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tor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2초

웹 기반 간호 교육을 위한 튜터의 운영 전략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utorial Management Strategy for Web-based Nursing Education)

  • 최지은;김분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5-645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and completed in order to settle down and qualitatively improve web-based nursing education by evaluating effect and managing strategy of tutor. Method: The development of tutor's managing strategy was ba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supportive Learning", then it was applied to 79 learners in one of the cyber-learning centers. After applying the tutor's managing strategy,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attitude for school, preference for compute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tutor's managing strategy for web-based nursing education are consisted of participation promotion, psychological support and motivation, recognition and promotion strategy of 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trategy of evaluating stage. Result: The levels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recognition, behavior, attitude on the school and learning achievement were meaningfully increased in statistics after applying for the managing strategy of tutor. The motivation level and learning participation kept high scores from the beginning with no significant statistical changes.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well-educated tutors in order to help the effective learning process of nurses based on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PDF

How Peer Tutoring and Peer Tutor Training Influence Korean EFL Students' Writing

  • Choi, Young Eun;Seong, Guiboke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23-47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er tutoring and peer tutor training program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FL writing. Six tutors and twelve tutees hav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tutors were divided into untrained and trained groups each of which was assigned to teach six tutees. The three peer tu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on how to give peer tutoring. After the pre-test, the tutees wrote series of drafts on three topics and received written feedback from their peer tutors via email. The results of the post-test showed improvement in writing scores in both groups. The tutees in the trained peer tutor group, however, showed much greater improvement. Their improvement was also more consistent, and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creased over time. Analysis of the peer tutors' written feedback indicated that the trained tutors focused more on the higher order concerns in writing than the untrained ones did. In the questionnaire all tutee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peer tutoring experi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peer tutor training program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bilities especially in the elements of higher order concerns.

  • PDF

역량기반 대학생 또래교수(Peer tutor) 양성교육 지원체제 구축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Establishment a System for a Competency-based Peer Tutor Training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 송명현;김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14-4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또래교수 양성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2022년 2월에 걸쳐 약 2년간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및 체제 개발, 운영 및 평가, 수정 및 보완의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심층면담, 설문조사, 문헌조사, 전문가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과 또래교수 역량의 교육요구도 순위를 종합하여 연구진은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인증제를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교육과정과 인증제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둘째,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 말까지 또래교수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운영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조사 결과, 20년도에는 평균 4.33점, 21년에는 평균 4.61점으로 나타나 양성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문과외교사(private tutor)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te Tutor's Job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김성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53-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문과외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과외교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교육특구에서 활동 중인 전문과 외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얻은 경로계수로 모형과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전문과외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학생 요인 스트레스와 행정적 지원 요인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전문과외교사의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전문과외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업무 요인 스트레스와 조직 내 갈등 요인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넷째, 전문과외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학생 요인 스트레스와 행정적 지원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속된 전문 과외 교육 회사에 대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조직몰입을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과외교사의 조직몰입의 역할 및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럽-한인 과학기술학회의 블록체인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School Program of Europe-Korea Conference on Science & Technology)

  • 김가형;최경일;김도원;손문탁;김병윤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0-199
    • /
    • 2020
  • 본 연구는 유럽-한인 과학기술학회에서 2016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 과정은 크게 사전 온라인 운영진 회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Tutor 교육, 청소년 적정 기술 과학교실 운영, 만족도 조사로 진행되었다. 개발 결과, 운영진은 사전 온라인 회의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가난한 마을살리기'라는 미션해결형 주제를 선정하였다. 참가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고 공동제작, 게임, 연극 등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새로 도입하여 1차로 개발하였고, Tutor 교육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연해보면서 개선시켰다. 2018년 EKC 과학교실에 6개국, 총 38명의 Tutee와 Tutor들이 참가하였다. 적용 결과, 참가자들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Tutee들은 돔제작활동과 해쉬함수 계산활동에 관심을 보였으며 Tutor들은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한 강의나 빌리지코인 보드게임에 흥미를 보였다. 2018 EKC 과학교실 개발과 적용은 운영진들에게는 향후 EKC 과학교실 운영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Tutor들은 첨단과학기술도 제3세계 및 공동체 사회를 위한 적정기술로의 선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경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Tutee들에게는 블록체인기술이 아프리카 마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역할극을 통해 해당 지역 상황과 공동체사회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가 평가한 튜터 역할이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on Problem-Based Learning satisfac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수진;강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42-4949
    • /
    • 2014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가 평가한 튜터 역할이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튜터 역할과 문제중심학습 만족도 도구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 20.0) 프로그램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가지 튜터 역할 중 '지식통합촉진' 역할과 문제중심학습 만족도간에 관련성이 있었고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튜터 역할은 '지식통합촉진' 역할이었다.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촉진을 위한 개인화된 e-튜터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and Developing a Personalized e-Tutor to Facilitate e-Learning)

  • 김정화;강명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1-109
    • /
    • 2011
  • 본 연구는 튜터의 존재감이 낮은 이러닝 환경에서 인간 튜터를 대신하거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존재로서 개인화된 e-튜터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튜터가 기존에 수행했던 인지적, 감성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학습지원 역할에 근거하여 14개의 학습지원요소를 규명하고, 학습자의 학습상태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e-튜터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인화된 e-튜터의 학습지원에 대한 유용성 검증은 기업에 종사하는 202명의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지원의 유용성 설문을 통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e-튜터를 적용하고자 하는 차세대 이러닝 시스템의 설계와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인지적 학습 경험이 주를 이루었던 이러닝에 감성적, 사회적 경험을 추가함으로써 이러닝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한국인의 영어 문장 발음에 대한 한국인/원어민/ILT(Interactive Language Tutor) 평가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pronunciation test scores given by Korean/Nativel/ILT(Interactive Language Tutor) raters against the Korean-spoken English sentences)

  • 이석재;박전규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83-88
    • /
    • 2003
  •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al English pronunciation assessment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rater categories. The result shows that i) correlation between Korean and Native American raters is high(r=.98) enough to be considered reliable, ii) previous instructions about assessment rubric and the knowledge about English phonetics and phonology exert little influence on the rating scores, iii) correlation between the automatic ILT(Interactive Language Tutor) rating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and Natives' rating is stronger than that between ILT and Koreans' rating.

  • PDF

학습자 수준에 적응하고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가상교수 시스템 (Learner-Adaptable Cyber Tutoring System Using Mobile Agents)

  • 김태룡;방대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51-254
    • /
    • 2001
  • 인터넷의 발달로 등장한 가상강의에서는 기존의 교사중심의 강의가 아닌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할 수 있는 강의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지식수준과 이해력 그리고 학습자가 처해 있는 환경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학습의 계획을 설정하고 학습방법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교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Tutor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Tutor 에이전트는 학습형태를 난이도별로 나누고 학습자에 맞는 난이도의 학습을 선택한다. 그리고 Tutor 에이전트는 학습자의 학습결과를 추론 알고리즘으로 학습자 수준을 결정하여 새로운 학습모델을 구성한다. 새롭게 구성된 학습모델은 학습자의 수준에 적응하는 학습이 이루어지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