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terygium regelii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5초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 박인환;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5-66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to recommend basic information for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2011 and totally 46 vegetation data including 42 families 93 genera 108 species 16 varieties and 5 form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investigated 129 taxa, the numbers of rare plant resources were summarized as 19 tax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the endemic plants were listed as 3 taxa, 15 taxa and 4 taxa, respectively.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of Mt. Biseul was classified into 3 plant communities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ripterygium regelii subunit and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by human interference degree. And synecology, syndynamics, synchorology of these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nd Site-species ordination analysis by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reflected that human impact,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refore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4 habitat types : unstable-dry type=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unstable-moderate type=Tripterygium regelii subunit, stable-dry type=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stable-moderate type=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Finally, through the vegetational diagnosis, proper management methods such as a limit on the access of visitors, planting of native woody plants after removing unwanted vines or grass were suggested.

함백산 천연생 주목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Forest of Taxus cuspidata in Mt. Hambaek)

  • 장용석;신만용;정동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7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함백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함백산에 있어서 주목-시닥나무- 미역줄나무-큰개별꽃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109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물 69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 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났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큰개별꽃이 우점종_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 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소백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SouBaik)

  • 장용석;신창섭;양덕춘;정동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4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덕유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 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소백산의 경우 주목-시닥나무-미역줄나무-조릿대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85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 물 45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 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냈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 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DuckYoo)

  • 장용석;양덕춘;정동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66
    • /
    • 2004
  •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덕유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 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소백산의 경우 주목-시닥나무-미역줄나무-조릿대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85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 물 45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 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냈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 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 김갑태;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7-406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의 대청봉-한계령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45개의 방형구(20m*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네 개의 군집, 신갈나무-당단풍 군집, 분비나무-피나무-신갈나무 군집, 분비나무-주목 군집, 분비나무-신갈나무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분비나무와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눈잣나무; 분비나무와 털진달래; 사스래나무와 눈잣나무; 사스래나무와 털진달래; 눈잣나무와 털진달래; 신갈나무와 철쭉꽃; 신갈나무와 병꽃나무; 나래회나무와 개회나무; 나래회나무와 산가막살나무; 부게꽃나무와 참회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사스래나무와 당단풍; 신갈나무와 미역줄나무; 철쭉꽃과 미역줄나무; 까치박달과 당단풍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저사지의 종다양도는 2.1352~2.8016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진운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3
    • /
    • 1994
  • 덕유산 백련사-향적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거제수나무와 층층나무, 고로쇠나무와 피나무, 피나무와 음나무, 괴불나무와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시닥나무와 주목 및 백당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당단풍과 백당나무, 미역줄나무와 국수나무, 시닥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402~l.247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향적봉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사스래나무 및 구상나무 등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The Change of Seedling Emergence of Abies koreana and Altitudina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ubalpine Area of Mt. Jiri over Short-Term(2015-2017))

  •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3-322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 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Downregulation of fungal cytochrome c peroxidase expression by antifungal quinonemethide triterpenoids

  • Seo, Woo-Duck;Lee, Dong-Yeol;Park, Ki Hun;Kim, Jin-Hy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281-284
    • /
    • 2016
  • To handle the development of antifungal drug resistance, the development of new structural modules and new modes of action for antifungals have been highlighted recently. Here, the antifungal activity of quinonemethidal triterpenoids such as celastrol, dihydrocelastrol, iguestein, pristimerin, and tingenone isolated from Tripterygium regelii were identified (MIC $0.269-19.0{\mu}M$). C. glabrata was the most susceptible to quinonemethide among the tested fungi. Furthermore, quinonemethide suppressed cyctochrome c peroxidase expression dramatically, decreasing fungal viability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hydrogen peroxide. Thus, cyctochrome c peroxidase downregulation of quinonemethide may be a key mode of action for antifungals.

남한지역 마가목 자생임지의 식생조성과 구조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rbus commixta -Native Forests in South Korea)

  • 조현제;최명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1-219
    • /
    • 2005
  • 남한지역의 마가목 자생임지를 대상으로 군락생태학적 측면에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그 식생조성과 구조가 연구되고, 추출된 각 식생단위에 대한 몇 가지 생태학적 특성(층별 피도, 종상관, 군락 유사성, 상대중요치, 군락다양성, 군락상재도 등)이 분석되었다. 남한지역에서의 마가목 자생임지의 식생유형은 크게 내륙고산의 미역줄나무-신갈나무형(군락군수준)과 울릉도의 섬단풍-너도밤나무형(군락군수준)으로 구분되었으며, 10개의 식생단위가 수반되었다. 생육형별 종상관에서는 120개의 상관 중 교목은 23개, 관목은 21개, 만목은 10개 그리고 초본은 25개가 ${\le}1\%$ 수준에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마가목을 중심으로 한 생육형별 종상관을 보면, 교목류는 섬단풍, 섬피나무 등이 ${\le}1\%$, 관목류는 섬조릿대. 작살나무, 섬쥐똥나무 등이 ${\le}5\%$, 만목류는 미역줄나무, 다래 등이${\le}1\%$, 그리고 초본류는 큰두루미꽃, 울릉미역취 등이 ${\le}4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산 마가목의 자연지리적 연구와 유용자원식물인 마가목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에 있어서 효율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상나무림(林)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Forest)

  • 이윤원;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47-257
    • /
    • 1995
  • 우리나라 특산 수종인 구상나무림(林)의 보존과 조림 및 임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 시킬 목적으로 ZM방식을 통한 군락분류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구상나무림(林)은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과 구상나무 제주조릿대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상나무 신갈나무군락은 미역줄나무군, 금마타리군 및 전형군으로 구분되었고, 미역줄나무군은 전형소군, 참나물소군 미 원추리 소군으로 구분되었다.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은 매발톱나무군, 마삭줄군 및 전형군으로 구분되었으며 매발톱나무군은 전형소군과 노루귀소군으로, 마삭줄근은 노루귀소군과 전형소군으로 구분되는 등 총 10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일치법으로 검토한 바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은 소백산맥에 위치하는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에서 출현하였고,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은 한라산에서 출현하는 등 지리적으로 구분되었고, 군락단위간에는 해발과 지형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었다. 식생단위와 구상나무의 흉고직경 및 수고간에는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의 평균흉고직경과 평균수고가 각각 28.4cm, 10.6m로서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의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23.6cm, 6.3m인데 비하여 큰 편이었고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 중에서는 금마티리군이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20cm, 5m로서 가장 작었으며, 구상나무-제주조릿대군락 중에서는 전형군의 평균흉고직경과 수고가 4cm와 3m로서 가장 작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