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Forest of Taxus cuspidata in Mt. Hambaek

함백산 천연생 주목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 장용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정동준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on Mt. Hambaek. The vegetation consisted of 9 species in the T$_1$(tree) layer, 35 species in the T$_2$(subtall tree) layer, 28 species in the S(shrub) layer, and 69 species in the H(herb) laye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T$_1$ layer was Taxus cuspidata and that of the T$_2$ layer was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S layer was Tripterygium regelii, and the dominant species of the H layer was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five species in the T$_1$ and T$_2$ layers indicates that these Taxus cuspidata forests may be gradually dominated by Quercus mangolica and by Tripterygium regelii. The composition of biological type was Ph-D$_1$-R$_{5}$-e.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함백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함백산에 있어서 주목-시닥나무- 미역줄나무-큰개별꽃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109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물 69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 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났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큰개별꽃이 우점종_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_1$-R$_{5}$-e 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만용, 임종수, 이돈구. 2002: 천연 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임분구조와 경쟁관계를 이용한 친환경적 산림관리 방안. 한국임확회지 91(6), 722-732
  2. 신만용, 정동준. 1998: 인공림과 천연림에서의 직경분포 추정을 위한 Beta와 Weibull 함수의 비교. 한국산림측정학회 1(1), 3-11
  3.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p
  4. 정동준, 1988: 설악산 천연생 잣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pp
  5. 沼田 眞, 1979: 生態學方法論. 東京, 古今書院, 200pp
  6. 鈴木兵二, 伊藤李三, 豊原源太郞, 1985: 植生調査法Ⅱ-식물사회학적 연구법-. 東京, 共同出版, 190pp
  7. Barber, M. G., J. H. Burk and W. D. Pitts, 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New York. The Benjamin and Cummings Publishing Co., 604pp
  8. Otto, H. J., 1994: Waldokologie. Ulmer Verlag, Stuttgart, 391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