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60-168
-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 김갑태, 백길전(1998)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지역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397-406
- 김갑태, 추갑철 (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한국환경생태학회 13(4): 299-308
-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의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147-153
-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산림청 .602쪽
- 산림청(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 연구. 산림청 .306쪽
- 서재철(1999) 백두대간의 환경실태와 문제점.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움. 23-53쪽
-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국립공원의 삼립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7(2): 135-154
- 임덕순(1999)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움. 1-22쪽
-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430
- 최송현(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44-353
-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2)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5(4): 354-360
-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 Hill, M.O.(1979a)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 Hill, M.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 Whittac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s 26:1-80pp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