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idence of the need for Securit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raining

경호 NCS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분석

  • Received : 2016.10.04
  • Accepted : 2016.10.30
  • Published : 2016.10.30

Abstract

This study was set up hypothesis "NCS recognition ➩ NCS training needs ➩ Performance of the NCS train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need for Security-related NCS education at university and awareness of the NCS for Security Studies students.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nal consistency, this study showed that ensure internal consistency is calculated Ch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more than 0.8. Validation of the survey was investigated by secur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mong the variables calculated all over the reference value.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with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very high as calculated the standardization factor 0.726 and 0.870 for each relationship by hypothesis testing results.

본 연구는 연구가설 "NCS 인식 ➩ NCS 교육 필요성 ➩ NCS 교육의 성과"를 설정하고 경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에 대한 인식 수준과 대학에서 경호관련 NCS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적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s Alpha 계수 값이 모두 0.8 이상 산출되어 내적 일관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성 검증에서는 모두 기준치 이상 산출되어 변수들 간 집중타당성 및 판별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한 결과 본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결과 각 연구가설의 표준화계수가 0.726과 0.870로 산출되어 각 연구가설의 관계가 각각 72.6%와 87%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양기훈, "NCS(국가직무능력표준)로 능력중심 채용문화 앞당긴다!", 노동법률, Vol. 298, pp.26-29, 2016.
  2. 정향진, "NCS 및 NCS 학습모듈의 개발과 활용", 국회도서관, Vol. 52, Np. 4, pp.4-13, 2015.
  3. 김동호, 김신혜, 김민수, "경호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Vol. 16, No. 2, pp.35-53, 2016.
  4. 김민수, 김종민, "경비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Vol. 15, No. 1, pp.115-138, 2015.
  5. 고경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3, No. 8, pp.69-8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8.69
  6. 이화진, 조영아,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비서 직무 NCS 중요도 분석", 비서학논총, Vol. 24, No. 2, pp.29-52, 2015.
  7. 박은경, 홍성화, 오상훈,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Vol. 30, No. 4, pp.29-52, 2015.
  8. 오은주,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 6, No, 2, pp.315-324, 2016.
  9. 홍아정, 조윤성, 박치경,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대학생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 15, No. 7, pp.227-246, 2015.
  10. 백종면, 박양근,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 2012, No. 11, 대한경영학회, 45-62, 2012.
  11. 양기훈, "NCS,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동법률, Vol. 299, pp.124-127, 2016.
  12. 손배원, "NCS기반 채용시스템 사례 연구 : 한국산업인력공단의 NCS기반 채용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Vol. 15, No. 4, pp.217-228, 2015.
  13. 정충영, 최이규,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서울, 2001.
  14. 이학식, 임지훈, "SPAA 22 매뉴얼", 집현재, 서울, 2015
  15.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8.
  16. 최에스더, 김민정, 박소정, 서수현, 서현교, 이용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뷰티헬스 사이언스학과의 교육과정 개발", 신한대학교 연구지, pp.251-266, 2014.
  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www.nc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