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발행 : 1994.02.01

초록

덕유산 백련사-향적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거제수나무와 층층나무, 고로쇠나무와 피나무, 피나무와 음나무, 괴불나무와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시닥나무와 주목 및 백당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당단풍과 백당나무, 미역줄나무와 국수나무, 시닥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402~l.247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향적봉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사스래나무 및 구상나무 등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Paekryunsa-Hyangcho kpong area in Tokyusan, 21 plots (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Four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Tripterygium regelii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Viburnum sargentii and Betula ermanii,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Stephanandra incisa, Betula costata and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and Tilia amurensis, Tilia amurensis and Kalopanax pictum, Lonicera maackii and Viburum sargentii, and Betula ermanii,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Taxus cuspidata, and Viburnum sargentii,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Acer pseudo-sieboldianum and Viburnum sargentii, Tripterygium regelii and Stephanandra incisa,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Stephanandra incis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9402~1.2473. Taxus cuspidata, Betula ermanii and Abies koreana at Hyangchokpong area in Tokyusan should be conserv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