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ch

검색결과 1,938건 처리시간 0.033초

가벼운 터치 자극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동요와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combined with light touch on postural sway an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 인태성;정경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27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alance training combined with light touch improves the postural sway and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Methods: The current study included 40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balance training with light touch (LT) group (n=20) and the balance training with heavy touch (HT) group (n=20). Both groups performed balance training on a stable and unstable ground. Additionally, the LT group provided light touch stimulation, and the HT group provided heavy touch stimulation.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20 sessions of STS training (thirty minutes, five days per week for four weeks). In this study, postural sway was measured using a force platform, and walking speed was measured using a 10 meter walk test. Results: The improvements in postural sway and gait speed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LT group, compared to the HT group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mply that balance training combined with light touch is a beneficial and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that can be employed to improve the postural sway and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Sight and Touch on the Tactile Preferences for the Black Fabrics)

  • 김여원;최종명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3호
    • /
    • pp.556-5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on the tactile preferences for the black fabrics.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and tactile preference to the nine different black fabrics which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for black fabrics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moothness, bulkiness, extensibility, firmness. This texture of sight and touch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black fabr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lack fabrics on the point of texture of sight and touch. The velvet was evaluated the most smooth fabric, while the velvet and fake leather were evaluated the most bulky fabrics. Also, the jersey and lace fabrics were evaluated the most extensible fabrics, while the melton was evaluated as the most firm fabric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but also between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for black fabrics. Also, among the structural properties,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of black fabrics, major variable factor of influencing on the tactile preference was turned out to be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정전기식 입력 장치에서의 빠른 파일 관리를 위한 다중 손가락 튕김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Multi-Finger Flick Interface for Fast File Management on Capacitive-Touch-Sensor Device)

  • 박세현;박태진;최윤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235-1244
    • /
    • 2010
  • 최근 아이폰을 필두로 급부상하는 스마트폰의 정전기식 입력 장치에서는 펜 입력장치나 감압식 입력 장치를 위해 만들어진 제스처기반 인터페이스가 적합하지 않다. 손가락 튕김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제스처기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했던 플릭 제스처와 달리 명령을 적용시킬 대상과 명령을 동시에 선택함으로 작업 단계를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와 병합하여 사용함으로 다양한 메뉴 지원이 가능하여 복잡한 제스처를 학습할 필요가 없고, 정전기식 입력 장치 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정전기식 입력 장치를 가지는 스마트 폰 장치에서의 파일 관리를 빠르게 해주는 다중 손가락 튕김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실험에서는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인터페이스가 정전기식 입력 장치에서 기존 방식보다 유용함을 증명한다.

프리엠퍼시스와 칼만 필터를 이용한 터치 잡음 제거 (Touch Noise Reduction using Kalman Filter and Pre-emphasis)

  • 유승완;송병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68-579
    • /
    • 2015
  • 최근 터치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신호의 정확도와 반응 속도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터치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신호의 움직임을 고려한 칼만 필터링을 이용해 터치 잡음을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효과적인 칼만 필터링을 위해 입력 신호를 프리엠퍼시스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값이 큰 터치 신호는 더욱 값을 키우고, 일반적으로 값이 작은 잡음은 값을 더욱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터치 포인트의 수직 라인을 따라 잡음이 발생하는 터치 패널 고유의 특징을 이용하여 신호의 움직임 유무를 검출한다. 그래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추가적으로 움직임 추정을 수행한다. 우리는 움직임 추정 시 터치 신호가 존재하는 주변 영역만을 이용하여 전체 영역에 대해 움직임을 추정할 때보다 75%의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칼만 필터링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 기법이 양방향 필터, NLM 등의 기존 기법보다 터치 신호의 크기는 유지 혹은 증가시키며 주변 잡음들을 충분히 완화시킴으로써 올바른 터치 인식이 되는 효과를 가짐을 보였다. 또한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 대비 적은 연산량으로 효과적인 잡음 제거를 나타내었다.

다중 입출력 컨텐츠 제어를 위한 범용 멀티 터치 인터렉션 시스템 (General-Purpose Multi-Touch Inter action System for Multi-I/O Content Control)

  • 배기태;권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33-1939
    • /
    • 2011
  • 초기 전자악기를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터치 장치를 사운드 조절에 이용하였다. 1982년에 첫 멀티터치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21세기 초까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멀티터치 시스템의 성능은 빠른 속도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성능 향상에도 불구하고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의 대중화의 길은 요원해 보였다. 그러나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을 시작으로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는 큰 인기를 끌게 되었고 스마트폰을 통해서 대중들이 멀티터치 인터 페이스의 특징을 보다 쉽게 체험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관련 콘텐츠의 부재와 개발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대중화의 길로 다가서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멀티터치 인터페이스 시장의 활성화와 멀티 터치 관련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범용 멀티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나아가 멀티터치 콘텐츠 시장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DI 방식의 대형 멀티터치스크린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 설계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or DI-method Multi Touch Screen Controllers)

  • 강민구;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3호
    • /
    • pp.1-12
    • /
    • 2011
  • 대형 멀티터치스크린의 구현은 기존의 저항막, 정전용량, 초음파 방식으로는 기술 제약 및 비용 등의 문제로 구현에 어려움이 있어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적외선을 사용한 멀티터치스크린은 대형스크린을 구현하기 용이하지만 멀티터치에 기술적인 제한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DI(Diffuse Illumination)방식들이 Microsoft의 차세대 유저인터페이스인 Surface를 통해 제안되었다. FTIR이나 DI 방식은 대형스크린의 구현이 쉽고 멀티터치의 개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FTIR은 터치 포인트의 검출은 쉬운 반면에 스크린의 크기와 재질, 적외선 LED 배열을 위한 모듈, 많은 소비전력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고 DI 방식은 구조상의 문제로 터치 검출이 어려운 반면 FTIR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DI 방식의 터치 포인트 검출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가락 외곽선을 이용한 영상처리 알고리즘, 광학 렌즈 왜곡 현상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멀티터치의 터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Calibration 알고리즘과 정확한 제스처 및 정확한 이동을 위한 Tracking 기법을 고안하였다. 연구 결과 DI 방식을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처리 알고리즘들은 간단하면서 쉽게 대형 멀티터치스크린 구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Spline 곡선을 이용한 터치펜 잡음제거 (Touch-Pen Noise Reduction Using B-Spline Function)

  • 이상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1-126
    • /
    • 2017
  • 최근에 터치펜이 내장된 모바일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터치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펜을 터치 보드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신호의 정확도와 반응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터치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에 펜으로 입력된 터치 포인트 좌표에 섞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필터링을 위해서는 먼저 입력된 신호 중에서 노이즈에 해당하는 좌표를 빠르게 Sampling함으로써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 한다. 그 다음으로 터치 좌표의 전체보정을 위해 B-Spline 곡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좌표의 포인트를 보정하게 된다. 이는 다른 알고리즘들 보다 실시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성능 평가 방법은 터치패드에 대각선을 10개의 구간을 나누어 오차 픽셀들을 기준 값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균 오차는 7.1픽셀이며,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평균 4.1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우리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좌표에 표현 할 수 있는 터치 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인조피혁의 촉감 및 선호도 -주관적 평가- (The Sense of Touch and Preference of Man-made Leather -Subjective Evaluation-)

  • 신혜원;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1-55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sense of touch and preference of man-made leather. Date base of descriptors for man-made leather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50 consumers, 33 different kinds of commercial man-made leathers(synthetic leather and artificial leather) were assessed subjectively by 605 consumers using the 9-point scale of 34 pairs of bipolar descriptors based on the data base. Subjective ratings were analyzed by principal axis factoring with varimax rota-tion. The sense of touch of man-made leather is explained by five factors ; surface property stretchiness thickness& weight thermal property(warmth & coolness) and moisture property (sticky & clingy). The difference in the sense of touch of man-made leathers is mainly attributable to surface property and stretchiness. And the preference of man-made leathers is mainly attributable to surface property and stretchiness. And the preference of man-made leather is explained by three factors ; surface property stretchiness and quality. Higher preference is found in man-mad leather of better quality touch and softness.

  • PDF

소프트 키보드의 터치 위치별 지각 불편도 및 근전도 분석 (Analysis of Perceived Discomfort and EMG for Touch Locations of a Soft Keyboard)

  • 최보리;정기효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9-104
    • /
    • 2013
  • With diversity of mobile services (e.g., messenger, and social network service) on smartphone, the demand of text input using a soft keyboard is increasing. However, studies on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users for various touch locations are lac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rgonomic effects according to touch locations of a soft keyboard on smartphone.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study measured perceived discomfort using Borg's CR-10 scale and electromyography (EMG) on forearm (abductor pollicis longus, and extensor digitorum communis) and thumb (abductor pollicis brevis, and first dorsal interossei) muscles. Perceived discomfort was significantly varied from 0.7 (extremely weak discomfort) to 2.5 (weak discomfort) depending on touch locations. %MVC according to touch locations was only significant at abductor pollicis brevis which varied from 10% to 23%.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ergonomic design of a soft keyboard.

휴대기기에서 Touch screen 성능 개선 연구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ouch screen in mobile device)

  • 신재용;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16-18
    • /
    • 2012
  • 이 논문은 멀티프로세싱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touch screen polling I/O 성능 이슈를 다루고 있다. Touch screen이 장착된 휴대용기기가 점차 대중화되고 그 편한 사용성 만큼이나 쉽게 익숙해지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기기내에서 여러 가지 작업(multiprocessing or multitasking)을 동시에 처리하면서 생기는 문제들 중에 touch screen의 반응이 의도하지 않은 동작결과로 나타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 이러한 부분에 집중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작업(process or task)과 동시에 touch screen 처리과정을 분석하여 개선책을 제안코자 한다. 또한 우리는 이러한 개선책을 증명하기 위해서 실제 구현을 통해서 확인한다. 개선된 방법은 이 상황과 비슷한 조건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