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ity Projec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초

ITS 구축용 RFID 교통카드 및 IEEE802.16 연동 RFID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mbedded RFID System for Constructing ITS based on Wibro)

  • 장원태;김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62-20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현재 부산 지역에서 진행중인 u-City 구축 사업 중 하나인 ITS의 대중교통 관리로 RFID 도입을 위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하여 PXA255 ARM칩을 내장한 RFID 교통카드 연동 RFID시스템 및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랜(IEEE802.11.a/b) 및 IEEE802.16 지원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어 RFID 교통카드 연동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u-City 정책에 맞춰 u-Traffic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본적인 인프라로 활용이 가능하다.

유비쿼터스도시의 최소 품질 보장을 위한 필수적인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제안에 관한 연구 (Proposes on Essential Ubiquitous City Service to Guarantee Minimum Quality of Ubiquitous City)

  • 황병주;김병선;이재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4
    • /
    • 2013
  • 2000년대 이후, 정부부처별 유비쿼터스도시사업에 의해 유비쿼터스도시 구축을 전국으로 확산해 나가고 있으나, 근래 들어 유비쿼터스도시에 대한 낮은 체감도가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정책 과제에서 시민체감형 유비쿼터스서비스를 발굴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유비쿼터스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접목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도시 계획 수립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필수적인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도출하여 유비쿼터스도시의 최소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163개 시 군 지자체를 대상으로 유비쿼터스도시 추진 현황을 조사하여 U-City의 현주소를 진단하였다. 또한 38명의 U-City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약 한 달 동안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편성, 지역경제육성, 사회복지구현, 효과적인 도시관리 관점의 필수적인 14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11개 지자체의 유비쿼터스도시계획(안)과 도출된 필수 U-City 서비스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 및 항만 물류 정보 연계에 관한 연구;인천 첨단물류도시 대상 (A Study on Concatenation of Air & Sea Logistics' Information Using Telematics System;Case of Inchoen u-City)

  • 홍승범;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0-107
    • /
    • 2007
  • We proposed the concatena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to constructing the intelligent logistics city that is to manage efficiently cargo distribution as providing at real-time information of cargo location trace and management through the Telematics/RFID. Case of the Incheon of the "Air Logistics Hub", this area is on an increasing trend on the quantity of cargo transport of the Air & Sea cargo system until 2006. As intelligent project of the Air's and the Sea's field is independently developed at each area, it is a problem on the concatena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such as freight location trace and management, operation management and route information of cargo vehicles. Therefore, we propose the advanced transport service model for the concatenating smoothly of Air & Sea cargo system. In this paper, we only manage the model of Air & Sea cargo system of the advance logistics city.

  • PDF

스마트시티 정책추진과 경기도 광역자치단체 전략 (Smart City Policy Promotion and Gyeonggi-do Strategy)

  • 김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5-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경기도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시티 정책 사업에 도내 기초지자체의 참여현황을 파악해보고 특성을 도출하여 경기도 광역자치단체가 마련해야 하는 세부과제를 제시한다. 현재 경기도 지역은 U-City 이후에 도내 기초지자체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정책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 광역자치단체는 2020년에 스마트시티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스마트도시 지방자치단체 협의회에 참가하는 정도이다. 향후 경기도는 법 개정을 건의하여 스마트시티 정책추진의 동력을 확보하고 경기도만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 효율적인 정책추진을 위한 체계마련을 고민한다. 또한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정책사업에 "광역자치단체 모델의 통합플랫폼 구축사업" 참여를 검토하여 재난 안전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정책의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경기도 독자적인 스마트시티 정책추진을 검토해본다.

센서 및 객체 정보 기반의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Development of a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ensor and Object Data)

  • 강준묵;이재욱;서명우;백송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07-617
    • /
    • 2009
  • 최근 들어 u-City 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도시의 핵심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종 지상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u-City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시의 물리적 환경, 즉 도시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확한 시설물 관련 정보의 수집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시설물의 정상상태 유지가 도시시설물 관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상태 파악에 필요한 센서 및 객체 정보의 수집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활용한 시나리오 테스트를 통하여 제시된 방안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역설계 적용을 위한 최적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정보 획득 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 리모델링을 대상으로 - (A Study on Optimal Laser Scanning method for Reverse Engineering at Interior Remodeling Project)

  • 이상설;권순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11
    • /
    • 2014
  • 최근 국내 건축경기 불황에 대한 방안으로 리모델링 시장이 신규 유망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리모델링 공사를 추진하는데 있어, 도면의 부재나 도면 정보의 부족 등으로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설계 기술을 이용한 도면화 기술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현장에서는 역설계 기술의 정확도와 도면화 시간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역설계 기술의 사용을 주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역설계 과정 중 3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포인트 데이터 정밀도에 따른 측정시간과 오차를 분석하여 최적의 포인트 데이터 획득 정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를 위한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플랫폼 (Spatial Data Stream Processing Platform for Ubiquitous Application Services)

  • 정원일;김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06-913
    • /
    • 2010
  •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들은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종합적인 정보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인 u-City 사업 등과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응용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지리적으로 광역의 분산된 형태로 설치 운영되므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대량의 실시간 연속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u-GIS 서비스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해 지리정보를 갖는 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대량의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플랫폼을 이용하여 미아방지서비스 구축하여 제안 기술이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 구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영국과 한국의 건강도시 사업 평가방법 비교 연구: 리버풀과 원주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y City Project Evaluation in U.K. and Korea: Focusing on Liverpool City and Wonju City)

  • 강신희;남은우;문지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3-10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healthy cities, Liverpool in England and Wonju in Korea, which evaluated healthy city projects and to reorient evaluation strategy which fits into Korean Healthy cities. Methods: Comparatives analysis was used by reviewing documents, healthy city plan and evaluation report, of two cities. Results: Healthy city projects in two cities, fifteen programs were identical items among twenty-seven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ven items for Liverpool and five items for Wonju. In Liverpool evaluation was done by a stakeholder group called Liverpool Local Involvement Network(LINK), while in Wonju by Yonsei Healthy City Research Center. The evaluation tool was two typ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Liverpool mostly used qualitative and added quantitative, vice versa in Wonju. Conclusions: Evaluation plan for Healthy city projects need to be made in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s, instead of in the en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include stakeholder in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for unquantifiable evidence of effectiveness, as well as quantitativ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