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urveying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1초

수중드론 운용에 관한 국제법적 논란과 대한민국의 전략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Use of Underwater Drones and the Position of Korea)

  • 이기범
    • Strategy21
    • /
    • 통권41호
    • /
    • pp.153-173
    • /
    • 2017
  • On 15 December 2015, China seized an underwater drone belonging to the U.S. in the South China Sea. The underwater drone was then about to be retrieved by the Bowditch, a U.S. naval ship.Although China returned the underwater drone to the U.S. on 20 December 2016, the incident resulted in the considerable controversy involving the use of underwater dron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eizure of the underwater drone happened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hereafter referred to as "EEZ") of the Philippines. Part XIII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ereafter referred to as "UNCLOS") governs the matters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hereafter referred to as "MSR"). If a State intends to use an underwater drone in the EEZ of another coastal State for the purpose of MSR, the former has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latter in accordance with relevant provisions included in Part XIII of the UNCLOS. However, it is not obvious whether the consent of a coastal State should be required to launch an underwater drone in the EEZ of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hydrographic surveying or military surveying. Maritime powers such as the U.S. regard hydrographic surveying or military surveying as part of "other internationally lawful uses of the sea related to these freedom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ships, aircraft and submarine cables and pipelines" found in Article 58(1) of the UNCLOS, or part of the freedom of the high seas. This interpretation is not incompatible with the implications that the UNCLOS has. Nevertheless, Korea cannot accept this kind of interpretation that is supported by maritime powers. The freedom of hydrographic surveying or military surveying could imply that the EEZ of Korea would be full of underwater drones launched by China, Japan or even Russia. Hence, Korea should claim that the data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MSR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that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hydrographic surveying or military surveying. This means that hydrographic surveying or military surveying without the consent of a coastal State in the EEZ of the State should not be permitted.

다중 GPS를 이용한 변위거동 연구

  • 손호웅;이강원;박은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5-100
    • /
    • 2009
  • Global warming melts polar ice, changes ocean currents, creates variation of local climate, and inundates low-altitude regions resulting in disasters to mankind. Accordingl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U.S.A. and U.K. spend great amounts of efforts and money to plan and manage research activities on polar ice which is regarded as a key indicator of climate change. The proposed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hasing and monitoring the melting phenomena of polar ice through multiple GPS to enhance the GPS quality.

  • PDF

LBS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측량 개념의 실시간 측위시스템 기초 실험 연구 (A Basic Experimental Study on Location System of Ubiquitous Surveying Concepts using LBS)

  • 조병완;김윤기;김영지;이동윤;윤광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1
  • 최근 IT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Web 3.0의 시대를 맞아 유비쿼터스 시대에 점점 다가가고 있다. 그리하여, 일반 이용자도 전문 기술자들의 지식을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해 쉽게 습득 할 수 있게 되어, 측량과 같은 전문적인 분야도 일반 사용자가 원할 때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전파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지식을 요하지 않아도 정적, 동적 객체 위치 개념의 정보, 해석,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무선 측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실내에 무선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여, 1차원 또는 2차원, 장애물 투과성, 이동 객체 대상물의 측위를 통하여, U-Surveying을 위한 기초 실험을 하였다.

  • PDF

u-City 통합운영플랫폼의 서비스 기능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of Service Function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of the u-City)

  • 강준묵;백송훈;김남규;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7-484
    • /
    • 2009
  • u-City 운영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통합운영플랫폼은 유무선 통신망, 센서망을 연결하여 각종 센서 및 장치들을 수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며, 각종 인프라 요소들을 지능적으로 관제 운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u-City에서 통합운영플랫폼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들을 공통응용 서비스, 운용관리 서비스 및 플랫폼 게이트웨이 서비스로 구분하고 각 서비스에 대한 세부 기능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된 세부 기능들은 상호간 정보 흐름 및 역할 정립을 통해 통합운영플랫폼의 서비스 기능을 명확히 할 것이며, 향후 서비스 기능 추가 및 수정에 따른 통합운영플랫폼의 기능 구성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City 서비스를 위한 통합운영플랫폼의 GIS 기능 분석 (Analysis of GIS Function of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for the u-City Service)

  • 강준묵;서동섭;백송훈;서명우;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71-581
    • /
    • 2008
  • 유비쿼터스 도시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도시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GIS는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반이며 u-City 구축사업에 있어 필수적인 기술이다.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u-City는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발전된 IT기술과 접목되어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하고 있으며 기술의 진화에 따라 더 많은 서비스를 추가로 적용할 예정이다. 이러한 추가 서비스가 쉽게 개발되어 더 많은 양질의 서비스를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유기적인 정보공유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u-City 통합운영플랫폼이다. 이러한 통합운영플랫폼에 u-City 서비스를 위한 GIS 요구 기능을 정의하고 공통 구현이 가능한 기능들을 통합하여 제공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City 서비스를 위해 구축되는 통합운영플랫폼들에 적용되고 있는 GIS 요구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u-City 서비스 중가로등관리 및 화재감시에 대한 GIS 모듈을 구현하였으며 이의 서비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통합운영플랫폼의 GIS 공통 기능 적용에 대한 활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도시관제시스템 기반의 GIS 서비스 시나리오 구현 (Realization of GIS Service Scenario on the Basis of the Urban Control System)

  • 박준규;백송훈;서동섭;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5-493
    • /
    • 2009
  • u-City는 효율적인 도시 관제를 위해 통합운영플랫폼을 활용함으로서 IT 및 GIS 기술이 접목된 u-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도시 생활의 편의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도시관제시스템은 u-City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인터페이스 정보매체로 각종 정보의 유기적인 연계 및 확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부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u-서비스 실현을 위해 도시관제시스템 기반의 GIS 서비스 모듈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u-City 서비스 중 돌발상황 처리, 대기오염 감시 및 비상도움에 대한 GIS 서비스 시나리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향후 실제적인 u-City 서비스의 설계 및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의 기술사 제도와 시험 소개 (Introduction of U.S.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and Examination)

  • 구본준
    • 기술사
    • /
    • 제41권6호
    • /
    • pp.45-48
    • /
    • 2008
  • Exam administration agreement was signed by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KPEA) and the National Council of Examiners for Engineering and Surveying (NCEES) at the 2nd National Conven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on 6 September 2008. Korean engineers can take U.S. Professional Engineer examination under proctor of KPEA in Korea from next April. It helps to broaden for Korean young engineers to have a chance to work and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engineer in the U.S. This is a brief introduction of U.S.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and examination.

  • PDF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인프라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Connection of Information Infra for Efficient Ubiquitous-service Realization)

  • 최필순;강준묵;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7-507
    • /
    • 2011
  • 2006년부터 새롭게 등장한 유비쿼터스 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 도시 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로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도시의 구현을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의 핵심인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도시를 효율적으로 건설해야하며, 각종 정보들 간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중심으로 u-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와 행정정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능형국토정보시스템과 행정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 생산데이터 및 연계절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u-서비스를 위한 세부업무, 소요데이터 및 취득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관련 정보 인프라의 공동활용을 위한 연계성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연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USN 기반의 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추진절차 및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Business Promotion Procedure and Service Model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Ground Facility Management)

  • 정진석;김의명;이용주;변인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3-44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 지상시설물에 첨단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수행 절차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는 u-City 구축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할 있는 "u-City IT 인프라 가이드 V1.0"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u-City구축 기본골격에 관한 전반적인 추진 절차를 다루고 있어 u-City 기반시설물의 지능화 과정으로 볼 수 있는 대상시설물별 센서 및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시 지상시설물을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USN기반 지상시설물의 세부적인 구축절차와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추진되는 u-City 구축 사업의 수행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