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Connection of Information Infra for Efficient Ubiquitous-service Realization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인프라 연계성 분석

  • 최필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준규 (서일대학교 토목과)
  • Received : 2011.09.25
  • Accepted : 2011.10.0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Ubiquitous city which was appeared since 2006 is defined as "The city provided the ubiquitous city service anytime and anywhere using ubiquitous urban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city's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life" under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law. To realize the ubiquitous city, the city has to be constructed efficiently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connection of information achieve effective synergy. In this study, applied multilateral analysis to spatial information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implement u-service focused on MACCA(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gency). Study about main function and product data with connection process of Korean Land Spatialization System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was performed. Also, details of u-service and method of acquiring necessary data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nnection possibility for efficient u-service realization was suggested by linkage analysis method to utilize the related information infrastructure jointly.

2006년부터 새롭게 등장한 유비쿼터스 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 도시 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로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도시의 구현을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의 핵심인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도시를 효율적으로 건설해야하며, 각종 정보들 간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중심으로 u-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와 행정정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능형국토정보시스템과 행정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 생산데이터 및 연계절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u-서비스를 위한 세부업무, 소요데이터 및 취득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관련 정보 인프라의 공동활용을 위한 연계성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연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기 (1990), 행정정보체계의 개념틀 정립에 관한 연구,연세사회과학연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27-40.
  2. 강준묵, 백송훈, 김남규, 박준규 (2009), u-City 통합운영플랫폼의 서비스 기능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한국측량학회, 제 27권, 제 4호, pp. 477-484.
  3. 강준묵, 서동섭, 백송훈, 서명우, 박준규 (2008), u-City 서비스를 위한 통합플랫폼의 GIS 기능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6호, pp. 571-581.
  4. 김은형 (2007),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 연구,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 15권, 제 3호, pp. 189-202.
  5. 김재규 (2007), 유비쿼터스 기반 GIS 서비스 사업 타당성 평가체계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6. 김정현, 고현우 (2008), 제 3자 물류활성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연계방안, 물류학회지, 한국물류학회, 제 18권, 제4호, pp. 217-243.
  7. 김정훈, 채미옥 (2003), 국토계획체계내 기초정보 통합 및연계화 방안,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 11권, 제4호, pp. 465-480.
  8. 김현태, 한정훈, 장봉섭, 김황배 (2008), 복합형 환승센터에서의 상황대응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 3호, pp. 87-94.
  9. 백송훈 (2010), u-City 구현을 위한 상하수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0. 이석군, 김갑진 (2006), 토지정보체계에서 지형 및 지적 정보의 공동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6권, 제 3D호, pp. 541-547.
  11. 조병선, 정우수, 조향숙 (2006),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 21권,제 4호, pp. 152-162.
  12. 홍재환, 윤광석 (2009),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행정연구원.
  13. 홍형득, 장시영 (1994),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한국행정학회, 제 28권, 제 4호, pp. 119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