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pping fungi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Contribution to the Checklist of Soil-inhabiting Fungi in Korea

  • Lee, Seon-Ju;Hong, Seung-Beom;Kim, Chang-Yung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9-18
    • /
    • 2003
  • A total of 82 genera and 271 species of soil-inhabiting fungi including saprobic, nematode-trapping, and arbuscular mycorrhizal but plant pathogenic fungi published hitherto in South Korea are listed with the information on geographic location, habitat, vegetation when available, and relevant literatures.

선충 종류별 4종 포식성곰팡이의 포식력 차이 (Nematode-Trapping Fungi Showed Different Predacity among Nematode Species)

  • 강헌일;최인수;박남숙;배창환;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9-155
    • /
    • 2019
  • 선충 포식성곰팡이는 유기물에서 번식하다가 양분이 부족해지면 특수 기관을 형성하여 선충을 포획하고 선충으로부터 양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토양 내 동물계와 먹이사슬을 이루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끈끈이그물형 포식기관을 가진 3종, Arthrobotrys oligospora, A. sinensis, A. thaumasia과 수축성올가미형 포식기관을 가진 Drechslerella brochopaga 1종 등 4종의 선충 포식성곰팡이의 식세균성선충 9종, 식균성선충 1종, 식물기생성선충 2종 등 총 12종의 선충류에 대한 포식력을 검정하였다. 4종의 포식성곰팡이에 모두 감수성인 선충은 식물기생성선충 2종류(Meloidogyne incognita, Pratylenchus penetrans), Rhabditidae에 속하는 P. strongyloides, Mesorhabditis irregularis이었고 접종 4일 후부터 선충을 포식하였으며, 선충 내부로 곰팡이가 번식하여 15일째에는 거의 선충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반면, Cephlobidae에 속하는 Acrobeloides spp., A. avenae는 4종의 포식성곰팡이에 모두 저항성을 보였으며 15일 후 관찰하였을 때, 접종배지 내에 선충 수가 초기접종 밀도와 같거나 오히려 2-3배 정도까지 번식되었다. 나머지 선충 종들은 포식성곰팡이 종류에 따라 감수성에 다소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선충 포식성곰팡이가 선충 종에 따라 특이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러한 기주특이성을 이용하여 식물기생성선충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선충 포식성 곰팡이를 이용한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Root-Lesion Nematodes(Pratylenchus spp.) by Nematode-Trapping Fungi)

  • 손흥대;김성렬;최광호;추호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3-407
    • /
    • 2000
  • 잎들깨 재배지에서 직$\cdot$간접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서 3종의 선충포식성 곰팡이, Arthrobotrys oligospora, A. conoides와 A. dactyloides의 선충방제 효과를 포장시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3종의 Arthrobotrys는 1998년 잎들깨 재배지 토양에서 분리하였으며, 이들 곰팡이들은 한천배지상에서 끈끈이그물 또는 수축성 올가미와 같은 특이한 균사구조를 형성하여 뿌리썩이선층을 포획하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야외포장 실험결과, 대조구에서는 40일 경과 후 식물기생성 선충 및 뿌리썩이선충의 밀도가 약 3.5배 증가한 반면 선충포식성 곰팡이 A. oligospora와 A. conoides 처리구에서는 단지 선충의 밀도가 큰 증감없이 접종 전의 수준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 처리구에서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밀도를 약 65%, 뿌리썩이 선충의 밀도를 약 53% 감소시켜, 선충포식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PDF

Nematode에 기생(寄生)하는 진균(眞菌)의 분리(分離) (Isolation of Nematode Destroying Fungi)

  • 유관희;최영희;이형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3-197
    • /
    • 1981
  • 1) 인삼(人蔘)밭 토괴(土壞)중에서 nematode-destroying fungi에 속하는 6균주의 Arthrobotrys sp.와 세균주(菌株)의 Harposporium sp.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다. 2) Arthrobotrys sp.는 선충(線蟲)이 존재(存在)하는 곳에서는 포획(捕獲)기관을 형성(形成)하였으나, 선충(線蟲)이 없는 곳에서는 포획(捕獲)기관을 형성(形成)하지 않았다. 3) Arthrobotrys sp.는 nutrient agar와 malt extract agar에서 매우 잘 생장(生長)하였다.

  • PDF

A New Technique for Single Spore Isolation of Two Predacious Fungi Forming Constricting Ring

  • Singh, Kalika Prasad;Kumar, Dharmendra;Bandyopadhyay, Pinaki
    • Myco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97-198
    • /
    • 2004
  • A new technique for single spore isolation was developed for predacious fungi forming constricting rings directly on the spores using Dactylaria brochopaga and Arthrobotrys dactyloides. Constricting rings were induced directly on the spores by transferring the spores in 25 ppm solution of DL-Valine in sterile distilled water. Freshly hatched and thoroughly washed second stage juveniles of Meloidogyne incognita were transferred into cavity blocks containing induced rings for trapping and killing of nematodes. The killed nematodes were surface sterilized with streptomycin and inoculated into petri dishes containing maize meal agar media with 100 ppm streptomycin. The petri dishes were incubated at $29{\pm}1^{\circ}C$ for few days which yielded axenic culture of these fungi.

선충포획성 Arthrobotrys속균에 의한 소나무재선충 포획 특성 (Characteristics of Pinewood Nematode Trapping by Nematophagous Arthrobotrys spp.)

  • 이각중;구창덕;성주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2
    • /
    • 2008
  • Arthrobotrys속 균은 불완전균으로 토양선충을 포획하는 살선충 곰팡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충포획성 균종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균사생장, 선충 포획기작의 특성, 그리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능력을 이해하여 살선충 효과가 높은 균종을 알고자 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a)에 접종해 증식시켰으며 여기에 Arthrobotrys속 3종 각각의 균사배양체 $1\;cm^2$씩 접종하고 배지, 온도, pH, 소나무재선충 접종밀도, 영양조건이 균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A. conoides의 생장이 가장 빨랐으며(13.9 mm/day, PDA) A. dactyloides가 가장 느렸다(3 mm/day, PDA). 3가지 균의 생장은 PDA배지, $25^{\circ}C$, pH 4.5의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A. conoides 균과 A. oligospora 균은 500마리의 재선충 접종으로 생장이 촉진됐으나, 10,000마리 접종으로는 느려졌다. A. dactyloides는 산성에서 생장하지 않았으며 재선충이 많을수록 더 느렸다. A. conoides와 A. oligospora의 선충포획기관은 균사보다 굵은 고리들의 망상 구조로서 선충 존재시만 형성되었으나, A. dactyloides의 포획기관은 단일한 원모양으로 선충이 없어도 형성되었다. A. conoides가 A. oligosora보다 포획기관 형성이 빨랐으며, 재선충 포획 후 균사가 재선충 내부로 침입하여 작고 많은 침입구(infection bulb)를 만들고 선충을 소화하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포획기관의 수가 적었고 포획도 하지 못하였다. A. conoides의 재선충 감염율은 95%였고, A. oligospora의 감염율은 80%였다. 그리고 위 두 균의 조합접종에 의한 선충감염율은 92%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오히려 재선충의 밀도를 증가시켰다. A. conoides 균은 빠른 생장률과 초기 포획으로, A. oligospora는 균밀도를 증가시켜서 재선충 감염율을 높였다. 결론적으로 A. conoides균은 균사생장률과 재선충감염율이 높으므로 소나무재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First Report of Two Nematode-trapping Fungi, Monacrosporium ullum sp. nov. and Arthrobotrys amerospora, from Korea

  • Kim, Dong-Geun;Ryu, Young-Hyun;Hwang, Hyung-Gu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74-178
    • /
    • 2006
  • Monacroporium ullum sp. nov. the captures nematodes on adhesive spherical knobs was isolated from soil around Codonopsis lanceolata at Ulleung island, Korea. The spindle-shaped conidia sized $17-44{\mu}m\;(26.5{\mu}m)\;long,\;7-10{\mu}m\;(8.1{\mu}m)$ wide, containing from 1 to 4 cross-walls but most often divided by 2 septa (47%). Resting bodies sized $57{\times}30{\mu}m$. Arthrobotrys amerospora has almost spherical non-septate conidia with a small truncate protuberance at the base and sized $20-27{\mu}m\;(23.3){\mu}m$ long and $11-17{\mu}m\;(14.1){\mu}m$ wide. Conidiophores are somewhat longer $362.8{\mu}m\;(311-418{\mu}m)$ than its original description ($75-250{\mu}m$).

국내 분리 포식성곰팡이들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포식 능력 비교 (Comparison of Predacity of Nematode Predatory Fungi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이재국;김동근;이영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15
    • /
    • 2000
  • 1995년 전국 8개도 37개점의 밭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2균주의 선충 포식성곰팡이를 이용하여 실내 및 온실에서 부식성선충과 뿌리혹선충을 이용하여 포식력을 비교하였다. 실내검정에서 부식성선충에 대하여 91% 이상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는 51균주였고, 부리혹선충에 대하여는 26균주였으나, 온실 검정에서는 81%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가 3균주로 온실검정과 실내 검정간 상관 유의성은 없었다. 선발된 3균주는 부식선충 및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실내 및 온실실험에서 모두 높은 포식력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으로 미루어 볼 때, 천적 포식성곰팡이 선발 시험은 반드시 포장 조건과 가장 유사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서식 환경에 따른 선충잡이곰팡이의 종류와 분포 (Distribution of Nematophagous Fungi Under Different Habitats)

  • 김동근;배수곤;신용습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3-126
    • /
    • 2001
  • 국내 남부지역의 논, 밭, 산, 시설재배지 토양 총 43점에서 선충잡이곰팡이를 조사하여, 9종의 포식성곰팡이와 2종의 기생성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논 토양에서는 1종이 분리되어 선충잡이곰팡이의 검출률이 가장 낮았고(17%), 산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여 두 번째였으며, 밭과 시설재배지에서는 거의 100% 선충잡이곰팡이가 검출되었다. 우점종은 Arthrobotrys oligospora로 국내 토양 4곳 중 1곳에 서식하며, 시설재배지 토양에서는 2곳 중 1곳에 서식하고 있었다. 선충잡이 도구 중에서는 끈끈이그물(Adhesive nets)을 이용하여 선충을 포식하는 종류가 전체의 72.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수축성올가미를 가진 A. dactyloides (10.0%), 끈끈이균사를 가진 Cystopage lateralis 7.8%, 내부기생성곰팡이 5.0%, 끈끈이봉을 가진 Monacrosporium ellipsosporum 4.8% 순이었다. 선충잡이곰팡이의 종이나 밀도는 서식 지역에 따라 다르며 토양이 비옥한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선충잡이곰팡이의 종과 밀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