도(겨울철 3.5 mg/L) 또한 매우 높다. 암모나아 자체는 이 농도 범위에서 인체에 독성을 주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먹는물 기준인 0.5 mg/L로 맞추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강 상수원을 고도처리 하고자 기존의 일반적인 상수처리공정을 수정하여 파일롯플랜트를 제작하여 운전하였다.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염소소독 부산물 일부 제거를 위하여 파괴점 염소주입 및 분말활성탄 투여 공정을 응집조 전 공정에 넣었다. 또한 모래여과 공정 다음에 입상활성탄공정을 넣어 미량 잔류유기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파일롯플렌트는 36톤/일 규모이며 1년 동안 운전이 되었다. 본 수정된 공정을 통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여러 유기물질(DOC, MBAS, UV-254 nm absorbance 등)들을 제거할 수 있었다. 유입 DOC 농도는 유입기간 동안 3~6 mg/L 계속 높았으며 1 mg/L로 낮추기 위해서는 GAC 필터의 2 m 높이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괴점 염소주입에서 투입 염소농도가 잘 주입이 되었을 때 암모니아의 제거는 98%이상이었으며 낮은 유리 잔류염소 농도와 분말활성탄 투여로 트리할로메탄(THM)은 낮게 검출되었다.

제주산양산삼이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를 통해 피부 장벽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Jeju Wild Ginseng Extracts on Skin Barrier via Serine-Palmitoyltransferase)

  • 김효민;이정노;김재문;김성규;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9-126
    • /
    • 2016
  • 피부는 스모그, 담배연기 및 UV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큰 기관이며, 보호 기작으로서 각질세포와 그 사이를 메우고 있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의 세포간지질이 라멜라 액정 구조로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간지질 중 세라마이드 생합성과 관련되어 있는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 SPT)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SPT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5% 함유한 제형을 2주간 피부에 도포 후 TEWL을 측정하였을 때,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젼 도포부위의 TEWL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SPT의 발현 증가를 통해 세포간 지질의 핵심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생합성을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개선시켜 TEWL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LC, HPTLC FINGERPRINTING AND ACUTE ORAL TOXICITY EVALUATION OF HABB-E-AZARAQI: A NUX-VOMICA-BASED TRADITIONAL UNANI FORMULATION

  • Ara, Shabnam Anjum;Viquar, Uzma;Zakir, Mohammed;Husain, Gulam Mohammed;Naikodi, Mohammed Abdul Rasheed;Urooj, Mohd;Kazmi, Munawwar Husain
    • 셀메드
    • /
    • 제11권3호
    • /
    • pp.13.1-13.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Nux-vomica based traditional Unani formulation, Habb-e-Azaraqi (HAZ) is an important drug used by Unani physicians since several decades. It possesses Muqawwi-i-A'sab (nervine tonic), Muharrik-i-A'sab (nervine stimulant) properties and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diseases like Laqwa (facial palsy), Falij (paralysis), Niqris (gout) and Waja'al-Mafasil (arthritis) etc. The aim of the study is to access and provide information of HAZ for its TLC, HPTLC Fingerprinting defining its clear qualitative perspective and acute oral toxicity evaluation for its safety assessment which was not done earlier, thus contributing in the field of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The chief ingredient, nux-vomica was detoxified as per method mentioned in Unani Pharmacopeia before its use in formulation. TLC and HPTLC was developed under four detection system i.e., UV 366nm, UV 254nm, exposure to iodine vapours and after derivatization with anisaldehyde sulphuric acid. Acute toxicity studies were performed as per OECD Guidelines 425 at a limit dose of 2000 mg/kg. Observations were done for signs of toxicity, body weight, and feed consumption at regular intervals followed by haematological and biochemistry evaluation. Results: The generated data proved the authenticity and established the TLC and HPTLC profile of the formulation. Acute toxicit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Z-treated animals with respect to body weight gain, feed consumption, haematology, clinical biochemistry evaluation. No significant gross pathological observation was noticed in necropsy. Conclusion: Data of the present study is substantial and scientific proof of HAZ in terms of standardization and toxicity study that can be utilize in future research activities.

홍삼 생약 복합물(KTNG0345)의 피부 주름개선에 관한 작용기전 (Mechanisms of Korean red ginseng and herb extracts(KTNG0345) for anti-wrinkle activity)

  • 소승호;이성계;황의일;구본석;한경호;정진호;이민정;김나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39-47
    • /
    • 2008
  • 본 실험은 홍삼 혼합물 (KTNG0345)을 이용한 주름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건강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료를 경구투여한 무모생쥐의 피부조직 으로부터 MMP-3의 발현양상과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MMP-3의 발현정도는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유전자와 단백질 모두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PAK는 변화가 없었지만, p38, p-p38 그리고 c-Jun, p-c-Jun 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MMPs의 발현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TNF-{\alpha}$의 생성 또는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TNF-{\alpha}$ receptor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 경로를 둔화시켜 MMPs의 발현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KTNG0345는 복합적인 활성으로 작용하여 주름생성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존처리에 의한 의약품류의 제거와 미생물의 불활성화에 대한 연구 및 고찰 (Study on the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and Microorganism Inactivation by Ozonation)

  • 김일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134-1140
    • /
    • 2010
  • 미량오염물질의 산화 및 대체 소독제로 각광받는 오존처리의 하수 2차 처리수중에 잔류하는 의약품류에 대한 제거 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의약품류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오존처리에 의한 미생물의 불활성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수로써 하수 2차 처리수를 이용하였으며, 오존처리는 2 mg/L, 4 mg/L, 6 mg/L의 오존 주입량으로 행하였다. 오존처리에 의해 시험수중에서 검출된 37종의 의약품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6 mg/L의 오존 주입량 (오존 소비량 : 4.4 mg/L)이 요구되었다. 동일한 오존처리 조건하에서는 대장균군 및 enteroviruses에 대해 약 3 log의 불활성화가 달성가능할 것으로 고찰되어, 잔류 의약품류의 제거 뿐만 아니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소독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6 mg/L의 오존 주입량을 이용한 오존처리시, 처리수중의 용존오존농도가 약 1.8 mg/L까지 증가하여, 발암성 물질인 브로메이트의 생성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브로메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오존처리와 UV 또는 $H_2O_2$와의 조합공정인 고도산화처리공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allic Nanoparticles in an in Vitro Breast Cancer Model

  • Loutfy, Samah A;Al-Ansary, Nadia A;Abdel-Ghani, Nour T;Hamed, Ahmed R;Mohamed, Mona B;Craik, James D;Eldin, Taher A. Salah;Abdellah, Ahmed M;Hussein, Yassmein;Hasanin, MTM;Elbehairi, Serag Eldin 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39-6046
    • /
    • 2015
  •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metallic nanoparticles, silver (AgNPs) and gold nanoparticles (AuNPs) as antitumor treatment in vitro against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and their associated mechanisms. This could provide new class of engineered nanoparticles with desir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ay present newer approaches for therapeutic modalities to breast cancer i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as used as a model of cells. Metallic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ible spectra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ytotoxic effects of metallic nanoparticles on MCF-7 cells were followed by colorimetric SRB cell viability assays, microscopy, and cellular uptake. Nature of cell death was further investigated by DNA analysis and flow cytometry. Results: Treatment of MCF-7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10nm diameter of AgNPs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50 value of $6.28{\mu}M$, whereas treatment of MCF-7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13-15nm diameter of AuNPs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50 value of $14.48{\mu}M$. Treatment of cells with a IC50 concentration of AgNPs generated progressive accumulation of cells in the S phase of the cell cycle and prevented entry into the M phase. The treatment of cells with IC50 concentrations of AuNPs similarly generated progressive accumulation of cells in sub-G1 and S phase, and inhibited the entrance of cells into the M phase of the cell cycle. DNA fragmentation, as demonstrated by electrophoresis, indicated induction of apoptosis. Conclusions: Our engineered silver nanoparticles effectivel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 line MCF-7 in vitro at high concentration ($1000{\mu}M$) through apoptotic mechanisms, and may be a beneficial agent against human carcinoma but further detailed study is still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