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염색체 5번의 장완에 위치한 종양억제유전자좌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Loci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 조은송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BK21 의과학사업단) ;
  • 김호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조철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영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민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Cho, Eun-Song (Department of Brain Korea 21 Project for Medic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o-Guen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Chul-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Kyung-Young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S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0.07.30

초록

연구배경 : 암 발생 및 진행 과정 중 암유전자의 활성화,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는 많은 경우에서 하나의 대립형질의 돌연변이와 다른 대립 형질의 결손에 의한다고 한다. 따라서 암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특이 종양 억제유전자를 찾고자 종양 억제유전자 불활성의 특성인 LOH를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여 왔다. 아직까지 소세포폐암과 관련된 특이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발성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진행에 병인적 중요성을 갖는 종양억제 유전자를 찾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원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15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암 조직과 이에 대응하는 정상 조직의 파라핀포매 블록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으며, 염색체 5번 장완에 위치하는 19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들을 이용하여 PCR-LOH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15예 중에서 LOH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10예로 66.7%이었다 (Fig. 1). 2) LOH가 있는 10예 중 검사를 시행한 모든 표지자들의 결혼이 있는 경우는 2예(SCLC1, SCLC3)로써 13%이었다 (Fig. 1). 3) 경사를 시행한 19개의 표지자들중 5개에서 50% 이상의 LOH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5q14-15에 위치하는 D5S409와 5q23-31에 위치하는 D5S404와 사이인 18.3 cM 간격에서 57.1%, 5q31.l에 위치한 IRF-1에서 63.6%, 5q31.3-33.3에 위치하는 D5S209에서 54.5%, 5q34-35에 위치하는 D5S400에서 54.5%, 그리고 5q34-qter에 위치하는 D5S429와 5q35.2-35.3에 위치하는 D5S498사이인 5.5cM 간격에서 75%의 빈도로 관찰되었다(Table 1, Fig. 1, Fig. 2). 4) Shifted bands는 15예 중 3예에서 관찰되었는데 SCLC8에서 26.3%, SCLC 6 에서 5.3%, SCLC14 에서 5.3%의 altered loci가 관찰되었다 (Fig. 1, Fig. 2). 5) Shifted bands는 검사한 총 285 loci 중 2.5%인 7 loci에서 관찰되었다 (Fig. 1). 결론 : 염색체 5번의 장완에는 원발성 소세포폐암 일부에서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최소 5개의 종양억제유전자좌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특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 Recent cytogenetic studies indicated that long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s a frequent event in small cell lung canær (SCLC),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tumor suppressor gene in its place. To map the precise tumor-suppressor loci on the chromosome arm for further positional cloning efforts, we tested 15 primary SCLCs. Methods : The DNAs extracted from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with primary tumor and corresponding control tissue were investigated. Nineteen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located i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were used in the microsatellite analysis. Results : We found that ten (66.7%) of 15 tumors exhibited LOH in at least one of tested microsatellite markers. Two (13%) of 10 tumors exhibiting LOH lost a larger area in chromosome 5q. LOH was observed in five common deleted regions at 5q. Among those areas, LOH between 5q34-qter and 5q35.2-35.3 was most frequent (75%). LOH was also observed in more than 50% of the tumors at four other regions, between 5q14-15 and 5q23-31, 5q31.1, 5q31.3-33.3, and 5q34-35. Three of 15 tumors exhibited shifted bands in at least one of the tested microsatellite markers. Shifted bands occurred in 2.5% (7 of 285) of the loci tested. Conclusion : Our data demonstrated that at least five tumor-suppressor loci exist i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and that the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mall cell lung cancer tumorigene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