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sodium phosphat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발전성능 향상을 위한 에너지 효율 연구 (Research of Energy Efficiency for Power Plant Performance Improvement)

  • 이재근;문전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20-226
    • /
    • 2010
  •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improvement in closed cooling water system of an electric power generation can be achieved by a corrosion control using corrosion inhibitors. The effect of trisodium phosphate and sodium nitrite upon carbon steel at various $Cl^{-1}$ ion containing water concentrations was examined by an integrated corrosion monitoring system. Nitrite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hibitor among tested inhibitors for carbon steel. The inhibiting process is considered as adsorption of nitrite ions in oxide layer which form a passive film on the carbon steel surface.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비소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Phosphate Addition in Flotation to Remove As in Tailings from Sangdong Mine)

  • 황민수;김소연;강헌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5호
    • /
    • pp.55-61
    • /
    • 2014
  • As의 평균함량이 285 mg/kg인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As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3인산나트륨(이하 T.S.P)을 분산제로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하였다. 먼저 분산제 없이 부유선별을 진행한 결과, As제거율은 88.7%, 부상물의 무게비는 2.52%였고 추가적으로 T.S.P를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각 92.74%, 2.26%로 As제거율은 증가하고 부상물의 무게비는 감소하였다. 두 실험의 부상물을 대상으로 입도분석을 진행한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부상물은 평균입도가 19.34 um, 10 um이하의 양이 전체의 40.2%인 반면 T.S.P를 첨가할 경우, 각각 176.8 um, 6.5%였으며 이를 통해 미립입자의 부유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X.R.F 분석을 통해 두 실험 부상물의 실리카($SiO_2$)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42.74%, 첨가한 부상물의 경우 29.56%로 실리카계열의 친수성입자가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유가 억제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인산염의 첨가와 침지가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저장 중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Addition Alone or in Combined with Dipping in Trisodium Phosphate Solution on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유미;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4-90
    • /
    • 2012
  • 본 연구는 인산염의 첨가와 침지가 저지방 소시지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및 저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저지방 소시지에 0.4% STPP를 첨가하고, 10% TSP 용액에 침지함에 따라 pH값이 증가하였다. STPP의 첨가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는 반면, 10% TSP 침지구의 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약 5 Log CFU/g로 접종된 Listeria monocytogenes(LM) 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4주에 8.03-8.22 Log CFU/g로 나타났고 8주에는 7.89 Log CFU/g로 약간 감소했다. 접종된 저지방 소시지의 저장 중 총균과 LM균의 성장은 10%의 TSP 침지에 의해 pH의 증가로 유의적으로 더 촉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인산염 첨가 및 침지는 pH와 색도(명도와 황색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저장기간 중 뚜렷한 항균 및 항산화 효과는 없었다.

CHEMICAL EFFECTS ON PWR SUMP STRAINER BLOCKAGE AFTER A LOSS-OF-COOLANT ACCIDENT: REVIEW ON U.S. RESEARCH EFFORTS

  • Bahn, Chi Bu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95-310
    • /
    • 2013
  • Industry- or regulatory-sponsored research activities on the resolution of Generic Safety Issue (GSI)-191 were reviewed, especially on the chemical effects. Potential chemical effects on the head loss across the debris-loaded sump strainer under a post-accident condition were experimentally evidenced by small-scale bench tests, integrated chemical effects test (ICET), and vertical loop head loss tests. Three main chemical precipitates were identified by WCAP-16530-NP: calcium phosphate, aluminum oxyhydroxide, and sodium aluminum silicate. The former two precipitates were also identified as major chemical precipitates by the ICETs. The assumption that all released calcium would form precipitates is reasonable. CalSil insulation needs to be minimized especially in a plant using trisodium phosphate buffer. The assumption that all released aluminum would form precipitates appears highly conservative because ICETs and other studies suggest substantial solubility of aluminum at high temperature and inhibition of aluminum corrosion by silicate or phosphate. The industry-proposed chemical surrogates are quit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head loss across the debris-loaded bed and more effective than the prototypical aluminum hydroxide precipitates generated by in-situ aluminum corrosion. There appears to be some unresolved potential issues related to GSI-191 chemical effects as identified in NUREG/CR-6988. The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however, conclud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se issues are either not generically significant or are appropriately addressed, although several issues associated with downstream in-vessel effects remain.

Corrosion behavior of aluminum alloy in simulated nuclear accident environments regarding the chemical effects in GSI-191

  • Da Wang ;Amanda Leong;Qiufeng Yang ;Jinsuo Z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062-4071
    • /
    • 2022
  • Long-term aluminum (Al) corrosion test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that would generate severe Al corrosion and precipitation. Buffer agents of sodium tetraborate (NaTB), trisodium phosphate (TSP) and sodium hydroxide (NaOH) were adopted. The insulation materials, fiberglass and calcium silicate (Ca-sil), were examined to explore their effects on Al corrosion.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precipitates were formed in both NaTB/TSP-buffered solutions at high pH. The precipitates formed in NaTB solution raise more concerns on chemical effects in GSI-191. A passivation layer formed on the surfaces of coupon in solution with the presence of insulations could effectively mitigate Al corrosion. The Fe-enriched intermetallic particles (IPs) embedded in coupon appeared to serve as seeds to readily induce precipitation via providing extra area for heterogeneous Al hydroxide precipitation. X-ray spectroscopy (EDS) and X-ray diffraction (XRD) analyses indicate that the precipitates are mainly boehmite (γ-AlOOH) and no direct evidence confirms the presence of sodium aluminum silicate or calcium phosphate.

천연색 인화지용 사진유제 제조와 경막 시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otographic Emulsion Manufacture for Color Paper and Hardening Test)

  • 김영찬
    • 정보학연구
    • /
    • 제8권4호
    • /
    • pp.43-50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ic emulsion manufacture and hardening test of color paper. The hardene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cyanuric chloride with sodium hydroxide, disodium hydrogenphosphate-12-water and trisodium phosphate-12-water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hardener used in this study is a 2,4-dichloro-6-hydroxy-1,3,5-triazine mono sodium salt. The hardening test of photographic emulsion was studied respectively at pH 5.5, 7, 8.5 and about increasing temperature. Novel hardener can be used in photo-graphic emulsion of color paper and showed very good hardening effect.

  • PDF

디젤발전 자켓냉각시스템 열성능 향상 연구 (Performance Research of a Jacket Cooling Water System in a Diesel Electric Generation)

  • 이재근;문전수;윤석원;박필양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34-539
    • /
    • 2009
  • One of the most efficient techniques improving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a diesel electric generation is a corrosion control in jacket cooling water system.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most affecting corrosion are dissolved salt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 of cooling water. No corrosion occurs in carbon steel probe at pH 11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of diesel electric generation cooling water. pH control agent in this study is trisodium phosphate. pH control appears to be the most convenient way to enhance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diesel electric generation.

계육에 오염된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평가 (Assessment of Inactivation for Campylobacter spp. Attached on Chicken Meat)

  • 장금일;정헌상;김정호;김광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2-3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제 처리에 의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Campylobacter균의 계육중 오염 부위는 계육 표면의 주름진 틈 사이 및 모공 주변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TSP처리에 의한 Campylobacter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Campylobacter 균은 활성상태인 나선형에서 구형으로 형태변환이 발생하였는데, 구형으로 변환된 Campylobacter균은 배양된 배지성분이 제거된 경우 불활성화 효과가 나타내는 반면, 배지성분이 잔존한 경우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되지 않은 VBNC의 구형 상태로 잔존하였다. 또한 계육 표면에 오염된 Campylobacrer균을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TSP를 처리하였을 때, Campylobacter균의 모양이 구형으로 변환되었지만,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계육 표면에 VBNC 형태로 잔존하여 배지성분을 제거시킨 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Campylobacter균의 배지성분 내의 유기물 및 계육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TSP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다양한 위생제 처리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을 추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점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균에 대하여 위생제 처리에 의한 불활성화 효과를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객담보관온도별 결핵균의 생활력 변화와 오염방지를 위한 방부제에 관한 연구 (Viability Change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the Sputum Specimens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or without Preservatives)

  • 김상재;황해도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5-439
    • /
    • 1986
  • 보관온도 및 기간에 따른 객담내 인형결핵균의 생활력 변화와 객담오염 방지를 위한 방부제의 선택을 위해 도말염색표본에서 현미경으로 항산균을 검출할 수 있었던 41개의 객담으로 관찰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객담을 $4^{\circ}C$에 보관할 경우 1주까지는 모두 배양검사에서 결핵균이 발육했으나, 2, 3, 4주에서는 각각 9.8%, 19.5% 및 25.8%의 객담이 배양에서 결핵균이 발육하지 않았다. $25^{\circ}C$에서는 1주에서도 19.5%의 객담이 배양음성이었고, 2, 3, 4주에서는 각각 36.6%, 70.7%, 90.2%가 배양음성이라 고온보관으로 균이 많이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5^{\circ}C$에서 객담을 1주이상 보관하면 오염율도 매우 높았다. 이와 같은 오염을 0.5% boric acid(BA), 5% trisodium phosphate(TP) 및 0.5% cetylpyridium chloride(CP) 첨가로 막을 수 있으나, CP를 제외하고는 결핵균에 유독해 방부제로 적합하지 않았다. CP 첨가 객담은 $25^{\circ}C$이상의 여름철 기온에서 3, 4주간 방치해도 각자 61.0% 및 31.7%가 배양에서 결핵균이 발육하였다. 그런데 BA첨가 객담은 같은 기간에 각각 34.1% 및 4.9%만이 배양양성이라 균에 유독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을 때 객담을 배양할 수 있는 검사실까지 운송하는데 2주이상 걸리는 상황에서는 CP가 유용한 방부제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본다.

  • PDF

공초점 현미경 및 유세포 분류기를 이용한 계육에서의 Salmonella균 불활성화 평가 (Assessment of Inactivation for Salmonella spp. on Chicken Meat using Confocal Laser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 장금일;정덕화;하상도;김근성;이규호;김민곤;김철호;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0-29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제 처리에 의해 식품에 존재하는 식중독성미생물의 불활성화 효과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위생재 처리에 의한 식중독성 미생물의 불활성화 효과를 기존의 plate count 방법으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균주의 특성 및 배양환경과 같은 변수 때문에 정확하게 분석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먼저 Salmonella균은 계육 표면의 주로 모공 또는 표면의 주름진 틈사이에 오염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TSP 처리에 의한 Salmonellar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CLSM과 flow cytometry의 다색 영상화 방법을이용하여 cell viability 염색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Salmonellar균으로 오염된 계육에 TSP 처리하였을 때, Salmonellar균이 계육의 오염부위에서 불활성화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품에 존재하는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하여 다양한 위생제 처리에 의한 불활성화 효과를 cell viability 측면에서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고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