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behavior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6초

사회적 비용을 이용한 이동 행위 평가 모델 - 기숙사의 위치와 사회적 비용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도시 계획으로의 활용방안 고찰 - (Social Costs Estimation to Evaluate Urban Trip Activity - An application of student housing and social costs analysis for urban planning -)

  • 신동윤;송유미;김성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9-28
    • /
    • 2016
  • Social costs analysis seeks to reveal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ransportation policy. It delivers a sense of the effects of the public's daily travel and the costs that are or would be incurred from individual trips. Moreover, the accumulated total number of trips will uncover the effects of travel on society. This article show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outcomes of travel using social costs estimation methods. In order to support urban planning tasks, this research implemented analysis tool for social costs estimation by travel behavior. For a case study, a jave based application which can convert people's trip data into social costs is developed. the application used for simulating student-housing effects by estimating social costs changes. The analysis included the attributes, building scale and locational changes of the student housing as well as transforms of the students' trips.

노선선택행태의 모형화 (Modeling of the Route Choice Behavior)

  • 이인원;차재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2
    • /
    • 1989
  • The multinomial logit model has been applied for various choice problems. Among others, the joint destination mode choice, the mode choice and the route choice are the three major modeling topics for korean transportation planners. This paper examines with real world data (the Olympic road and its competing two major arterials) the usefulness of a Logit route choice model. Quites surpisingly, it is found that the multinomial route choice behavioral model calibrated for this study based on (0,1) individula data base can not provide a good estimate for O-D trips less than 6㎞. 400data points and 3case studies might not be sufficient for a sound conclusion. It is, however, believed from a series of similar studies conducted by the authors that the route choice behavior is more sensitive (more demand elastic with respect to travel time changes) than the mode choice and the shorter trip, the more sensitive. The travel time parameters for destination choice models are usually smalle than the travel time parameters for mode choice models and these parameters (for mode choice models) turn our smaller than the travel time parameters for route choice models from this study. Table 2 in this paper shows parameter changes for three different markets and Table 3 shows the modeling errors when the estimated individual probabilities are aggregated into a route level.

  • PDF

Sequence Alignment 기법을 활용한 화물 통행의 Trip Chain 분석 (An Analysis of Trip Chain of Freight Travel using Sequence Alignment Methods)

  • 조창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0-552
    • /
    • 2011
  • 화물차량의 통행패턴은 여객통행에 비해 연구 성과의 누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통행에서 화물차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가용 화물 차주들의 능동적 사업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여객통행에서의 활동기반 수요추정 이론의 발달에 부합하는 화물통행에서의 의사결정 원리에 대한 연구의 기초로서, 화물차량 통행실태 조사의 자료를 분석하여 화물차량 톤급별 평균 통행 특성, 운행효율성, 도착지-도착지유형-적재품목 통행연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화물차량 통행 특성들은 톤급별로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자체 화물차의 톤급별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는 화물차량 통행 관련 교통정책 수단 개발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교통정보가 운전자의 운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자가운전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river's Travel Behavior by Traffic Imformation)

  • 임채문;구경남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39-246
    • /
    • 2002
  •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driver's behavior of traveler information. This research made an attempt to explore driver's route change behavior in the en-route stage. Model were developed for each analysis with LIMDEP software which was developed by Willams H Greene. Commuters' transportation change in before trip stage are affected by their income, travel time, and incident information and constant of this model showed their reluctance of change mode. This was resulted from the inappropriateness of traffic information to general commuters which is the main target of traffic information.

  • PDF

해외여행 동기가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과 매장특성을 중심으로- (Effect of Overseas Tourists' Motivation on Shopping Behavior -Emphasis on Product and Store Characteristics-)

  • 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4-30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travel motivation of Korean overseas tourists influenced shopping behavior. We first identified factors of the travel motivation and then categorized types and attributes of shopping products and shopping stores. We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vel motivation and shopping products and shopping channels. A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for this survey, while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nature & leisure, rest, family, pleasure, hobby & fitness, and discovery were identified as 6 factors of travel motivation. Second, shopping products of overseas touris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fashion & luxury, daily goods, and memento. There were four attributes of products, namely, design, utility, economy, and prestige. Major types of shopping stores were souvenir shops, fashion channels and local markets; the shopping store attributes identified were location & salesperson, assortment & atmosphere, and display. Third, overseas tourists' motivation was shown to influence the selection of product types and attributes. Those who traveled for rest, family, pleasure, hobby & fitness orientation were inclined to purchase fashion & luxury goods, and daily goods; however, those who traveled for rest and hobby & fitness orientation also tended to buy memento. The effect of the travel motivation was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product attributes. Fourth, tourists' motivation was shown to affect store type selection and attributes. Those whose traveled for rest, family, pleasure, hobby & fitness preferred souvenir shops while those seeking nature & leisure and pleasure tended to visit fashion channels and local markets more often. Travelers seeking nature & leisure and discovery cared for all three store attributes while family oriented and pleasure seeking tourists considered shopping store location, salesperson and display attributes as important.

KTX 단기수요 예측을 위한 통행행태 분석 (Travel Behavior Analysis for Short-Term KTX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 김한수;윤동희;이성덕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1호
    • /
    • pp.183-192
    • /
    • 2012
  • 본연구는 KTX의 단기수요예측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통행행태 분석이 목적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이상치 판단기준은 통행량 표준편차의 2배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요일별 통행량의 동질여부를 분석한 결과 주중(월~목)과 주말(금~일)로 구분되었다. 셋째, 통행빈도, 통행량균, 통행거리를 이용하여 철도역간 O/D에 대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텔레서비스가 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leservice on Travel Demand)

  • 이선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8
    • /
    • 1999
  • 이 연구는 텔레서비스가 개인의 통행행태 및 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개별행태 모형에 기초한 가구원별 통행통신행태조사를 실시하고,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상이한 업무행태를 보이고 있는 9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시나리오"기법을 이용하여 텔레서비스에 의한 교통수단의 대체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개별 군집 중 "가정주부"와 "노년/무직자"의 경우 향후 텔레서비스의 활용에 어려움 등, 정보화사회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텔레서비스로의 전이확률을 추정한 결과 은행이나 관공서업무와 같이 교류되는 정보종류가 텍스트나 데이터와 같이 단순한 형태일 경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서울시의 경우 텔레서비스에 의하여 향후 일일 약 7.6%의 통행수요가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경로형 통행데이터 기반 고속도로 우회행태 분석 (Detour Behavior on the Expressway using Route Travel Data)

  • 이수진;손상훈;김형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8-70
    • /
    • 2020
  • 고속도로 우회는 명절이나 연휴 등 교통수요가 집중되는 시점에 운전자들이 정체되는 고속도로 일부구간을 우회하여 국도 및 지방도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영업소 출구차량 우회 설문조사를 통해 우회행태를 분석하였으나 적은 설문조사 샘플로 인해 실 우회율 산정에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SRC 기반 경로형 데이터를 활용해서 실 우회율 산정, 우회 시 통행시간 개선 효과, 그리고 고속도로 본선 소통상황과의 상관관계 등 '내-외내', '내-내' 우회행태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추석전날 및 당일 주요 우회도로인 기흥동탄IC→오산IC, 서평택IC→월곶JC에 대해 승용차, 버스 및 화물차를 포함한 3종 차량의 우회행태를 분석한 결과, 본선의 정체시간대에서 우회도로 이용률이 점차 증가하였다. 본선 정체가 극심한 경우에는 우회도로 이용 시 통행시간이 개선되었지만, 본선 정체가 극심하지 않는 시간대는 오히려 우회도로 이용 시 통행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고속도로 본선 소통상황과 실 우회율의 상관관계는 음의 상관성을 가지며, 이는 본선의 정체 행태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설문조사에 기초했던 우회행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교통수요가 집중되는 고속도로 구간의 우회전략 수립 등에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통행시간 변화의 요인분석: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Change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in Seoul)

  • 구자헌;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6
    • /
    • 2018
  • 생활패턴의 변화는 통행의 목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통행패턴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14년까지 통계청에서 조사한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구관련, 개인관련, 시간관련 변수들을 고려한 통행시간에 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요일별 차이를 보기위해 주중과 주말을 분리하여 추정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가구관련, 개인관련, 시간관련 변수가 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관련변수의 경우 개인관련변수에 비해 비교적 적은 변수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행이 개인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각 활동시간들은 통행시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통행이 파생수요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가활동시간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어, 여가를 위한 통행시간이 타활동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빙부품의 과다 닫힘 방지를 위한 오버슬램 범퍼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Over-slam Bumper for Moving Part Over-travel)

  • 최연욱;기원용;이종현;허승진;이철홍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66-72
    • /
    • 2014
  • A kinematic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as analysis method for dynamic behavior of moving parts of vehicle, especially hood part. Such analysis method, however, has its limitations in terms of design technology, including, over travel of hood that occurs due to lack of considerations of compliance characteristics, such as flexible components of hood's weather strip and over slam bump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ing which reflects compliance of flexible components of hood and elastic characteristics of panel for improvement of design process. In this thesis, a finite element method as mentioned earlier, is developed to represent over travel of hood. Also optimization process applying sequential approximate optimization is suggested to prevent over travel. The over travel analysis method and optimization process, which a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would make it possible to design with high quality and credi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time for design would be reduced and the design quality also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