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inspa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초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onginbong and Taeharyong in Ullungdo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WINSPAN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 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6
    • /
    • 2000
  • 본 연구는 울릉도의 성인봉과 태하령지역의 산림식생을 분류하기 위해 199년 7-8월에 36개소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울릉도 산림의 종조성표에 의한 군락 분류결과 너도밤나무-섬노루귀 군락군으로 판명되었다 이 군락군은 다시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 참나도히초미-졸방제비꽃군락으로 크게 나뉘어졌으며 참나도히초미-졸방제비꽃군락은 다시 전형하위군락. 섬조릿대하위군락 일색고사리하위군락으로구분되었다 TWINSPAN에 의한 분류결과는 솔송나무-섬작나무군락 너도밤나무-섬조릭대군락 너도밤나무-일색고사리군락,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결과와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결과는 4개 군락으로 구분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방법은 상호 보완될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林)과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 장규관;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14-222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낙엽 활엽수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신갈나무림을 분류하기 위하여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및 중왕산의 자연 식생 중에서 100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1. 신갈나무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면 신갈나무-당단풍 군락군의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 전형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및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은 다시 복장나무 하위 군락 및 전형 하위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TWINSPAN에 의하여 분류하면 신갈나무-복장나무 군락,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곽, 신갈나무-당단풍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3.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 방법은 상호 보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역 노령임분의 군집구조 (The Community Structure in Old-Growth Forest of the Sangwon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재창;최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6-181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구의 노령임분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및 식생과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4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TWINSPAN과 DC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해 전체조사구는 6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들 분리된 군집은 전나무-까치박달나무군집, 전나무-신갈나무군집, 피나무군집, 신갈나무-피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잣나무군집이었다. 각 군집은 토양인자 중 토양산도, 유기물함량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의 분포특징은 지형적인 차이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다.

  • PDF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Jeongryeongchi to Bokseongijae in the Baekdudaegan.)

  • 최송현;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32
    • /
    • 2003
  • 백두대간상의 정령치~복성이재 구간 능선부에 대해 34개 조사지(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 및 DCA분석에 의해 조사지는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I), 소나무군락(II), 소나무-일본잎갈나무군락(III), 신갈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은 대부분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종다양성은 비산비야적인 특징으로 산악형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DECORANA와 TWINSPAN을 이용한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군락 유형 분석 (DECORANA and TWINSPAN Aided Analysi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ormation)

  • 김종현;박지민;정경수;이종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8
    • /
    • 2005
  • 모감주나무군락지인 안면도 승언리, 대구 내곡동, 포항시 유강리, 양학리, 발산리, 대동배리,모포리, 서촌리를 대상으로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군락유형을 분석하였다. 2002년 4월부터 2003년 9월까지 모감주나무군락의 자연식생을 Braun-Blanquet의 방법에 의해 8개 지소에 68개의 방형구를 설치, 식생 자료를 수집하여 종조성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전 조사지 역에서 는 총 201종이 출현하였으며 식피율은 교목층 $30\~100\%$, 관목층 $0\~90\%$, 초본층 $20\~100\%$였다. 주름조개풀, 칡, 떡갈나무, 사위질빵, 쥐똥나무, 찔레, 쑥, 환삼덩굴, 아까시나무가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류법과 서열법을 통해 군락을 분석하기 위해 TWINSPAN과 DECORANA를 사용하였으며 TWINSPAN을 이용하여 68개의 방형구에 대한 군락 분석을 수행한 결과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 었으며 DECORANA를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한 결과 68개의 방형구는 I축의 값을 기준으로 3개의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정량적 식생분석을 통한 금남호남·호남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Geumnamhonam·Honam Ridge Areas Understood through Quantitative Vegetation Analysis)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4-317
    • /
    • 2020
  • 금남호남·호남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알기 위해 입지환경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금남호남정맥 2곳, 호남정맥 4곳을 중점조사지로 골라 식생조사를 실시했다. TWINSPAN을 써서 두 정맥은 각각 7개씩의 식물군락으로 유형화됐다. TWINSPAN기법의 식별종은 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을 간접적으로 대변하는데 두 정맥의 군락 유형은 해발고, 토양수분, 교란 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분할됐다. 이 결과는 DCA 1축의 환경요인과 조화를 이루었다. 두 정맥은 모두 저지대에선 리기다소나무, 곰솔 등의 조림수종과 자생종이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이처럼 정맥의 저지대는 조림, 개발사업 등으로 인위적 식생교란이 심한 편이었다. 상대적으로 고지대의 능선부·상부사면·정상부는 신갈나무·굴참나무·소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유형이 양호하게 보전됐다. 차이점으론 금남호남정맥은 호남정맥보다 해발고와 위도가 높아 신갈나무우점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했다. 반면, 호남정맥은 신갈나무와 함께 소나무우점군락이었고, 남해안에 인접해 있어 곰솔우점군락이 출현했다는 점이다. TWINSPAN과 DCA 등의 정량적 식생분석에선 종조성 변화와 그 변화를 일으키는 환경요인 추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우연 출현종 제거와 환경요인을 상정한 조사계획 수립, 조사데이터의 특성에 부합한 최적의 분석기법 선택 등이 필요하다.

TWINSPAN과 DCCA에 의한 만덕산(萬德山)의 삼림군낙(森林群落)과 환경(環境)의 상관(相關)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in Mt. ManDeok by TWINSPAN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CCA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 정진철;전경수;장규관;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62-269
    • /
    • 1994
  • 만덕산의 삼림군락(森林群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環境因子)를 조사하여 TWINSPAN과 DCCA Ordination을 이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때죽나무, 굴참-신갈나무, 서어나무, 들메-층층나무 군락(群落)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주요군락(群落)들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 상관(相關) 관계(關係)를 보면 마그네슘과 유기물이 가장 많은 곳에 때죽나무 군락(群落), 칼슘이 적은 곳에는 굴참-신갈나무 군락(群落), 유효인산이 적은 곳에는 서어나무 군락(群落)이 분포(分布)하고 있었고 군락(群落)의 영향에 크게 작용한 것은 해발고였다. 전체(全體) 조사구(調査區)에서 중요치(重要値)가 가장 높은 종(種)은 굴참나무였으며 층층나무, 졸참나무, 비목, 신갈나무, 들메나무, 산딸나무, 노린재나무, 고로쇠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이었다. 주요 우점종의 종 다양도는 굴참-신갈나무 군락(群落)이 가장 높았으며 들메-층층나무 군락(群落)이 가장 낮았다.

  • PDF

TWINSPAN과 Ordination에 의한 운장산(운장산) 삼림군락(森林群落)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and Forest Community in Mt. Unjang by TWINSPAN and Ordination)

  • 정진철;장규관;최정호;장석기;오동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59-465
    • /
    • 1997
  • 운장산의 삼림군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를 조사하여 TWINSPAN과 DCCA Ordin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들메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개서어나무, 개서어나무 - 졸참나무, 신갈나무 군락 등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주요 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들메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고 유기물이 많은 계곡 및 평탄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개서어나무, 개서어나무 - 굴참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MgO, $CaCO_3$ 등이 많은 곳에,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MgO, $CaCO_3$ 등이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전체 조사구에서 중요치가 가장 높은 종은 신갈나무였으며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굴참나무, 개서어나무, 당단풍, 비목나무, 쪽동백나무 및 생강나무 순이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주왕계곡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uwang Valley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재창;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20
    • /
    • 1995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내 주왕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3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군집구조분석에는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 분포, 종다양도지수, DCA, CCA 및 TWINSPAN분석을 적용하였다. 30개 조사구의 우점수종은 소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이었으며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신갈나무-소나무-서어나무군집,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의 4개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7~l.32로 높게 나타났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조재창;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4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하여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쇠물푸레군집, 소나무-쇠물푸레-참나무류군집, 소나무-활엽수혼효림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참싸리, 진달래$\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국수나무, 산초$\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군집간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