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i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왕겨에서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TTGE) 추출 조건의 최적화 (Optimum Extraction of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TTGE) from Rice Hull (Oryza sativa L.))

  • 윤나라;이상훈;장귀영;이윤정;;김민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23-19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왕겨 중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을 확인하고,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50, 60, 70, 80 및 90%), 추출방법(교반 및 초음파 추출) 및 추출시간(0.5~48시간)이 tricin과 TTGE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각각 $82.20{\mu}g/g$$53.12{\mu}g/g$이었다. Tricin 및 TTGE의 최적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 50, 60, 70, 80 및 90%에 따라 tricin은 각각 66.03, 70.70, 76.11, 66.16 및 23.99%를, TTGE는 각각 64.56, 68.14, 71.42, 60.29 및 16.84%의 회수율을 보여 70% 농도가 가장 높았다. 초음파 추출 시 tricin 회수율은 2시간 처리에서 83.30% 그리고 TTGE는 1시간 처리 시 71.80%로 높았다. 교반 추출 시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며, tricin은 48시간 추출 시 92.34% 그리고 TTGE는 24시간 추출 시 76.89%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를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조건은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 70%로 1시간 초음파 추출이라 판단된다.

갈대이삭으로부터 Tricin의 분리 및 함량 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ricin from Ears of Phragmites communis)

  • 우현심;이승영;황병수;정상철;김대욱
    • 생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7-81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validatio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ricin in Phragmites communis ears. Tricin was isolated with chromatographic methods and used as the standard substances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structural determination was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ir NMR spectral data with valu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valid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detection limits, and quantification limits of tricin was measured by HPLC.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cificity was satisfied with retention time and diode array detector (DAD) spectrum by analysis of tricin using HPLC. The limits of detection (LOD) for tricin was 0.84 mg/ml. Recovery of tricin was 98.80~108.22% with R.S.D values less than 2%.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s of tricin in P. communis ears were 99.96~100.96% and 99.01~100.40%, respectively. Therefore, application of tricin was validated by an analytical method as major compound in P. communis ears.

열처리와 발아에 따른 왕겨(Oryza sativa L.)의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함량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Contents of Rice Hull (Oryza sativa L.) with Heat Treatment and Germination)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96-7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및 발아와 발아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의 함량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열처리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3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각각 253.12 및 $208.39{\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 2일차에서 각각 118.20 및 $95.37{\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일수별 벼의 조효소액을 여과한 조효소액 및 여과 후 남은 잔여물을 접종한 결과 여과한 조효소액의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함량 차이가 없었으나 잔여물을 처리하였을 때 tricin 및 TTG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발아 벼 6일 차에서 각각 361.76 및 $308.08{\mu}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의 함량을 가장 많이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은 발아 6일차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 여과 잔여물을 처리한 경우로 나타났다.

고장초 추출물의 t-BHP로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HepG2 세포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Zizania latifolia Extract against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 박세호;이재열;양선아;방대석;지광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8-345
    • /
    • 2021
  • 고장초는 오랫동안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장초를 고부가가치 식용 재료로 사용하는 연구는 불충분하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tricin이 고장초의 주요 화합물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추출물의 HepG2 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장초 추출물 또는 tricin의 HepG2 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 사용한 모든 농도에서 고장초 추출물 또는 tricin에 대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ert-butyl hydroperoxide (t-BHP)에 의해 감소된 세포 생존율은 고장초 추출물(100 ㎍/ml에서 69.23%) 또는 tricin (100 ng/ml에서 74.47%)에 의해 증가되었다. 또한 고장초 추출물(250 ㎍/ml) 또는 tricin (250 ng/ml)은 산화적 손상에 의한 활성 산소종(ROS)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또한 항산화 효소로 알려진 superoxide dismutase 1(SOD1), catalase, heme oxygenase-1 (HO-1), nuclear factor erythroid-related factor 2 (Nrf2)의 단백질 발현은 고장초 추출물(100 ㎍/ml에서 2.1, 1.6, 1.7, 1.5배) 또는 tricin (250 ng/ml에서 2.6, 1.8, 2.2, 2.0배) 처리로 증가했으며, 이는 고장초 추출물의 HepG2 세포 보호 효과는 tricin의 활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고장초는 간 기능개선 관련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릿대잎의 flavone 배당체 성분 (The flavone glycosides of Sasa borealis)

  • 윤기동;김철영;허훈
    • 생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4-227
    • /
    • 2000
  • As part of study of the constituents of bamboo grasses, the leaves of Sasa borealis (Hackel) Makino (Gramineae) were examined. Friedelin, glutinol, isoorientin and isovitexin have been reported as constituents of bamboo grasses. In this study, tricin and two flavone glycosides, tricin $7-O-{\beta}-D-glucopyranoside$ and luteolin $6-C-{\alpha}-L-arabinopyranoside$ have been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S. borealis, by consecutive silica gel,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a repetitive HPLC.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IR, $^1H-NMR,\;^{13}C-NMR,\;^{13}C-^1H\;COSY,\;^1H-^1H\;COSY,\;HMBC$ and Mass spectral data.

  • PDF

Sasa borealis의 Diastereomeric 성분들의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분석방법 (Reverse-Phase HPLC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Diastereomeric Constituents from Sasa borealis)

  • 정연희;이준;권영주;서은경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5
    • /
    • 2006
  • Reiterated normal-phase column chromatography lead to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six known compounds but for the first time from the whole plant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Gramineae): tricin 4'-O-(erythro-${\beta}$-guaia-cylglyceryl) ether (1),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 (2), tricin 4'-O-[erythro-${\beta}$-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3), tricin 4'-O-[threo-${\beta}$-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4), (-)-pinoresinol (5), and vanillin (6).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1-6) were established based on interpretation of high resolution NMR (COSY, HSQC, HMBC, and NOESY) spectral data. In particular, compounds 1 and 3 were diastereomers of compounds 2 and 4, respectively. These two sets of diastereomers were able to be simultaneously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a gradient reversed-phase HPLC method with UV photodiode array, This sensitive HPLC method is noteworthy as a simultaneous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 to test the extract of the family Gramineae which contains these compounds.

식물화합물 다량 함유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chemical-Rich Extract from Sasa quelpaertensis Leaf)

  • 이주엽;고희철;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30-1335
    • /
    • 2016
  • 조릿대 속 식물의 잎은 한의학적으로 염증, 해열, 이뇨 관련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제주조릿대는 제주도 한라산 일대에서만 분포되어있는 토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산업적 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화합물의 함량과 그 생리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성이 강화된 식물화합물 다량함유 추출물(phytochemical-rich extract; PRE)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PRE는 열수추출물과 알코올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릿대 주요성분인 p-coumaric acid (44.10 mg/g)와 tricin (5.35 mg/g)의 함량은 열추추출물(p-coumaric 23.39 mg/g, tricin 0.18 mg/g)과 알코올 추출물(p-coumaric 10.8 mg/g, tricin 0.38 mg/g)에 비해 매우 높았다. RPE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DPPH) 소거활성,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소거활성, nitric oxide(NO) 소거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RPE는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IC_{50}=59.1{\mu}g/ml$)과 혈액 암(HL-60) 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E가 식물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및 항염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제시해 준다.

왕대, 조릿대, 오죽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신경염증제어 활성 및 지표성분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icin의 함량 비교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three different species of Bamboos in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containing caffeic acid, p-coumaric acid and tricin)

  • 김연숙;조덕연;김미경;최동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6-3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대나무 중 3종(왕대, 조릿대, 오죽)의 죽엽을 4종의 추출용매(물, 30% 주정, 70% 주정, 100% 주정)를 이용하여 추출 후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 탐색, 신경염증 억제 효과 및 HPLC-UV 분석 방법에 의한 3가지 지표성분(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Tric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RAP 방법과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였으며, 3종의 대나무 중에서는 오죽 추출물이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FRAP 방법,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또한 오죽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Caffe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물추출물이 6.247±0.049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p-coumar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70% 주정추출물이 10.931±1.467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오죽의 100% 주정추출물이 9.374±1.140 ㎍/m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종 죽엽의 물추출물을 제외한 주정추출물은 모두 p-coumaric acid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ric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또한 물추출물에서는 함량이 낮았으나, 70% 주정추출물이나 100% 주정추출물은 3종의 죽엽추출물 모두에서 3.094±0.875-5.233±2.698 ㎍/mg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LPS를 사용하여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3종의 죽엽추출물(70% 주정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죽엽추출물이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신경염증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뇌 신경질환의 치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아 벼로부터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생성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germinated rice)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1-365
    • /
    • 2016
  • 본 연구는 왕겨에서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를 생성시키는 균주를 분리와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아 벼 추출물을 MYP, PDA, YM 및 LB 배지에 배양하고 각 배지에서 분리한 균을 왕겨에 접종해 TTG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PDA 배지에서 자란 균에 의한 TTGE의 생성량($339.30{\mu}g/g$)이 가장 많았다.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vietnamiensis로 확인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catalase 활성을 갖는 short rod 형태의 Gram 세균인 것으로 확인해 기존 Burkholderia 속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분리한 세균을 살균한 왕겨에 접종하여 배양시킨 결과 배양기간에 따라 TTG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72시간 동안 배양에서 $435.86{\mu}g/g$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폐기되는 왕겨를 활용함으로써 왕겨의 함유된 TTGE의 함량을 증대시켜 기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Setaria viridis

  • Kwon, Yong-Soo;Kim, Eun-Young;Kim, Won-Jun;Kim, Woo-Kyung;Kim, Chang-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00-305
    • /
    • 2002
  • The EtOAc and n-BuOH soluble fractions from the aerial part of Setaria viridis showed a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x majo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se fractions. They were identified by spectral data as tricin (1), p-hydroxycinnamic acid (2), vitexin 2"-Ο-xyloside (3), orientin 2"-Ο-xyloside (4), $tricin-7-Ο-{\beta}-D-glucoside$ (5) and vitexin 2"-Ο-glucoside (6). Among these compounds, 4 and 5 exhibited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e further studied the effects of these isolated compounds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induced by non-enzymatic method. As expected, 4 and 5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ion on $ascorbic/Fe^{2-}$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ver micros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