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94V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6초

인/실리콘 함유 난연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Epoxy Resins Containing Phosphorous/Silicone Components)

  • 김창헌;하도영;이영희;이동진;김한도
    • 청정기술
    • /
    • 제23권4호
    • /
    • pp.378-387
    • /
    • 2017
  • 영구적 난연성기를 함유한 에폭시 수지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인 화합물[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oxa-10-phospha phenanthrene-10-oxide, DOPO-HQ]과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실리콘 화합물(polydimethylsiloxane, hydroxyl terminated, PDMS)를 경화하지 않은 에폭시 프리폴리머(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반응시킨 다음, 경화제(4,4-diaminodiphenylmethane, DDM)를 사용하여 경화반응 시킨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수지의 각종 특성을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시차주사열량기(DSC), 열중량 분석기(TGA), 한계산소지수(LOI)/수직 연소 시험(UL 94-V test), 인장 및 충격 시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한 인 및 실리콘 화합물의 함량이 에폭시 경화물의 열적/기계적 성질 및 난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 및 실리콘 성분이 함유된 에폭시 수지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단순 에폭시 수지의 물성에 비교하여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 및 실리콘을 함유한 모든 에폭시 수지는 29.9 ~ 31.8%의 LOI 및 V-0 수준의 UL 94-V로 난연성 기준(LOI: 30% 이상, UL 94-V: V-0)을 통과한 반면, 단순 에폭시 수지는 LOI: 21.4% 및 UL 94-V: no rating으로 난연성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변성 LDH를 사용한 난연 ABS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ABS Nanocomposites Containing Organo-Modified Layered Double Hydoxide)

  • 김석준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4호
    • /
    • pp.241-252
    • /
    • 2008
  • 올레인산으로 유기변성된 ZnAl-LDH(SO-ZnAl LDH)를 합성하여 브롬화 에폭시 수지(BER) 및 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난연 ABS 컴파운드에 첨가하였다. 난연 ABS 컴파운드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축압출기를 통해 제조되었고 난연성 및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으로 사출성형 되었다. ABS 나노복합재료의 XRD 패턴에서는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SOZnAl LDH를 포함하는 난연 ABS 나노복합재료는 TGA 시험 결과 향상된 내열성을 보였다. 그러나, 난연 ABS 나노복합재료들은 UL 94 수직시험(1.6 mm 두께)시 등급을 얻지 못했다. BER를 1.5 wt% 이상 더 첨가한 경우들에서만 UL 94 V0 등급을 얻을 수 있었다. SO-ZnAl LDH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난연 ABS 나노복합재료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 인장탄성률 및 신율은 증가하였으나 유동지수는 감소하였다.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난연성 방열 복합체 (Flame Retardant and Heat Radiating Composite Consisting of Polyurethane and Modified Boron Nitride)

  • 김민규;이창록;조남주
    • 공업화학
    • /
    • 제31권5호
    • /
    • pp.487-494
    • /
    • 2020
  •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와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개질한 질화붕소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분광 분석을 통해 질화붕소의 개질과 복합체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측정을 통해 개질된 질화붕소의 함량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yser flash analysis (LFA)와 UL94 측정을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합체의 열전도도가 1.19 W/m·K로 증가하였으며, 자기소화성이 없어 타기 쉬운 폴리우레탄의 난연성이 UL94 V-1 등급으로 향상되었다.

인계 폴리올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us Polyurethanes Using Phosphorus Polyols)

  • 김태윤;김용갑;임충선;서봉국;이원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2호
    • /
    • pp.61-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계 폴리올을 phenylphosphonic dichloride (PPDC), allylphosphonic dichloride (APDC)에 ethylene glycol (EG)을 반응시켜 합성하였고 분자량이 880~1,560 g/mol의 폴리올 얻었다. 이를 이용하여 polycarbonate diol (PCD)와 함께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와 중합하여 인계 폴리우레탄을 얻었다. 합성한 인계 폴리우레탄의 인의 합량이 높아질수록 열분해 온도는 감소하였지만 챠 (char)의 발생과 발생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UL-94V 시험법을 통하여 APDC를 포함하는 인계 폴리우레탄 인의 함유량이 0.5 wt%이상일 때 V-0의 난연등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할로겐이 없는 저연성 폴리올레핀에 관한 연구 (Study on Halogen Free Low Smoke Polyolefin)

  • 김영두;정광수;김태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3호
    • /
    • pp.177-182
    • /
    • 2002
  •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low smoke type의 난연 polyolefin(halogen free)계 컴파운드의 최적 배합을 구현하기 위해 LDPE, EVA, EEA를 수지로 하고 상용화제로 MAH-graft-PE를 이용하였으며, 난연제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과 적린을 사용하여 변량 시험을 하였다. 물성은 상온 인장강도, 신장율과 노화후 인장신장 잔율을 기본으로 smoke density 산소 지수 시험을 하였고, 난연성은 UL-94로 확인하였으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의 대표 배합을 SEM 촬영하여 분산구조를 확인하였다. HCI 함량 시험을 하여 halogen content를 확인하였다. 또한 halogen free로 난연성(UL-94, V-0)과 저연성을 만족하는 2종의 배합을 도출해 냄으로서 여러 가지 용도로서의 전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건축물내 통신용 케이블의 화재위험성 분석에 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Hazard Analysis For Communication Cable in Buildings)

  • 홍성호;최문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0-25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on the fire hazard analysis of communication cable in buildings. In order to analyze fire hazards for communication cable IEC 60332-1, UL 94 and cone calorimeter test are conducted. The number of cable used to experiment is 10 communication cable which are generally applied to data communication in buildings. The results show that 9 cables do meet the performance requirement of IEC 60332-1 and 8 cables are V-0 classification. IEC 60332-1 and UL 94 test are inadequate for fire hazard classification. The various parameters obtained by cone calorimeter test such as HRR, peak HRR, smoke production rate and so on. Also it is able to evaluate multiply fire hazard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cone calorimeter test results.

본질적 난연 및 내열성 헤테로환식 폴리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Intrinsic Flame Retardant and Heat Resistant Sulfur-Bridged Heterocyclic Polymers)

  • Young-Goo Kang;Hong Kim;Ho-Suk Ryu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78
    • /
    • 1997
  • 본질적인 난연 및 내열성의 PQXS, PIQS, PQS 3종류의 폴리머를 2,3-dichloroquinoxaline, 1,3-dichloroisoquinoline, 4,7-dichloroquinoline을 각각 출발 물질로 하여 합성하였다. 이들을 FT-IR, UV/Vis 분광분석, DTA, 원소분석 등에 따라 특성분석을 행하였다. 이들 폴리머소재는 내열 및 난연특성 시험에서 녹는점 기준 $350^{\circ}C$ 이상의 높은 내열성과 LOI값 기준으로 41~42의 높은 수치의 난연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수직연소시험에서 UL 94 V-0 등급의 높은 난연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재활용(再活用) 폴리프로필렌과 무기계(無機界) 폐기물(廢棄物)을 이용(利用)한 난연성(難燃性) 소재(素材) 개발(開發) (Development of flame retardant materials utilizing recycled polypropylene and inorganic waste)

  • 전병철;조태근;박현규;최형준;정용찬;전호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4호
    • /
    • pp.17-26
    • /
    • 2007
  • 재활용한 폴리프로필렌(재활용 COPP, 이하 COPP)에 무기계 폐기물인 패각을 도입하여 함량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복합소재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하여 상용화제(Polytail H)를 첨가하였고,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난연제($Al_2O_3$, DBDPO, $Sb_2O_3$)를 첨가하여 이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재활용 COPP에 패각만 혼합하는 것보다는 추가적으로 상용화제를 혼합하는 것이 매트릭스인 폴리프로필렌과 패각과의 계면 결합력이 증대되어 패각만을 혼합하였을 때 보다 물성저하가 감소하였고, 충격강도의 경우는 100 wt% 재활용 폴리프로필렌(COPP)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연제 첨가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다. 제조된 재활용 COPP 복합소재의 UL-94규격에 의한 난연 테스트 결과 패각만을 혼합한 경우 패각 40 wt% 함유된 경우가 pure COPP보다 불이 붙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타는 시간이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난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패각을 난연제와 함께 복합화하여 제조한 소재에서는 뚜렷한 난연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난연 효과는 $Sb_2O_3>Al_2O_3>DBDPO$의 순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UL-94 V-0 등급은 $Al_2O_3$를 첨가한 그레이드 중 상용화제를 넣은 그레이드와 패각 40 wt%가 함유된 그레이드에서, 그리고 $Sb_2O_3$를 난연제로 사용한 모든 그레이드에서 관찰되었다.

나노클레이 첨가에 따른 할로겐프리 난연컴파운드의 수직난연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pendicular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mpounds by Nanoclay Addition)

  • 황찬연;양종석;성백용;김지연;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51-56
    • /
    • 2015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optimum mix proportion of halogen free compound with flame resistance and, for the purpose, thermal/electrical characteristics test are conducted using compatibilizing agents, flame resistance agents, hydroxide aluminum, sunscreen, antioxidant and silicon oil on the base resin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Existing compound method accompanies many requirements to be satisfied including a lot of addition of flame resistance agents, prohibition of impact on mixing capability with base and property and etc. In this stud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optimum mix proportion is determined and experimented by adding nano clay. Oxygen index test shows no difference between specimens while T-6, T-9 shows oxygen index of 29[%] and 26[%], respectively. This is concluded that hydroxide aluminum, which is a flame resistance agent, leads low oxygen index. From UL94-V vertical flame resistance test, the combustion behavior is determined as V-0, Fail based on UL94-V decision criteria. Viscometry shows low measurements in specimens with separate addition of compatibilizing agents or nano clay. Volume resistivity test shows low measurement mainly in specimens without compatibilizing agents. Therefore, with the flame resistance compound shows better performance for thermal/electrical property and the optimum mix proportion are achieved among many existing materials.

PU/Layer Silicate 복합체의 난연성

  • 곽봉신;김정훈;강영구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11-315
    • /
    • 2002
  • Polyurethane 발포체는 우수한 단열 및 흡음특성 그리고 반응물질인 polyol과 isocyanate의 성분 및 배합비에 따라 여러가지 제품군으로 특성 설계가 가능하여 LNG 저장탱크, LNG 유조선의 cryogenic insulator, 육상 및 해상용 냉동 및 냉장시설물, 가전제품, 건축단열판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난연성의 결여로 화재 발생시 급격한 연소반응과 유해가스 발생을 동반하여 화재안전 및 건강보건상 중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진은 PU발포체의 물성개선을 통한 난연특성 연구의 일환으로서 montmorillonite, hectorite, vermiculite의 layer silicate를 urethane 원료물질과 혼성발포 공정을 통해 난연복합체를 제조하여 UL94V, LOI, Morphology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