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보건진료원회. 보건진료원 30년. 대구: 말과글; 2011.
|
2 |
정규숙. 간호사 국시 남자 합격자 2천명 시대 진입 올해 2134명 합격. 남자간호사 총 1만2676명. 간호신문. 2017. 02.10.
|
3 |
보건진료소회. 연간 통계. 서울: 보건진료소회. 2007. 47 p.
|
4 |
이상연. 대한민국 공무원 평균 스펙은?…평균연령 43세. 법률저널. 2019. 2. 27.
|
5 |
Hamrio AB. Role and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e. 1st ed. Seoul: Hyunmoonsa; 2005. 615 p.
|
6 |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Role and core competencies of nurse practitioners [Internet]. Seoul: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http://kabon.or.kr/kabon04/index03.php.
|
7 |
윤석옥, 박정한, 정문숙. 보건진료원의 정규직화 전과 후의 보건진료원 활동 및 보건진료소 관리운영체계의 비교분석. 대한보건연구. 1994;20(1):70-92
|
8 |
박정인.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직무분석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14. 165 p.
|
9 |
American Academy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Family Nurse Practitioner (FNP). Austin: American Academy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2019[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http://www.aanpcert.org/certs/fnp.
|
10 |
The council on linkages between academia and public health practice (2014). Core competencies for public health professionals, 2014.06. Available from: http://phf.org/corecompetencie.
|
11 |
The University of Iowa. DNP - Plans of Study. Iowa City: The University of Iowa. 2019[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https://nursing.uiowa.edu/academic-programs/dnp/plans.
|
12 |
김춘미, 전경자. 보건진료원들이 지각하는 보건진료소 30년간의 활동경험과 성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1): 51-62.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51
DOI
|
13 |
김창엽. 일차보건의료와 보건진료원제도. 1st ed.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417 p.
|
14 |
김재용.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중보건의사 활용방안 개발. 건강증진기금 용역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1. 보고서 번호.: 2001-29.
|
15 |
김태일, 김재일. 보건진료소 기능 개편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2):185-206.
|
16 |
곽찬영, 임은실, 이경아, 김아린. 보건진료소 기능 재정립 및 건강증진사업 강화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16. 보고서 번호: 11-1352000-001831-01.
|
17 |
임은실, 이경아, 김아린, 정수용. 보건진료소 건강증진사업 표준매뉴얼 및 전담공무원 직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18.
|
18 |
양숙자, 신영학, 윤영희, 김지희, 안창영, 김점자 등. 보건분야 공무원 교육훈련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3):533-545.
|
19 |
통계청. 2016년 농림어업조사 보고서Internet]. 대전: 한국 통계청. 2017[cited 2019 May 6].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
20 |
김현경, 은영, 전경자, 소애영, 김희걸, 엄미란 등. 신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인식한 직무역량과 교육요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25(2):85-96.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2.85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