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ing needs analysis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9초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 김정희;이현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205-211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등 과학 교사의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Needs for Education)

  • 차정호;김경은;강석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17-52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교사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중 선호하는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전국 106개 중등 학교의 과학 교사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모든 교육 내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교육 요구를 보였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던 반면, 과학사 및 과학 철학 분야에 대한 요구가 가장 낮았다. 숙련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비숙련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효과성 평가 방법이나 과학에 대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 방법의 측면에서는 실험 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 내용에 대하여 온라인 교육을 선호하였다.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사업에 대한 공급망경영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on the training supporting projec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서요한;김광용;성종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07-42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by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n the training support project in small and midium-sized enterprise.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supportive environment and train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pportive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on training effec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pply chain management active group and inactive group. Third, moderating effect of supply chain manage efficiency was found between variables. Conclusion: SME supporting project in training program needs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for training effect. Supply chain management needs to be promoted in SMEs not only for performance but also for their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culture.

2009년 전후 임용자의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핵심역량별 교육 필요도 및 세부주제별 교육필요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Core Competency and Job Training Needs of New Employee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ppointed before 2008 and after 2009)

  • 서인주;임은실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8-4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need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before 2008 and after 2009. Method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on 1,905 public health centers and 1,521 public health practitioners were analyzed. The chi-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mployees before and after 2008 in general, and T-test for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ies and job training needs. The test was carried out during June and July, 2017.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future health clinic function, necessity for core competency education, and for job education. Conclusion: Information on the need for new job training should include information the use of public health center information systems, drug mechanisms, medication guidance, discrimination of major symptoms, treatment for common diseases, patient referral and follow-up, health management for elders, dementia management,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future job training,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intensively details and evaluate effectiveness.

미국 대학의 리더십교육과 국내 B대학 코칭 프로그램 사례 (Case of Leadership Training of USA University & Coaching Program of Korean B University)

  • 이용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97-1203
    • /
    • 2011
  • 본 논문은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 기독교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코칭 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산업체가 요구하는 리더십 교육의 목적과 내용들을 중심으로 제반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국내 B 대학의 IT 전공에 적용 예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리더십 교육에서 반영되지 않고 있는 세부적인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제안된 논문은 산업체와 국내 대학의 리더십 교육에서 요소분석에 주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인공지능시대 연수디자이너 역량 강화 연수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raining designer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홍유나;임유진;하영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5-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strengthen program with the aim of training designers who respond to changing national policie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five step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role of training designers and HRD manager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theoretical and academic grounds for training designer competency modeling were prepared. In the second stage, a draft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raining designers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stakeholders and advice from education experts. In the third stage, a pilot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draft training program. In step 4,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confuted and the deficiencie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derived from the pilot program. Finally, the final draft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training designer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eveloped. The final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10 modules and was designed to run for three days. The details of specific training program are presented in the article.

직업능력개발계좌제훈련의 발전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in Korea)

  • 유길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9-104
    • /
    • 2010
  • 직업능력개발계좌제는 정부의 가장 핵심적인 실업자훈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이론적인 틀을 활용하여 현행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계좌제훈련은 훈련상담과 고용서비스와의 연계 미흡 등으로 인하여 지원대상과 산업계 훈련수요와의 연계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기관 및 훈련생에 대한 관리체계가 미흡하고, 훈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도 미비하며, 훈련기관이 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한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계좌발급 이전에 고용서비스 제공과 훈련상담을 내실화하여 계좌발급 대상을 산업수요 및 훈련 필요성과 연계하여 훈련 필요가 있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발급하고, 훈련기관 및 훈련생에 대한 관리 감독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계좌제훈련에 참여하는 민간위탁훈련시장을 양질의 훈련기관을 중심으로 구조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nalysis of Perceived Job Training and Educational Needs for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Personnel)

  • 오영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the perceived job training of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officials and analysis the educational needs in order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To this end, we have developed a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consultations with experts. We had explained the purpose and the intent of the survey to nationwide public health directors in advance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ervice providing personnel; the results from a total of 763 survey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1.0. Results: The results shows that the tasks of public health promotion personnel are 'business practices,' 'planning and evaluation related work' and so on in order of importance while the duties of service providing personnel are 'counseling,' 'education' and so on.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field applications of education is 'awareness of the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which accounts for 33% of explanatory power; the selected six other factors constitute 41.7%.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s for public officials are 'public health service planning,' 'report writing skills' and 'project evaluation methods.' On the other hand, for service providers, the contents are 'counseling method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monitoring health status' and so on. Conclusions: In order for trained service personnel to accord with the changed health promotion environment and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Public Health Promotion officials should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based on the competencies for each job,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even after the training, and finally, create a system that can link to career development.

경호 NCS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분석 (Evidence of the need for Securit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raining)

  • 최정일;장예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2호
    • /
    • pp.33-42
    • /
    • 2016
  • 본 연구는 연구가설 "NCS 인식 ➩ NCS 교육 필요성 ➩ NCS 교육의 성과"를 설정하고 경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에 대한 인식 수준과 대학에서 경호관련 NCS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적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s Alpha 계수 값이 모두 0.8 이상 산출되어 내적 일관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성 검증에서는 모두 기준치 이상 산출되어 변수들 간 집중타당성 및 판별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한 결과 본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결과 각 연구가설의 표준화계수가 0.726과 0.870로 산출되어 각 연구가설의 관계가 각각 72.6%와 87%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팔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구조사 (Measu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taff in Nepal: A Look at Teachers' Perceptions)

  • 임진호;김동욱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3-176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훈련이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일반교육보다 직업기술교육훈련이 상대적으로 사회적 유용도가 높고 일자리와 생산성 그리고 경제성장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교육 분야에서는 교사나 교원교육에 대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일반이론이나 모형개발에 필요한 사례연구 등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아직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팔의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이 교직을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 과목(training module)에 대해 훈련생 본인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재 상태'와 '기대수준(중요도)'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어 해당 지표 간의 격차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 우선순위를 구분함으로써 향후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의 훈련 또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29개의 훈련 과목에 대한 보리치(Borich)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4.82)'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NCS 기반 TVET 교육 프로그램 평가(4.79)',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4.56)', '11. TVET 정책 및 인사 관리(4.56)', '12. TVET 훈련교사 리더십 역량 개발(4.38)' 과목들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해 우선순위 항목들로 지목된 교육과목들을 재검정한 결과,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그리고 '1. TVET 훈련교사의 직업 특성 (역할, 직업 윤리 등)' 등이 이상적 수준의 우선순위 훈련 과목으로 최종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