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a System for a Competency-based Peer Tutor Training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역량기반 대학생 또래교수(Peer tutor) 양성교육 지원체제 구축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송명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 김미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 Received : 2022.09.05
  • Accepted : 2022.10.05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peer tutors at A University and to establish a sustainable system. It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perating, evaluating,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about two years from January 2019 to February 2022. In-depth interviews, surveys,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survey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combining in-depth interviews and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of peer tutors' competencies, the researchers designed peer tutors training curriculum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se were certified by conducting expert surveys. Second, from March 2020 to the end of February 2022, peer tutor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were operated, and as a result of a satisfaction survey of students, 4.33 points on average in 2020 and 4.61 points on average in 21, indicating high satisfa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stablishing peer tutor training programs and system i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또래교수 양성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2022년 2월에 걸쳐 약 2년간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및 체제 개발, 운영 및 평가, 수정 및 보완의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심층면담, 설문조사, 문헌조사, 전문가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과 또래교수 역량의 교육요구도 순위를 종합하여 연구진은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인증제를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교육과정과 인증제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둘째,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 말까지 또래교수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운영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조사 결과, 20년도에는 평균 4.33점, 21년에는 평균 4.61점으로 나타나 양성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아, "대학에서의 학습자 중심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강의모델 다양화' 사업의 효과 분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제4호, pp.893-916, 2020.
  2. 서금택,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제4권, 제1호, pp.49-62, 2008.
  3. 김묘정, "동료튜터링을 활용한 토픽 (TOPIK) 쓰기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 탐색-단국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40권, 제3호, pp.149-173, 2021.
  4. 이승구, 박승희,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pp.297-324, 2011.
  5. 정미진, 권성룡,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제13호, 제1권, pp.127-153, 2011.
  6.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안드라고지 투데이, 제13권, 제3호, pp.1-32, 2010.
  7. 김지현, "대학생 튜터가 피어튜터링(peer tutoring)에서 체험하는 교육적 난점," 교육원리연구, 제16권, 제2호, pp.117-164, 2011.
  8. 배성화, 노수림,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pp.247-277, 2014.
  9. 이성하, 최명숙, "대학생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참여역할, 학년, 팀구성 방식에 따른 튜터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차이," 교육방법연구, 제25권, 제4호, pp.683-705, 2013.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4.683
  10. 곽정숙, 우승희,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272-28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272
  11.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315-335, 2013.
  12. 안현아, 박영신, 김경이, 장미숙,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 권, 제10호, 357-377, 2016.
  13. P. Comfort and J. McMahon, "The effect of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6, No.1, pp.168-175, 2014. https://doi.org/10.1108/JARHE-06-2012-0017
  14. 권명옥, 나정순, 정은경, 권영국, 홍혜정, "선후배 간 멘토링과 멘토 교육 프로그램이 국군간호사관생도의 적응, 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군진간호연구, 제35권, 제1호, pp.79-99, 2017.
  15. 김연경, 송해덕, "대학의 동료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5호, pp.229-250, 2015.
  16. 송명현, 하태인, 김우철, "또래교수 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13권, 제1호, pp.155-163, 2021. https://doi.org/10.14702/JPEE.2021.155
  17. 김지연, 청소년 멘토링 활동 운영 매뉴얼 개발, 서울: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18. 전광석,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의 역량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국내 석사학위논문, 2008.
  19. 이미영, "대학생 멘토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 교육 프로그램이 멘토의 대인 의사소통능력, 인성,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8권, 제1호, pp.13-23, 2020.
  20. M. Nguyen, "Peer tutoring as a strategy to promote academic success. Duke University Research Brief," Retrieved March 23, 2015, from http://childandfamilypolicy.duke.edu/pdf s/schoolresearch/2012_PolicyBriefs/Ngu yen_P olicy_Brief.pdf, 2013.
  21. T. Chin, J. Rabow, and J. Estrada, Tutoring matters: Everything you always wanted to know about how to tutor(2nd ed), Philadelphia, PA: Temple University Press, 2011.
  22. 이혜경, 조미경, "대학생 그룹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멘토역량 척도 개발 연구 : 대학생그룹 멘토 참여자를 대상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9 권, 제2호, pp.61-87, 2012.
  23. 고진영, 정기수,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475-504, 2017.
  24. 이재진, 김성욱, 이가영, "역량.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대학생 e 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와 프로토타입 개발: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52-56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552
  25. 김지은, "영어교육전공의 핵심역량중심 학습 프레임 워크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7호, pp.459-46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459
  26. 임광현, 강지혜, "대학 자체교육인증제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233-243,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233
  27. 고진영, 정기수,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475-504, 2017.
  28. 문희정,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pp.59-80, 2019.
  29. 류수진, "국립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관한 사례연구," 인문사회 21, 제12권, 제5호, pp.847-858, 2021.
  30. https://www.inha.ac.kr/sites/kr/files/2022/2022%%EC%9D%B8%ED%95%98%%EB%8D%94%EB%B0%B0%EC%9B%80(%EB%B9%84%EA%B5%90%EA%B3%BC)%%EA%B0%80%EC%9D%B4%EB%93%9C%EB%B6%81.pdf
  31.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472
  32. https://www.hanbat.ac.kr/kor/sub05_030107.do
  33. 정현석, 이철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13권, 제2호, pp.421-433, 2021. https://doi.org/10.14702/JPEE.2021.421
  34. 정윤숙, 윤희정, 공성수,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제13권, 제5호, pp.293-321, 2019.
  35. 한승록, "역량모델 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전략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8권, pp.421-44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