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palace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2초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의 정비과정으로 살펴본 전통의 남용과 발명 (The Abuse and Invention of Tradition from Maintenance Process of Historic Site No.135 Buyeo Gungnamji Pond)

  • 정우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44
    • /
    • 2017
  • 한국 전통 연지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궁남지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무왕의 연지 축조 기록, 사비왕궁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및 화지산 이궁지 남쪽에 위치한 지리적 정황에 의해 궁남지로 비정되는 한편 사적으로 지정 복원되었다. 본 연구는 궁남지의 복원정비 과정에 나타난 진정성 왜곡과 전통의 발명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되었으며, 연구의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래방죽[마천지]으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궁남지 복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홍사준은 1940년대만 해도 마래방죽에 백제시대 궁남지 유적으로 추정되는 섬과 석축시설이 남아있었고 그 위에 전각 및 정원을 조성한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화지산 이궁터의 조사 후 서동설화와 연관시켜 마래방죽을 궁남지와 동일시하는 의견을 피력하였는데, 이는 궁남지 복원정비의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였다. 특히 홍사준이 제시한 스케치 도면 및 부여도엽에서 마래방죽의 형태와 규모를 엿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방죽의 형태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사진 속 상황과 근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2. 궁남지의 축소정비는 1960년대 추진된 경지정리사업에 의해 농경지로 불하되고 남은 잔여의 면적이 수습된 결과였다. 1965~67년에 있었던 최초 복원공사 이래 수차례 시행된 궁남지 정비를 통해 드러난 문제는 고고학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후대의 시각으로 추정복원 되면서 경복궁 향원지의 구성을 그대로 복제한 데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연못 안에 섬과 정자를 놓고 교량으로 섬과 육지를 연결시키는 구성은 궁남지가 경복궁 향원정을 모델로 만들어졌음을 방증해 준다. 하지만 교량설계에 참조된 취향교 조차도 조선시대의 형식으로 보기 어려운바 당시의 잘못된 복원설계의 동기와 발상이 궁남지의 가치를 크게 저하시켰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전통조경의 소재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디자인 전범을 그대로 모방한 것은 경복궁이 갖는 미적 표상과 기호를 지향한 것으로서, 궁남지가 그와 유사한 장소 권위를 획득하도록 의도된 것이었다. 3. 궁남지는 애초부터 진정성이 결여된 채 정비된 사적이었기 때문에 정비 과정에서 경관의 왜곡과 전통성의 남용을 통해 유적의 역사적 맥락이 과감히 표방되어 갔다. 이러한 역사 재료의 무비판적인 활용과 왜곡을 불사한 정비방식은 1960~70년대 박정희 체제에 의해 주도된 민족주의 문화정책과 맞닿아 있다. '만들어진 전통담론'의 맥락에서, 박정희 시기의 문화정책은 국민의 기억에서 이상화된 과거를 취사선택하여 그것을 가시적으로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이전의 유적을 보수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이 부각된 사적지가 전국 곳곳에 생겨나게 되었는데, 궁남지가 초기에 순수한 보존의식으로 축소되어 정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본래 공간과는 상관없는 새로운 건조물들이 들어서고 기형적으로 확장 정비되어 갔던 사실은 그러한 국가주도 문화정책의 영향이 컸다고 판단된다.

익산 왕궁리 백제궁원에서 출토된 괴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Odd-Shaped Stones at Baekje's Palace Backyard in Wanggung-ri, Iksan)

  • 노재현;신상섭;박율진;김화옥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3
    • /
    • 2010
  • 본 연구는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괴석의 쓰임새, 형태, 규모 및 재질 그리고 산출지 등을 분석 고찰하여 백제 궁궐 후원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익산 왕궁리 궁궐 후원에 활용된 괴석은 후원내 입수구 폭포석조를 위한 첩석(疊石)과 돌 자체의 아름다움과 기괴함을 완상하기 위한 치석(置石)의 2가지 쓰임새로 분류된다. 이 때 폭포석조에 활용된 괴석은 여러 형태와 재질의 돌을 혼합 배치시켜 축경형의 산수경관을 입체적으로 연출하고자 한 것인 반면, 치석으로 활용된 괴석은 돌 자체의 아름다움과 형태미를 감상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치석으로 활용된 총 26개 괴석의 크기는 대석 4개, 중석 4개, 소석 18개로 분류되었으며, 폭포석조에 이용된 총 24개의 괴석은 모두 소석으로 분류되었다. 이 두 부류의 괴석은 대부분 한 시야에 들어오고 친근감 있는 인간척도에 부합되는 규모였다. 치석으로 활용된 괴석의 재질은 석회암이 대부분이며, 그밖에 대리암, 석영, 녹색암, 점판암, 천매암 등의 변성암 계통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괴석의 특징으로는 무늬가 미려할 뿐 아니라 자연의 모습을 닮은 산형석과 거북, 자라, 돼지, 곰, 코끼리 등 동물 모양에 가까운 형상석이 대부분이었으며, 치석으로 이용된 괴석 중 일부는 특정한 형상을 보다 강조하기 위한 가공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괴석의 이용실태와 성격 등을 보아 왕궁리 궁궐 후원의 대표적 특성 중 하나는 '괴석 정원'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편, 왕궁리 출토 괴석의 출산지에 대한 문헌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와 탐문조사 그리고 추정 채석지에 대한 현장 관찰 결과, 주산지는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천호산과 왕궁면 도순리 시대산 등으로 추정되었다.

조선 궁궐, 동조(東朝)의 상징성과 $17{\sim}18$세기 대비전 조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bolism of Dongjo in Royal Palaces of Choseon Dynasty and Its Way of Operation - Focusing on Donggwol in 17th-18th century -)

  • 조옥연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6호
    • /
    • pp.67-86
    • /
    • 2007
  • Choseon Dynasty, from many aspects, saw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its royal palac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with 'donggwol (east palace)' as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in the era. In that period, palaces were managed in the best way that fits the royal etiquette and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framework of the times. While the royal palace was the place for the king to conduct state affairs, it was also a compound for the royal family to lead a life in. Since the royal family was also based on the Confucian system, women in the royal palace seldom revealed their existence to outside world. Yet daebi,(a Queen Mother) who was often called 'dongjo,' enjoyed the highest level of honor not only 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but in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dynasty. As they often engaged themselves in political affairs, daebi raised their reputation through rites and rituals. So, in the 16th century, they largely used Changgyeong-gung palace in the eastern part of the royal compound since they sometimes had to go out of the royal residence. While it was called 'dongjo' because it was seated in the eastern part, it was also used as a word symbolizing daebi. And, therefore, it has become a general principle of royal palaces to build the palace for daebi in the eastern wing of the compound. However, the residence for daebi was not always built in the eastern part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instead, edifices for daebi were sometimes erected in several points within the royal compound. Beside, daebi's residence in this period had additional spaces for ceremonies since they had a number of official events there. Construction of daebi's residences in this era was not confined to the symbolic institutions and they became the peculiar palace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for official ceremonies of the queen mothers.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the architectural style of dongjo, which was the place of the supreme female in the hierarchical order, stemmed from donggwol where daebi spent the longest time of the royal life.

  • PDF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5
    • /
    • 2022
  •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

Pix2Pix의 수용 영역 조절을 통한 전통 고궁 이미지 복원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Image by Adjusting the Receptive Field of Pix2Pix)

  • 황원용;김효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60-366
    • /
    • 2022
  • 본 논문은 흑백 사진으로만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고궁 사진을 적대적 생성 신경망 기법의 하나인 Pix2Pix를 활용하여 컬러 사진으로 복원하기 위한 학습 모델 구조를 제시한다. Pix2Pix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기와 합성 여부를 판정하는 판별기의 학습 모델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판별기의 수용 영역을 조절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고 그 결과를 고궁 사진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내용을 다룬다. 기존에 흑백 사진 복원에 사용하는 Pix2Pix의 수용 영역은 주로 고정된 크기로 사용하였으나 이미지의 변화가 다양한 고궁 사진을 복원함에 있어서는 고정된 수용 영역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고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판별기의 수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고정된 수용 영역의 크기를 변화시켜 나타나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사전에 준비한 고궁 사진을 기반으로 판별기의 수용 영역을 조정하고 모델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판별기의 수용 영역 변화에 따른 모델의 손실을 측정하고 최종 학습한 학습 모델을 복원 대상 흑백 사진에 대입하여 복원 결과를 확인한다.

전통 건축과 선박의 목구조 상관 관계 비교 연구 - 고려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the Wooden Structure Betwee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Korean Ships - Focusing on the Ships of the Goryeo-sun -)

  • 김라니;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6호
    • /
    • pp.7-16
    • /
    • 2022
  •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arpenters and tools because wood, the material, was common. This close relationship may have been from the time of ancient architecture and ancient ships.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ides through historical record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e structural association using existing remains. As a result, thre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ships could be found. First, the types of wood used are similar, and the tools and terms used are similar. Second,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horizontal and vertical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wood and the method of forming wood are similar. Lastly, the ship carpenters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mainly worked on long and curved materials such as the eaves and the ridge of a roof, because this was the work done when the ship was built.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oof structure they created resembles that of the ship.

광한루원(廣寒樓苑)에 내재(內在)된 상상환경요소(想像環境要素) 고찰(考察) (Considerations on the Imaginary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Gwanghalu Garden)

  • 심우경;박주성;정용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8
    • /
    • 2010
  •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78 일대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6,000여$m^2$의 연못을 파고 월궁(月宮)을 상징하는 각종 상상환경요소들을 도입하여 조영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관아정원(官衙庭苑)으로서 천문(天文)적 우주를 축소하여 상징적으로 조성한 역사적 공공정원이다. 또한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고, 선도적 신선사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현한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한루 및 광한루원의 1) 점경물에 표현된 상상환경 요소, 2) 단청, 편액, 그림, 문양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 3) 시인묵객들의 시문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의 사상적 배경과 상징성을 파악해 보고, 조경설계에서 서구의 과학적 접근에 의해 단절된 상상환경을 자연환경, 인공환경 외 제3의 환경으로서 그 가치를 강조하고, 현재 재조명되고 있는 상상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전통조경에 내재된 상상환경을 현대조경교육에 계승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를 삼고자 하였다.

우정총국주변 시민광장 설계 (The Citizen Plaza Design around the 1st Korean Postal Building, 'Woojeongchongkuk')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7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for the citizen plaza around the ˝Woojeongchongkuk˝(the 1st Korean postal building) where the ˝Gapsinjeongbyeon˝(1844 coup d´etat) occurred and which was once used as the ˝Jeoneoigam˝(a palace hospital). The site is located in 39 Kyeonji-dong, Jongno-gu, Seoul, and of which area is about 2,013$m^2$. The landscape design goals are to build traditional spaces which fit the traditional buildings and where people feel the old atmosphere; to build interesting spaces where people can learn the post and telegraphic history; and to build nature-friendly green rest spaces in the city. To achieve these goals, symbolic, traditional, education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ncepts are developed. With this concept the space is divided into two axis of the pst and telegraph of Korea. Along the two axis the Postage Stamp ˝Madang˝(yard), the Letter Garden, the Telegraphic ˝Ddeul˝(garden), the Communication Plaza, and the ˝Jeoneoigam˝(old palace hospital) and the ˝Gapsinjeongbyeon˝(1884 coup d´etat) Memorial Place are arranged. The Postal Stamp Madang which symbolizes the first Korean postage stamp is a space for studying history and evolution of stamps in Korea. The Letter Garden which symbolizes and formalizes a letter paper is composed with white bamboo trees which are planted linearly and long granite benches on which famous letters are carved. In the Telegraphic Ddeul which symbolizes the telegraph, the history of the telegraphic instrument and the telephone is exhibited. In the Communication Plaze which symbolizes future post and telegraph service extending to the world, the images of satellite communication, internet, webmail etc. are exhibited. The Jeoneoigan, and the Gapsinjeongbyeon Memorial Place is for memorializing the historic place and events. Throughout the whole place, various models and ceramic picture tiles about the post and telegraph and exhibited for effective education. In conclusion,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s for the site are suggested.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 심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3호
    • /
    • pp.239-250
    • /
    • 2019
  • Recently, young people wearing hanbok are highly visible in the palace and in Hanok Village. However,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the hanbok the young people are wearing is traditional. Young people in Korea are exposed to hanbok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school education, games, webtoons, television shows, and movi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eenagers with illustrations of hanbok to see which they preferred and which if any they recognized as traditional. The study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y considered the hanbok from the 20th century to be the traditional style. We next used text mining to analyze the students' freely written,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hanbok they preferred and the one they considered traditional.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the one the teenagers preferred, was a sexy, cool style related to gisaeng that emphasized the waist, whereas the hanbok they believed was traditional, the $20^{th}$-century hanbok, was simple, neat, comfortable, and plain. Among the young people's responses regarding which hanbok was traditional, the text mining extracted the following repeated words related to both the 18th- and 20th-century hanbok: "dramas," "mass media,"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For the 18th-century hanbok only, we extracted "webtoons" and "Hanok Village," and for only the 20th-century hanbok, we extracted "textbooks."

GSP를 활용한 한국 전통문양의 테셀레이션 작도 (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Tessellations via GSP(Geometer's SkechPad))

  • 계영희;김종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80
    • /
    • 2008
  • 본 논문은 기하 프로그램 GSP(Geometer's SkechPad)를 응용하여, 수학이 흥미롭고 재미있는 교과목이며, 또 다양한 영역 속에서 아름답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테셀레이션의 도형을 평면기하에서 평행이동, 미끄럼반사 등으로 우리 고유의 독특한 태극무늬와 단청문양, 흉배에 사용하였던 구름무늬 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디자인 한 것을 GSP(Geometr's SkechPad) 4.0 으로 작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