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ngulation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9초

광삼각법을 이용한 레이저 변위 센서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Using Optical Triangulation Method)

  • 박종성;정규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40-50
    • /
    • 1999
  • Recently, a laser displacement sensor is widely used for the manufacturing automation. The sensor is generally composed of a diode laser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The diode laser emits a laser beam and the receiving device det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measured object. The object position is obtained based upon triangulation method. As a light receiving device, a PSD is usually utilized since its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rugged and has a high accuracy. Although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for this sensor had been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have not been much experimentally studied. In this paper,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will presented. The measurement accuracy is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s such as th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the angle of the object's surface and the laser intensit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PSD an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have nonlinearities and showed that those nonlinearities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emitting laser intensity.

  • PDF

우리나라 정밀삼각망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justment of Precision triangulation Network in Korea)

  • 안철호;유복모;최철순;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3
    • /
    • 1984
  • 지표면상에 존재하는 삼각점의 수평위치를 보시하는 방법으로써 투영법이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법에 의해 삼각점의 평면직교좌표를 계산하였으나 경위도차에 따른 오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용범위내에서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법보다 오차가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횡메르카토르 투영법을 도입하여 두 투영법에 의해 계산된 결과 값과 실용성과를 비교분석하였으며 현재 3계로 되어 있는 평면직교좌표계에 새로운 평면직교좌표계를 추가 설정할 경우 최적의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삼각법을 이용한 슬릿 빔 레이저 캘리브레이션 (The Slit Beam Laser Calibration Method Based On Triangulation)

  • 주기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68-173
    • /
    • 1999
  •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레이저나 카메라와 같은 많은 센서들이 이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레이저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많은 량의 메모리와 실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실 세계상에 놓여있는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레이저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삼각법을 이용한 슬릿 빔 레이저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xy테이블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이저 빔이 아랫 방향으로 사영되고 CCD 카메라는 물체와 사영면이 교차하는 교차면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저장된 관측 데이터와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정보를 얻게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레이저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단순히 삼각법을 이용하여 구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메모리와 실험 데이터의 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김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05-513
    • /
    • 2017
  • 최근,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공간회귀모형 (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웃 (spatial neighbor)의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도로네 삼각망 (Delaunay triangulation; DT)을 소개하고 k-최근접 (k-nearest neighbor; KNN)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두 가지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이웃을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지가 (land price)데이터를 이용하여 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트림된 NURBS 곡면의 효율적인 삼각화 알고리즘 (An Efficient Triangulation Algorithm for Trimmed NURBS Surfaces)

  • 정재호;박준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44-154
    • /
    • 2000
  •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btaining a triangular approximation of a trimmed NLRBS surface. Triangular approximation is used in the pre-processing step of many applications such as RP(Rapid Prototyping), NC(Numerical Control) and FEA(Finite Element Analysis), etc. The algorithm minimizes the number of triangular elements within tolerance and generates a valid triangular mesh for STL file and NC tool path generation. In the algorithm, a subdivision method is used. Since a patch is a basic element of triangular mesh creation, boundary curves of a patch are divided into line segments and the division of curves is applied for the interior of the surface. That is, boundary curves are subdivided into line segments and two end points of each line segment are propagated to the interior of the surface. For the case of a trimmed surface, triangulation is carried out using a model space information. The algorithm is superior because the number of elements can be controlled as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varies and it generates the triangular mesh in a trimmed region efficiently. To verify the efficiency, the algorithm was implemented and tested for several 3D objects bounded by NURBS surfaces.

  • PDF

계층적 삼각형 메쉬를 이용한 움직임 추정과 노드의 수렴 고속화 (Motion Estimation using Hierarchical Triangular Mesh and Fast Node Convergence)

  • 이동규;이두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88-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한 계층적 삼각형 메쉬의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노드의 수렴 고속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차의 분산을 이용하여 세분화가 필요한 영역을 판단하고 적합한 삼각화 방법에 의해 연속적인 계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초기의 움직임 추정시 배경영역과 객체영역을 분리하고 쌍선형 보간법에 의해 메쉬 구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노드의 수렴고속화를 위한 재정렬 방법을 사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한한 방법이 기존의 BMA이나 다른 메쉬 구조를 사용한 방법보다 높은 PSNR을 나타냄을 보이고 메쉬의 크기가 작은 구조에 적합한 재정렬 방법임을 보인다.

Aerial Triangulation with 3D Linear Features and Arc-Length Parameterization

  • Lee, Won-Hee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0
    • /
    • 2009
  • 기존의 도화사 수작업에 의한 기준점기반 항공삼각측량 기법은 전통적인 사진측량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으나, 자동화된 수치사진측량 기법이 확산되면서 기존방법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다 발전된 자동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상위 레벨인 선형객체들을 이용한 항공삼각측량 가능성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근에 발달된 선형 객체 추출기법 알고리즘은 보다 정확한 선형 객체 추출기법을 제공하였지만, 포인트 추출기법에 비하여 추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동 디지타이징이나 에지 연산자를 통하여 쉽게 획득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위레벨 선형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지형공간정보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진화하고 있는 컴퓨터 환경에 적합한 선형객체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 기법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역공학에서의 Delaunay 삼각형 분할에 의한 점 데이터 감소 (Point Data Reduction in Reverse Engineering by Delaunay Triangulation)

  • 이석희;허성민;김호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8호
    • /
    • pp.1246-1252
    • /
    • 2001
  • Reverse engineering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shape reconstruction of an object without CAD data and the measurement of clay or wood models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o generate a surface from measured points by a laser scanner, typical steps include the scanning of a clay or wood model and the generation of manufacturing data like STL file. A laser scanner has a great potential to get geometrical data of a model for its fast measuring speed and higher precision. The data from a laser scanner are composed of many line stripes of points. A new approach to remove point data with Delaunay triangulation is introduced to deal with problems during reverse engineering process. This approach can be used to reduce a number of measuring data from laser scanner within tolerance, thus it can avoid the time for handling point data during modelling process and the time for verifying and slicing STL model during RP process.

낙동강 하구 해안선변화 연구를 위한 모자이크 항공사진의 구축 (Development of Mosaic Aerial Photographs for Shoreline Change Study in Nakdong Estuary)

  • 김백운;김부근;이상룡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497-507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obtaining mosaic aerial photographs that are useful for a long-term shoreline change study in the Nakdong estuary. Although this method involves digital photogrammetry software of the shelf its usage can be simplified to accomodate the shoreline change study. Ground control points, which are common in aerial photographs, were measured from digital maps. Block triangulation was highly affected by land-based GCPs. Extension of tie points near the shoreline to vertical control points gave more reliable results for the block triangulation. A constant Digital Elevation Model (DEM), close to mean sea level, was employed to produce ortho-rectified photographs, from which mosaic photographs were made. Accuracy of photographs were found to be acceptable for the analysis of long-term shoreline change, and the promising construction of a shoreline change database in the Nakdong estuary.

한국인삼(韓國人蔘)의 유용성성분(油溶性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 Sterol 성분(成分)에 관하여- (Studies on the Oil Soluble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Part 1. On the Composition of Ginseng Sterols-)

  • 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1-206
    • /
    • 1976
  • 한국인삼(韓國人蔘)의 뿌리중(中)의 ether가용성분중(可溶成分中)에서 불령화물(不齡化物)을 검출(檢出)한다음에 Thinlayer chomatography법(法)과 Gas liguid Chromatography법(法)에 의해서 Sterol의 성분(成分)을 검출(檢出)하였다. 그 결과인삼중(結果人蔘中)에서 stigmasterol이 반치폭법(半値幅法)에 의하면 15.39%. 그리고 planimetry법(法)에 의하면 13.92%이었고 ${\beta}-Sitosterol$은 반치폭법(半値幅法)에 의하면 77.87% 그리고 planimetry법(法)에 의하면 82.72%로 가장 함량(含量)이 높았고 Campesterol은 반치폭법(半値幅法)에서는 6.74% 그리고 Planimetry법(法)에서는 4.36%가 됨을 알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