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or suppressor gen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105초

BRCA1 Promoter Hypermethylation Signature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n the Vietnamese Population

  • Truong, Phuong Kim;Lao, Thuan Duc;Doan, Thao Phuong Thi;Huyen, Thuy 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607-9610
    • /
    • 2014
  • Breast cancer, a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women in most countries worldwide, is rapidly increasing in incidence in Vietnam. One of biomarkers is the disruption of the genetic material including epigenetic changes like DNA methylation. With the aim of finding hypermethylation at CpG islands of promoter of BRCA1 gene, belonged to the tumor suppressor gene family, as the biomarker for breast cancer in Vietnamese population, sensitive methyl specific PCR (MSP) was carried out on 115 samples including 95 breast cancer specimens and 20 normal breast tissues with other diseases which were obtained from Ho Chi Minh City Medical Hospital, Vietnam.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frequency of BRCA1 hypermethylation reached 82.1% in the cases (p<0.001). In addition, the DNA hypermethylation of this candidate gene increased the possibility to be breast cancer with high incidence via calculated odd ratios (p<0.05). In conclusion, hypermethylation of this candidate gene could be used as the promising biomarker application with Vietnamese breast cancer patients.

Control and Mechanism of Tumor Promotion in UV-Carcinogenesis

  • Ueda, Masato;Budiyanto, Arief;Ashida, Masashi;Bito, Toshinori;Ichihashi, Masamits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1-224
    • /
    • 2002
  • Carcinogenesis can be theoretically divided to intiation step and promotion step. Intiation associates with genetic alterations including p53 tumor suppressor gene and ras oncogene. Promotion involves in clonal expansion of of an initiated cell by epigenetic mechanism, mainly through signal transduction and gene expression. Ultraviolet light (UV) acts as both initiator and promoter. Initi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DNA damage induced by UV, including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6-4) photoproducts and 8-hydroxy-2'-deoxyguanosine.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and (6-4) photoproducts are directly induced by UV, while 8-hydroxy-2'-deoxyguanosine is induced indirectly by the reactive oxygen species. Because initiation is an irreversal genetic event, while promotion is a reversal and epigenetic event, to know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umor promotion in UV-carcinogenesis is crucial to develop preventive medicine and suppress UV-carcinogenesis. Because ROS is also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 of the cell, anti-oxidant could be the good candidate of anti-promoting agent. Here, we describe the suppressive effect of UV-carcinogenesis by various anti-oxidant including olive oil. In addition, we discuss about the mechanism of UVB-induced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which might be a representative molecule involved in promotion of UV-carcinogenesis.

  • PDF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p16 종양억제유전자와 Death-Associated Protein Kinase의 Aberrant Methylation의 양상 (Aberrant Methylation of p16 Tumor Suppressor Gene and Death-Associated Protein Kinase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김윤성;이민기;정경식;김기욱;김영대;이형렬;이창훈;석주원;김용기;전은숙;최영민;나서희;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08-121
    • /
    • 2001
  • 배 경 : p16 종양 억제 유전자 promoter의 aberrant methylation에 의한 불활성화가 비소세포 폐암이 발병하는 초기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며, DAP kinase 유전자 promoter의 hypermethylation은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폐암의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 법 : 본 연구는 비소세포 폐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총 35 예를 대상으로 MSP률 이용하여 p16 유전자와 DAP kinase의 비정상적인 methylation의 양상을 조사하여, 폐암에서 두 유전자의 메틸화 빈도, 진단적 응용의 가능성 빛 임상적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 35예중 p16 유전자의 aberrant methylation은 33예중 13예(39.4%)에서, DAP kinase 유전자 hypermethylation은 35예중 21예(60%)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55 세 이상에서 p16의 aberrant methylation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DAP kinase는 병기의 진행도에 따라 발현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p16 유전자와 DAP kinase 유전자간의 메틸화 양상에서도 연관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p16과 DAP kinase 유전자중 하나라도 비정상적인 메틸화가 발견된 경우는 전체 대상의 74.3% 로 비교적 높은 빈도로 관찰되어 폐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분자 생물학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염색체 5번의 장완에 위치한 종양억제유전자좌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Loci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 조은송;김호근;조철호;장준;정경영;김영삼;박재민;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49-59
    • /
    • 2000
  • 연구배경 : 암 발생 및 진행 과정 중 암유전자의 활성화,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는 많은 경우에서 하나의 대립형질의 돌연변이와 다른 대립 형질의 결손에 의한다고 한다. 따라서 암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특이 종양 억제유전자를 찾고자 종양 억제유전자 불활성의 특성인 LOH를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여 왔다. 아직까지 소세포폐암과 관련된 특이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발성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진행에 병인적 중요성을 갖는 종양억제 유전자를 찾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원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15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암 조직과 이에 대응하는 정상 조직의 파라핀포매 블록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으며, 염색체 5번 장완에 위치하는 19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들을 이용하여 PCR-LOH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15예 중에서 LOH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10예로 66.7%이었다 (Fig. 1). 2) LOH가 있는 10예 중 검사를 시행한 모든 표지자들의 결혼이 있는 경우는 2예(SCLC1, SCLC3)로써 13%이었다 (Fig. 1). 3) 경사를 시행한 19개의 표지자들중 5개에서 50% 이상의 LOH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5q14-15에 위치하는 D5S409와 5q23-31에 위치하는 D5S404와 사이인 18.3 cM 간격에서 57.1%, 5q31.l에 위치한 IRF-1에서 63.6%, 5q31.3-33.3에 위치하는 D5S209에서 54.5%, 5q34-35에 위치하는 D5S400에서 54.5%, 그리고 5q34-qter에 위치하는 D5S429와 5q35.2-35.3에 위치하는 D5S498사이인 5.5cM 간격에서 75%의 빈도로 관찰되었다(Table 1, Fig. 1, Fig. 2). 4) Shifted bands는 15예 중 3예에서 관찰되었는데 SCLC8에서 26.3%, SCLC 6 에서 5.3%, SCLC14 에서 5.3%의 altered loci가 관찰되었다 (Fig. 1, Fig. 2). 5) Shifted bands는 검사한 총 285 loci 중 2.5%인 7 loci에서 관찰되었다 (Fig. 1). 결론 : 염색체 5번의 장완에는 원발성 소세포폐암 일부에서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최소 5개의 종양억제유전자좌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특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염색체 16번의 단완에 위치한 종양억제유전자좌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Loci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 16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 기현정;신주혜;장준;정경영;신동환;김영삼;장윤수;김성규;곽승민;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6호
    • /
    • pp.597-611
    • /
    • 2003
  • 연구배경 : 다양한 암종들에서 빈번히 발견되는 염색체 16번 단완의 돌연변이가 소세포폐암의 발생 및 진행과 관련하여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억제유 전자좌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원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23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암 조직과 이에 대응하는 정상 조직의 파라핀 포매 블록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으며, 염색체 16번 단완에 위치하는 20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들을 이용하여 PCR-LOH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23예 중에서 LOH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6예로 26.1%이었다(Fig. 1) 2) LOH가 있는 6예 중에서 비교적 넓은 부위의 결손이 관찰된 경우는 2예(SCLC1, SCLC2)로써 전체의 8.7%이었다(Fig. 1). 3) 검사를 시행한 20개의 표지자들중 50% 이상의 LOH 빈도를 보인 경우는 없었으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우월하게 빈번한 빈도를 보인 부위는 D16S3024와 D16S748 사이에서 18.2%, D16S405에서 143%, D16S668과 D16S749 사이에서 21.1%, 그리고 D16S420과 D16S753에서 각각 8.3%의 빈도로 관찰되었다(Table 1, Fig. 1, Fig. 2) 4) Shifted bands는 23예 중 6예에서 관찰되었는데 a1tered loci의 빈도는 5~35% 이었다(Fig. 1, Fig. 2). 5) Shifted bands는 검사한 총 460개 loci중 3.3% 인 15 loci에서 관찰되었다(Fig. 1). 결 론 : 본 연구 결과 LOH 빈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으나 염색체 16번의 단완에는 원발성 소세포폐암 일부에서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최소 5개의 종양억제유전자좌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특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ypermethylation of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1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 Saelee, Pensri;Chuensumran, Ubol;Wongkham, Sopit;Chariyalertsak, Sunanta;Tiwawech, Danai;Petmitr, Songs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489-3493
    • /
    • 2012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e most common primary hepatic tumor, is highly preval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including Thailand. Many genetic and epigenetic alterations in HCC have been elucid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berrant methylation of the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1 gene (SOCS1) occurs in HCCs. Methylation specific-PCR assay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methylation status of SOCS1 in 29 tumors and their corresponding normal liver tissues. An abnormal methylation status was detected in 17 (59%), with a higher prevalence of aberrant SOCS1 methylation significantly correlating with HCC treated without chemotherapy (OR=0.04, 95%CI=0.01-0.31; P=0.001). This study suggests that epigenetic aberrant SOCS1 methylation may be a predictive marker for HCC patients.

후생유전학 (Epigenetics)과 DNA methylation의 이해 (UNDERSTANDING OF EPIGENETICS AND DNA METHYLATION)

  • 오정환;권용대;윤병욱;최병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02-309
    • /
    • 2008
  • DNA 메틸화는 histone modification과 함께 DNA의 염기서열이 유지되면서 유전기능이 변화되고 자손까지 전달 될 수 있는 후생 유전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DNA 메틸화는 크로마틴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유전자와 repetitive sequence의 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DNA 메틸화는 X-불활성화, 유전체 각인, 유전자 발현조절, 암 생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DNA 메틸화 표지자 (DNA methylation marker)들은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DNA메틸화, 메틸화에 의한 gene silencing, DNA 메틸화의 표적부위 등에 대한 명확한 기전이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어 향후 더 많은 기초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최근에는 후생 유전적 변화는 가역적이기 때문에 종양억제유전자를 억압하는 후생 유전적 변화를 제거한다면 그 종양억제유전자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개념의 후생유전 치료법 연구로 DNA 메틸화 억제제와 histone deacetyaltion에 관여하는 HDAC의 억제제들이 항암제로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향후 더 많은 약제 개발과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denovirus-p53이 비소세포폐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denovirus-p53 to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 박종호;이춘택;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34-1146
    • /
    • 1998
  • 배경:종양억제 유전자인 p53은 폐암을 비롯하여 인체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종양들에 있어서 가장 빈번히 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로 알려져 왔으며, 정상적인 p53은 세포분화 과정 중 G1 arrest 또는 세포자멸을 통하여 세포 성장을 억제한다는 증거들이 발견되고있다. 더불어 유전자 치료에 p53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상 및 방법: 이런 p53 단백질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정상세포나 종양세포 안에 과량의 p53을 발현시킬 수 있는 p53 표현 중개물(expression vectors)을 이용할 수 있다. 우리는 각기 다른 p53 성질을 지니고 있는 네가지 비소세포폐암 세포를 대상으로 정상적인 p53을 지닌 adenovirus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에 Adenovirus-p53을 이입시킬 경우 p53 단백질이 증가하는지의 여부와 Adenovirus-p53이 종양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p53에 의한 세포 독성에 있어서 세포자멸과의 관련성 여부 및 실험관 안에서 Adenovirus-p53이 비소세포폐암의 종양형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 이번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변이성 p53을 갖고 있거나 p53 유전자가 없는 비소세포폐암 세포는 정상적인 p53을 가지고 있는 종양세포에 비하여 Adenovirus-p53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정도가 높았으며, p53을 과발현시킬 경우 세포자멸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Adenovirus-p53은 비소세포폐암의 집락 형성 능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이미 형성된 집락도 그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결과: 이번 실험의 결과로 adenovirus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에 종양억제유전자를 이입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매개물이며, 특히 p53이 소실되거나, 변이를 일으킨 종양세포들은 Adenovirus-p53에 의하여 쉽게 세포자멸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PDF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p53 단백과 Cyclin D1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XPRESSION OF p53 PROTEIN AND CYCLIN D1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 김종엽;김경욱;이재훈;김창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39-148
    • /
    • 1999
  • Oral cancer is a common neoplasm in humans and etiologic mechanism is not well known, so treatment and evaluation of oral cancer is difficult problem. Traditional TNM classification between prognosis of tumors and classification of histopathologic differentiation has problem like lack of objectivity through operators. In molecular biology, cancer is developed by alteration of activation of oncogene and/or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 The p53 gene, one of the tumor suppresor genes, is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hrough mutation and overexpression in the progression of human cancers. The p53 mutation is most frequent genetic disorder in humans. The Cyclin D1 has tumor suppresion activity by regulation of cell cycle. The Cyclin D1 regulate activity of Rb tumor suppresor gene by stimulation of CDK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p53 protein and Cyclin D1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o get expectation of the malignancy and progno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the 15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he microscopic H&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We divided it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stain extent, clinical stage and histologic different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1.In the feature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15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positive reaction of p53 was identified in 8 cases (53.3%) and positive reaction of cyclin D1 was identified in 3 cases (20%). Both positive reaction of p53 protein and Cyclin D1 was show in only one case. 2.8 of p53 positive cases were linked in 87.5% of the end stage tumor, 62.5% of neck node involvement, 87.5% of poorly and moderately histopathplogic differentiation. 3. All 3 of Cyclin D1 positive cases were linked in the end stage tumor, neck node involvement, poorly and moderately histopathologic differentiation. From above results, expression of p53 protein was identified in 53.3% of 15 cases and these results me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as drived by mutation of p53 protein. Especially, highly positive reaction of p53 protein and Cyclin D1 was identified in cases that involvement of neck lymph node and the end stage tumors and it means that the evaluation of p53 protein and Cyclin D1 was useful for evaluation of malignant tumor as specific tumor marker.

  • PDF

Atypical teratoid rhabdoid brain tumor in an infant with ring chromosome 22

  • Cho, Eun Hae;Park, Jae Bok;Kim, Jin 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7호
    • /
    • pp.333-336
    • /
    • 2014
  • Reports of constitutional ring chromosome 22, r(22) are rare. Individuals with r(22) present similar features as those with the 22q13 deletion syndrome. The instability in the ring chromosom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able phenotypes. Central nervous system (CNS) atypical teratoid rhabdoid tumors (ATRTs) are rare, highly malignant tumors, primarily occurring in young children below 3 years of age. The majority of ATRT cases display genetic alterations of SMARCB1 (INI1/hSNF5 ), a tumor suppressor gene located on 22q11.2. The coexistence of a CNS ATRT in a child with a r(22) is rare. We present a case of a 4-month-old boy with 46,XY,r(22)(p13q13.3), generalized hypotonia and delayed development. High-resolution microarray analysis revealed a 3.5-Mb deletion at 22q13.31q13.33. At 11 months, the patient had an ATRT ($5.6cm{\times}5.0cm{\times}7.6cm$) in the cerebellar vermis, which was detected in the brain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