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RANA and TWINSPAN Aided Analysi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ormation

DECORANA와 TWINSPAN을 이용한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군락 유형 분석

  • Kim Jong-Hyun (Dept. of Biology, Graduate School, Youngnam Univ.) ;
  • Park Ji-Min (Dept. of Biology, Graduate School, Youngnam Univ.) ;
  • Jung Kyung-Su (Dept. of Biology, Graduate School, Youngnam Univ.) ;
  • Ri Chong-U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ional Science, Youngnam University)
  • 김종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박지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정경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이종운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We analyzed community forming patterns and forest vegetation of goldenrain tree communities in Anmyeondo, Daegu Naegokdong, Pohang Youkangri, Yanghakri, Balsanri, Daedongbaeri, Mophori and Seochonri. The vegetation data for analysis collected from 68 quadrats of 8 sites Using the Braun-Blanquet method, from April 2002 to September 2003. A total of 201 species were found and the area was covered with $30\~100\%$ of tree layer, $0\~90\%$ of shrub layer and $20\~100\%$ of herb layer. Oplismenus undulatifolius, Pueraria thunbergiana, Quercus dentata, Clematis apiifolia, Ligustrum obtusifolium, Rosa multiflor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umulus japonicus and Robinia pseudo -acacia were the species in high frequency. To analyze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we used the technique of TWINSPAN and DECORANA. The surveyed areas with 68 quad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WINSPAN and divided into 3 communities with axis 1 date volume by DECORANA.

모감주나무군락지인 안면도 승언리, 대구 내곡동, 포항시 유강리, 양학리, 발산리, 대동배리,모포리, 서촌리를 대상으로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군락유형을 분석하였다. 2002년 4월부터 2003년 9월까지 모감주나무군락의 자연식생을 Braun-Blanquet의 방법에 의해 8개 지소에 68개의 방형구를 설치, 식생 자료를 수집하여 종조성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전 조사지 역에서 는 총 201종이 출현하였으며 식피율은 교목층 $30\~100\%$, 관목층 $0\~90\%$, 초본층 $20\~100\%$였다. 주름조개풀, 칡, 떡갈나무, 사위질빵, 쥐똥나무, 찔레, 쑥, 환삼덩굴, 아까시나무가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류법과 서열법을 통해 군락을 분석하기 위해 TWINSPAN과 DECORANA를 사용하였으며 TWINSPAN을 이용하여 68개의 방형구에 대한 군락 분석을 수행한 결과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 었으며 DECORANA를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한 결과 68개의 방형구는 I축의 값을 기준으로 3개의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 이창석, 김홍은(1988) 윌악산 삼림군집의 분포와 환경경도분석. 충북대학교자연과학연구 1: 75-84
  2.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3. 손석규, 신창호, 이정주, 유세골, 김기철, 변광원(1999) 모감주나무에 대한 내육 자생집단 조사. 한국임학회
  4. 송호경, 박관수, 이 선, 이미정, 지윤의(2000) 안면도 및 태안군 근홍면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8(1): 69-75
  5. 양인석(1990) 모감주나무의 생육지. 자연보존 69: 34-35
  6. 이석우, 김선창,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1997) 희귀수종 모감주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 86(2): 167-176
  7. 이영노(1959) 모감주나무의 해류에 의한 전파. 한국식물학회지 1 (1): 46-58
  8. 이영노(1996) Flora of korea(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863쪽
  9. 이창복(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0. 이창석, 김홍은, 박현숙, 강상준, 조현제(1993) 모감주나무 군락의 구조 및 유기 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6(4): 377-395
  11. 정영호(1991) 국제자연보호연맹이 제정한 희귀 및 위기식물 지정기준과 범례. 자연보존 73: 21-28
  1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 Aufl. Wien. 865pp
  13. Gauch, H. G.(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Cambri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98p
  14. Hill, M.O.(1979a)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99pp
  15. Hill, M.O.(1979b)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52pp
  16. Maarel, E. Van der.(1979) Transfot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14 https://doi.org/10.1007/BF00052021
  17. Simberloff, D.(1988) The contribution of population and community biology to conservation science. Ann. rev. Ecol. Syst 19: 473-511 https://doi.org/10.1146/annurev.es.19.110188.002353
  18. Soule, M.E. and D. Simberloff(1986) What do genetics and ecoloyg tell us about the design of nature reserves Biol. Conserv. 35: 19-40 https://doi.org/10.1016/0006-3207(86)90025-X
  19. Walter, H., E. Harnickell and D. Miiller-Dombois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Verlag, Berlin, 3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