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Gardening Element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표현된 일본 전통적 요소 (Japanese Traditional Elements in Tadao Ando's Architecture)

  • 김동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91-98
    • /
    • 2006
  • The stage for Tadao Ando's architectural works is not only in Japan but extends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is creations are not limited to the world of architecture, but are widely acclaimed supported by public people as well. Why Tadao Ando's works are acknowledged and acclaimed so extensively? Japanese traditional elements used in the his works makes it so. Tadao Ando argued intuition and insanity which were deprived by modernism could recover with locality and it's historic elements laid importance to the self. To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he regeneration of landscape which was based on the site and self-reflection must accomplished with the nature. So as to regeneration of landscape, he used Japanese Landscape-gardening and make the nature condensed. With the su-ki, he made the architectural elements simple. And with the Japanese detoured circulation, he made deep and various space. In that way, he intended the nature which is changed with his idea experienced the way of yu-gen.

왕슈(王澍) 건축에 나타난 중국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공간 조성 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eatures of Chinese Traditional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in Wangshu's Architecture - Focus on the Space Creation Techniques of Chinese Traditional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

  • 장명월;조항만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4호
    • /
    • pp.113-121
    • /
    • 2020
  • The Chinese Architect Wangshu, who won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at 2012, is the first and only winner in Chin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his unique architectural ideas. Especially with a high interest in Chinese traditional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Wangshu tried to use its traditional features to form his own architectural way.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features of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Second this research studied the expression of Wangshu's architectural practice in calligraphy's way. Lastly this study furthered study of Wangshu's architecture combined with landscape paintings' features. The results state these following. 1) For calligraphy, he used the "modular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o architectural composition, which included architectural form and materials. The "similarities" and "space creation" of calligraphy are respectively applied to architectural spatial details and site planning. 2) For landscape painting, Wangshu borrows its elements to compose his architecture with "gardening consciousness". The "view method" of paintings was used to his architectural pedestrian flows, and Wangshu also based on the "space creation" of landscape painting to do architectural space design with creating the similar atmosphere.

한국정원의 전통성 구현을 위한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EXPO '90 오사카 꽃전시회 한국 전시장 출품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Embodyment of Tradition in Korean Garden)

  • 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method to embody the cultural heritage and to reproduce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For this purpose, to begin with, the major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were extracted by to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the process and the outcome for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garden were presented by design proposal for the Korean Garden in the exhibition space of EXPO '90, the International Garden and Greenary Exposition, Osaka, Japan, 1990. The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Garden is focuse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the facilities allocation, and the gardening technic of traditional garden,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 ; (1)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s and the opportunities of site development by the analysis and the synthesis of the site condition for the case study, (2) To study on the planning technic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ite, (3) To establish the planning models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te and to choose the final model by the comparison and valuation of them, (4) To set up the Master Plan on the basis of the final mode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thod and the contents have a lot of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sibility to reproduce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moreover to grope for the opportunities to propagate it internationally.

  • PDF

안도다다오 건축에 표현된 일본전통 차경기법에 관한 연구 -그의 '추상과 구상의 중합'에 의한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 Traditional Borrowed Landscape in Architecture of Ando Tadao -Focusing on his concept by 'polymerization of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 한명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0-38
    • /
    • 2008
  • Borrowed landscape is an Oriental gardening method to draw inside external natural landscape, and borrowed landscape of Japan ha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at of Korea or China nature is manipulated and re-interpreted by human will in the course of applying it to architectural space. In other words, not the original scenery, but manipulated one appears which is cut, reduced, or deleted by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wall, window, or fe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architectural structure of Ando Tadao symbolizing modernist architecture understood and adopted Japanese traditional views on nature, that is, borrowed landscape. To this end,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n 'polymerization of abstraction and form' he mentioned, his geometric architectural principles are discussed, since this serves to be an important beginning of architectural concretization by the concept of 'form'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human being through geometric means called architecture 'abstr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ndo Tadao generates borrowed landscape effects by polymerizing and manipulating his simple and geometric structures with each other and thereby editing natural scenery, while Japanese traditional borrowed landscape introduces source scenery inside, through condensation and symboliz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his architecture functions to transcend external and internal realm of a space, which is also observed in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al borrowed landscape. Therefore,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proved that Ando Tadao's architectural language is based on borrowed landscape as a specific Japanese traditional element, going beyond the scope of previous studies focusing simply on the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조선시대(朝鮮時代) 석가산(石假山) 연구(硏究) (The Chosn Period SekGh-San Couplet)

  • 박경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60-79
    • /
    • 2001
  • We can infer from collections of prose in Cho-sun period that the main period is from King Se-jong's reign to King Yoeng-jo's or between the 15th and the 17th century.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dignity of the rock garden is derived from Taoist hermitism and Nitze and Jeng-je's quietism. The representation of the rock garden as tri-god mountain comprising Bong-lai, Bang-jang and Young-ju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making the tripartite rock garden in a pond practiced in the three north-easter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the representation of quietistic world of eternal life that had been sought by the taoism. Making a pond in which they plant lotus and made rock garden. they enjoyed watching immaculately pure lotus flower bloom even in the mud. It is compared to the confucians' seeking for virtue even in the profane or defiled world. Another motive of intellectuals to make rock gardens is their love of nature and its landscapes and their preference of recluse and temperate life to attaching to high public office, which was the tendency of the learned, established by the influence of taoist and quietist tradition. The essays portray the fountain water, ponds, waterfalls. the hilltops, the mountain pass over the ridge. winded lanes, valleys, caverns, and other architectural elements. The technic of building rock gardens includes those of harmonizing each elements of landscapes in the water, that of irrigation, building formation, and those of piling up the mountains and hills. With some comments on planting trees, grass and flowers. The original location of rock garden, esp. in case of taoist Chae-su's rock garden with waterfalls, is Ian-ri, Ian-myon in the city Sang-ju. Since no relics of rock gardens are to be found in any examples of Korea's traditional gardening, the study of rock gardening by analyzing the prose collections of Cho-sun period can be significant for the study of designing water space that has been considered the center of a garden space.

안평대군 비해당(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An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Meaning and Culture of Anpyung-Daegun(Prince)'s Bihaedang Garden)

  • 신상섭;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7
    • /
    • 2011
  • 안평대군(1416-1453)의 비해당 원림을 대상으로 집현전 학사들이 차운한 연작시 '비해당사십팔영'의 경관 어휘소를 분석하여 조선 전기 사대부정원에 담긴 의미경관 및 정원문화를 해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평대군이 인왕산 기슭에 비해당 원림을 가꾸면서 제영한 '사십팔영'의 소표제는 동식물의 태생과 형태,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의미와 상징성 등을 음양의 접합과 같이 대비적으로 연작하는 규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물 중 38개는 식물소재를, 8개는 점경물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정원 명칭을 원림(園林), 정제(庭除), 임천(林泉), 화원(花園)등으로, 뜰의 밀도와 위치에 따라 공정(空庭)과 만원(滿園), 중정(中庭)과 후원(後園), 원락(院落: 안뜰)과 별원(別院) 등으로 세분하여 표현하고 있다. 한편, 누정과 수경시설은 물론 디딤돌과 계단, 그늘시렁, 평상, 화분, 석가산, 괴석, 우물, 롱(籠)(새장), 꽃밭(오(塢)), 생울타리 등이 작정 소재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으며, 뜰 관리자를 사화(司花), 정원수 심기와 가꾸기를 재배(栽培), 연못 속 섬을 부구(浮丘), 축소 경관을 조성하는 축지(縮地)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셋째, 바깥뜰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서재 앞에 매화를 심어 대나무숲길로 이어지게 했으며, 화원을 만들어 작약, 동백, 모란, 배롱나무 등을 심었다. 점경물로는 이끼 낀 괴석, 작은 석가산, 유리석과 화분을 두었고, 장방형 연못을 조성했으며, 뜰에는 사슴, 꽃 비둘기, 금계, 학 등을 사육했다. 넷째, 경물을 상징화하여 (1) 군자와 절개, (2) 부귀영화, (3) 신선 풍류, (4) 은일과 은둔, (5) 기타 효행과 덕, 성찰 등 의미경관을 취했다. 즉, 기화이초와 진금기수가 어우러진 원림을 조성하여 격물치지의 교훈, 은일과 은둔문화의 대입, 불로장생과 무릉도원을 염원하는 선경처의 구축 성향 등 의미경관 요소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다섯째, 경관을 취하는 기법으로 앙경(仰景)과 부경(俯景) 그리고 저경(低景), 외부경관의 차경, 꽃을 그윽하게 바라보며 의미경관을 즐기고 (유경(幽景)), 꽃구경의 흥취를 돋우며 노닐 수 있는 요정(遼庭), 꽃가꾸기 취미인 화색향벽(花色香僻) 등이 발견되고, 사계절과 시간에 따라 감흥을 달리하며 즐기는 시어가 추출된다.

아회도(雅會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원림문화 (Landscape Gardening Culture in Late Joseon Dynasty Depicted in 'Ahoi-do' Paintings)

  • 임의제;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57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성행한 아회도가 기록화의 가치를 지님에 주목하여 도판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원림문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회도에 묘사된 원림의 경관과 이용행태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제택에서 아회의 주된 장소는 사랑마당과 후원이었으며, 대저택에서는 높은 담장 위에 정자를 설치하고 샛문을 두는 등 외원(外園)의 경영과 이를 염두에 둔 입지 선정이 주목된다. 둘째, 화훼류를 심은 화분은 주택 정원에서만 사용하고, 사랑마당의 화오(花塢)에 식물 없이 화분과 괴석분을 놓은 경우가 있었으며, 송첨과 그늘시렁 같은 식물 재료를 이용한 전통 차양시설을 설치하였다. 셋째, 제택과 별서 원림에서 괴석이 중요한 경관요소였으며, 일부는 태호석(太湖石)으로 묘사되어 조선후기 원림에 실제 도입된 것인지 그 여부가 주목된다. 넷째, 별서 원림은 목책, 바자울, 토담 등 다양한 재료로 낮은 울타리를 설치하여 차경을 도모하고, 마당을 확보하여 지당, 괴석과 노송, 대나무, 매화, 버들, 오동, 연, 파초를 심어 인위적 정원을 조성하였다. 다섯째,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은 제택과 인접한 한양의 승경지에 별장형 별서를 조영하였다. 여섯째, 누정 원림은 수림(樹林), 기암(奇巖), 단애(斷崖), 수석(水石)이 아름다운 계류변의 자연성이 높은 지역에 입지하였으며, 정자의 뒤편은 대나무 숲으로 위요하고 앞쪽에는 소나무, 은행나무, 버드나무 정자목을 식재하였다. 일곱째, 아회의 장소로 선호되었던 승경의 구조는 기봉(奇峰)과 단애가 골격이 되고 폭포가 어울려 원경을 이루었으며, 부감(俯瞰)이 가능한 산봉우리 너럭이나 송림, 버드나무, 매화가 있는 계류변 너럭바위가 아회의 적지였다. 여덟째, 원림에서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선호된 수종으로 추정되며, 특히 노송(老松)을 단식(單植)하여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아홉째, 전다(煎茶)를 위한 이동식 다로(茶爐) 시설이 네 가지 유형의 원림 모두에 도입되었다. 열 번째, 길상적 경관요소들이 어우러진 원림은 문인들의 금기서화(琴棋書畵) 및 전다를 통한 탈속적 아회를 위한 풍류의 장이었다.

전통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 완상 문화 (The Culture of Appreciating Pigeon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 김서린;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원림에서 행해진 비둘기 애호 문화를 살펴보고, 전통 원림의 동물 소재로서 비둘기의 면모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둘기의 종류와 명칭을 파악하고, 쓰임과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비둘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비둘기를 통한 원림 향유 문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고전종합DB와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비둘기'로 검색하여 도출된 고문헌의 번역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하였으며 옛 그림을 참고하였다. 비둘기는 귀소성이 있는 새로서 전서구(傳書鳩)로 이용되었으며, 약용, 식용으로도 쓰였다. 비둘기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풍요(豐饒)와 환우(喚雨)를 의미하였으며, 장수를 상징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궁원(宮苑)과 사가 원림에서 비둘기를 길러왔으며, 조선 후기에는 관상용 비둘기의 애완문화가 일시적으로 유행하였다. 비둘기는 원림을 풍부하게 향유하게 하는 공감각적 소재였다. 가지각색의 아름다운 비둘기는 움직이는 조경 소재로서 원림의 가변적 경관을 창출했다. 비둘기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방울 소리는 경관의 청각적 체험을 풍부하게 유도했다. 비둘기 집은 비둘기와 더불어 원림을 풍부하게 하는 완상 요소였다. 원림 조영자는 비둘기 집을 만들고 원림에 배치하는 행위를 통해 원림 조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또한 문인들은 봄을 상징하는 수목이자 비둘기의 먹이 제공원으로서 매실나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산사나무 등과 더불어 부귀와 은일을 상징하는 모란과 국화를 식재하여 비둘기와 함께 향유했으며, 이를 시와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 원림의 공감각적 소재로서 비둘기에 주목하여 전통 원림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물 요소로서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의 완상 요소와 조영자의 향유 행태에 대한 조경사적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지며, 향후 원림에서 비둘기를 기른 구체적 사례와 근현대 시기 조경 공간에서의 비둘기 기르기에 대한 후속 연구가 촉구된다.

한국전통정원에 구현된 풍수미학 연구 - 고산 윤선도의 원림을 중심으로 - (Pungsu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 Focused on Kosan Yoon Sun-Do's Gardens in Mountain-)

  • 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80
    • /
    • 2012
  • 한국정원을 풍수적 시각으로 바라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엄밀히 말하자면 풍수 이론이 적용된 정원을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정원, 특히 산수간에 조영된 전통원림을 풍수와 관련시켜 고찰해 볼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은 첫째, 풍수나 정원 모두 자연에 대한 인간 대응 방식 내지 태도의 산물이라는 점과 둘째, 입지와 차경상 주변 산수와의 어울림을 중시하게 되는 전통원림에서는 풍수적 안목이 유용하게 작용하였을 것이고 셋째,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풍수의 비보적 처방에 정원 또는 정원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루어졌음에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풍수와 한국정원과의 상관성을 풍수미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정원은 물론 풍수의 동시대적 의미와 효용을 풍부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산 윤선도의 부용동과 금쇄동 원림에 구현된 풍수미학으로 풍수 형국에 입각한 공간 구도상의 틀과, 각 요처들 간의 시각구도에서 발견되는 감상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전자는 보길도 섬 전체의 형국을 읽으면서 핵심 요처를 찾아내어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서 심적 이미지로서의 풍수형국이고, 후자는 각 요처에서 주변을 보다 편안한 시선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차경과 관련된 시각구도이다. 그렇게 탁월한 안목으로 풍수적 의미망과 미학 가득한 정원 부용동을 조영하면서 고산 윤선도는 아름다운 자연 속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가 있다.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Exploring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Based on East Asian Garden Culture - Centering on Community and Integration -)

  • 안명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26
    • /
    • 2023
  • 경관과 정원은 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실천 매체로 부각되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정원을 프레임으로 도시를 살펴본다. 정원은 도시민의 활동 매체로 재설정되고 있으며, 도시 재생과 도시형 마을 만들기의 중요한 실행 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에서 본 논문은 정원을 매개로 나타나는 도시 구조와 도시민의 행태, 그 과정 및 결과에 집중하여 볼 때 현시대 우리에게 적합한 조경이론으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제안한다. 이것은 한 세기 넘도록 진화해온 조경을 되돌아보며, 조경의 정체성을 되묻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먼저 정원과 도시 사이에서 조경의 씨앗을 품어둔 바 있는 에벤에저 하워드(Ebenezer Howard)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에 주목하며 '작동하는 경관과 감응하는 풍경'이 도시의 기본적 요소이자 조경이론의 시작이었음을 정원도시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세기를 지나며 그들의 이상이 도시에 모두 구현되지는 못하였으나, 현재는 동아시아 도시에서 전통 정원문화에 기반한 정원의 원형이 형성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는 조경이론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버전의 정원 개념은 우리 도시에서 생활 인프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것이 작동하기 위한 새로운 정원도시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별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논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현대 도시에서 나타나는 정원과 동아시아 정원문화의 가치는 공동체성(community)과 통합성(integrity)을 주제로 형상화되고 있다. 둘째, 아파트로 대표되는 한국적 공동체성은 가드닝(gardening)으로 표출되며 도시와 생활의 재결합과 그것을 지원해줄 전문분야로서 조경의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셋째, 동양적 자연관에 기초한 도시 기반, 일상생활, 정원 매체, 즉 도시-생활-정원이 유기적인 실천론으로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고민해 본다. 결과적으로 현대의 정원과 도시는 동아시아 조경문화, 정원문화에서 아직 재발견이 필요한 중요한 요소와 가치들을 찾고 있음이 확인된다.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제안이 조경의 지속을 담보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계기로 조경뿐만 아니라 도시와 관련한 모든 분야가 협업하며 정원도시를 고민하는 기회는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도시 또는 밀집 도시에 적합한 정원과 도시의 개념, 공동체성에 기반한 정원문화의 확산과 지원 방안, 생활방식과 지형조건에 적합한 조경이론/설계이론의 진화, 기후변화 대응이 가능한 지속가능한/회복탄력적인 정원도시론 모색, 그리고 21세기 조경의 새로운 역할 설정" 등이 본격적으로 고민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