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ical Association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Pancreatic Compression during Lymph Node Dissection in Laparoscopic Gastrectomy: Possible Cause of Pancreatic Leakage

  • Ida, Satoshi;Hiki, Naoki;Ishizawa, Takeaki;Kuriki, Yugo;Kamiya, Mako;Urano, Yasuteru;Nakamura, Takuro;Tsuda, Yasuo;Kano, Yosuke;Kumagai, Koshi;Nunobe, Souya;Ohashi, Manabu;Sano, Takesh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34-141
    • /
    • 2018
  • Purpose: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 is a serious and fatal complication of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Blunt trauma to the parenchyma of the pancreas can result from an assistant's forceps compressing and retracting the pancreas, which in turn may result in pancreatic juice leakage. However, no published studies have focused on blunt trauma to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on of the pancreas and pancreatic juice leakage in a swin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ree female pig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ancreas was gently compressed dorsally for 15 minutes laparoscopically with gauze grasped with forceps. Pancreatic juice leakage was visualized by fluorescence imaging after topical administration of chymotrypsin-activatable fluorophore in real time. Amylase concentrations in ascites collected at specified times was measured. In addition, pancreatic tissue was fixed with formalin, and the histology of the compressed sites was evaluated. Results: Fluorescence imaging enabled visualization of pancreatic juice leaking into ascites around the pancreas. Median concentrations of pancreatic amylase in ascites increased from 46 U/L preoperatively to 12,509 U/L 4 hours after compression.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s obtained 4 hours after compression revealed necrotic pancreatic acinar cells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deep within the pancrea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Conclusions: Pancreatic compression by the assistant's forceps can contribute to pancreatic juice leakage. These findings will help to improve the procedure for lymph node dissection around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진행된 신세포암 환아에게 sorafenib 투여시 발생한 Hand-Foot syndrome 1예 (Hand-Foot syndrome induced by sorafenib, a multitargeted tyrosine kinase inhibitor, in a patient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 이승현;노성훈;김선영;장규윤;황평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119-123
    • /
    • 2009
  • 신세포암은 소아에서는 드물지만 모든 연령에 걸쳐 신 세뇨관의 상피세포에서 기인하는 침습적 악성 종양이다. 종양이 국소화 되어있다면 주위 림프절 절개와 함께 국소적 신절제술로 완벽히 제거될 수 있으나, 주위 림프조직을 침범한 경우나 전이 병변이 동반된 진행된 신세포암 에서는 보조 화학치료, 방사선치료 및 면역치료 등을 이용한다. Sorafenib는 경구, 다(多) kinase (multikinase) 억제제로서 최근 전이성 신장 암에 사용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설사, 피로, 탈모와 고혈압 등의 부작용과 발진이나 낙설 그리고 수족 피부 반응(hand-foot skin reaction)과 같은 피부변화 등이 보고되었다. 특히, 손바닥과 발바닥의 홍반 피부 병변을 보이는 수족 증후군(hand-foot syndrome, HFS)은 대부분 세포증식 억제 화학치료 약에 의해 야기된다. 손바닥 발바닥의 홍반성감각부전으로 알려진 수족 증후군은 저림과 고온의 물체에 대한 과민성 같은 감각이상의 전구증상 등을 특징으로 하며, 약 3- 4일 후 원위 지관절에 홍반과 동통을 수반한 양측에 대칭적 손바닥과 발바닥의 부종이 생긴다. 저자들은 14세 여아의 전이성 신세포암 치료에 sorafenib 사용 시 나타난 수족 증후군과 그에 대한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강활과 방풍의 항염증 상승작용에 관한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Notopterygium incisum and Saposhnikovia divaricata 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 이도연;최고야;윤태숙;전명숙;김승주;야스카와켄;유소연;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44
    • /
    • 2008
  • Objectives: Notopterygium incisum(N. incisum) and Saposhnikovia divaricata(S. divaricata) have been clinically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lso, a herbal mixture prepared with N. incisum and S. divaricata has been strongly linked to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synergistic anti-inflammatory effect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Methods: For evaluat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 herbal mixture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in vivo, we measured the changed ear thickness i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TPA)-induced mouse ear edema model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herbal mixture. In addition, the levels of markers for inflammation, such as tumore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nitric oxide(NO), were determined by ELISA assa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Results: We reported that water extracts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combin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ouse ear edema induced by TPA. Moreover, the water extracts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combination exhibited synergistic effects in down-regulating IL-1${\beta}$ level, but not TNF-${\alpha}$ and NO.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ed treatment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based on seven methods in prescription compatibility, has a synergistic effect in down-regulating inflammatory response both in vivo and in vitro models. Especially, it seems that IL-1${\beta}$ is a one of main target of the mixture of N. incisum and S. divaricata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 PDF

향기요법에 사용하는 캐리어 오일과 에션셜 오일의 세포에 대한 독성 (A Cytotoxicity of Carrier Oil and Essential Oils on Cells by Using of Aromatherapy)

  • 유병수;김샤샤;윤영한;김기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027-1035
    • /
    • 2008
  • Essentail oils and carrier oils are generally used for Aromatherapy. Therefore the toxicity, possibilities of irritations and sensitive reactions and injury of essential oils must be considered for clients and therapists. So that, in this studies a toxicity of jojoba and 4 species essential oils (fennel, mandarine, tea tree and cedarwood) were investigated by the measurement of MTT-assay and sirius red staining. Liver, kidney and brain tell were chosen for the cell viability assay and observation of morphological change. In the resul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on live., kidney and brain cell at concentration of 0.01 $\mu\el/m\el$ jojoba oil. And lysis and nucleus breaking were not observed at same concentration of jojoba oil on live., kidney and brain cell. fennel oil was showed 50% of cell viability and inhibited cell growth on liver, kidney and brain cell at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oils. 50% of liver, kidney and brain cell viability and delayed cell growth of tea tree and mandarine oil were revealed at lower concentration than fennel oil. In cedarwood oil, 50% of liver cell viability at concentration of 0.00067 $\mu\el/m\el$ was showed, but cell viability and cell growth of kidney and beam cell were effected at the lowest concentration compared with other oils. So that, jojoba oil as using of carrier oil may be not harmful. And 3 essential oils from the fennel, tea tree and mamdarine may have very low toxicity, but cedarwood may be used carefully for inhalation. And over dosage of concentrated cedarwood oil should be not directly touched and exposured, and absolute essential oils must be diluted with carrier oils for topical and systematic massage.

자외선 B를 조사한 마우스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대한 분죽(Phyllosrachys nigra var. henenis Strapf)잎 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enis Strapf) Leaf Extract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 B-irradiated Mice)

  • 이해준;채세림;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59-64
    • /
    • 2007
  •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 B(UVB)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대나무(분죽, Phyllostachys nigra var. henenis Suapf ) 잎 추출물 (BLE)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m^2(0.5mW/sec)$씩 7일간 조사하고 BLE를 UV조사 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당 11-16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으며, UV조사 일주일 후 발달된 가지를 가진 DOPA 양성 멜라닌세포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 주사군에서 29.9%, 피부도포군에서 33.3%의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 주사군의 경우 6주에 24.4%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21.0%, 6주에 10.4%의 유의성 있는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BLE가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국제이해교육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on World Geography: Focused on the Contents of Global Education)

  • 양원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92
    • /
    • 1996
  • 본 연구는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고, 또 현재 한 일 고등학교에서 쓰이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의 국제이해 관련 내용을 2개의 중심주제, 6개의 소주제, 20개의 중심개념의 교과서 분석틀로 나누어 비중도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가 국제 이해교육을 위해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용이 적절한지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한 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체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의 6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와 일본의 6차 개정에 의한 세계지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심주제인 상호의존의 영역에서는 양국이 거의 비슷한 비중을 보였으며, 상존(常存)문제의 영역인 인권, 인구, 자원문제에 있어서는 상당한 비중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점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즉 한국의 경우 단원별로 계통지리적 방법과 지지적(地誌的) 방법을 별도로 채택만 반면 일본의 경우는 계통지리적 방법과 지지적(地誌的) 방법과의 상호보완 관계로 채택함으로서 취급된 지역에 대해서는 다면적으로 고찰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세계지리 교과서는 다양한 지역을 이해시키기 위한 구성 및 내용체계를 보이는 반면 일본 세계지리 교과서는 소수의 지역이지만 계통적 주제별로 자세하게 그 지역을 이해시키기 위한 구성 및 내용체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향후 양국의 지리 교과서는 본 연구자가 제시한 바 있는 국제이해교육의 기본적 틀에 맞추어 구성해 가는 것과 내용면에 있어서도 한국의 경우는 단편 지식위주의 서술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며, 일본의 경우는 6차 개정에서 많은 진전을 엿볼 수 있지만 자국위주 및 자국우월주의적 서술로부터의 탈피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방사선 조사후 매식한 임프란트와 관주에 따른 골치유에 대한 비교연구 (INFLUENCE OF TOPICAL IRRIGATION USING THE HA & PURE Ti IMPLANTS ON BONE FORMATION;A STUDY ON THE IRRADIATED RABBIT TIBIA)

  • 홍성팔;이건주;차용두;오세종;현정민;최동주;박영주;박준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59-72
    • /
    • 2000
  • In this study, the rate of bone formation and the pattern of bone to implant contact surface around HA coated implant and pure Ti implant inserted into the irradiated tibia of rabbit were compared. Sixteen mongrel mature male rabbi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 Each rabbit received 15 Gy of irradiation. Four weeks after irradiation, two holes were prepared on the tibia of each rabbit for placement of HA coated type and pure Ti type implants. Prior to implant placement, one group received steroid irriga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similarly irrigated with normal saline. This was immediately followed by placement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implants. Postoperatively, tetracycline was injected intramuscularly for 3 days. For fluorescent labelling, 3 days of intramuscular alizarine red injection was given. 2 weeks before sacrifice, followed by intramuscular calcein green on the last 3 days before specimen collection. Each rabbit was sacrificed on the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eek after the implantation. The specimens were observed by the light microscope and the fluorescen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implants inserted into the irradiated tibia of rabbit were free from clinical mobility and no signs of bony resorption were noted around the site of implant placement. 2. Under the light microscope, new bone formation proceeded faster around implants that received steroid irrig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rrigated with saline. Bone to implant contact surface was greater in the steroid irrigated group than the saline irrigated group. Therefore, better initial stabilization was observed in the group pretreated with steroid irrigation. 3. Under the light microscope. HA coated implants showed broader bone to implant contact surface than pure Ti implants, and HA coated implants had better bone healing pattern than pure Ti implants. 4. In the steroid pretreated group, acceleration of bone formation was demonstrated by fluorescent microscopy around the 2, 4 weeks group and the 6 weeks HA coated implant group.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bone formation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Faster bone formation was noted in the saline irrigated group in the 6 weeks pure Ti implants and 8 weeks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5. For the rabbits that were sacrificed on the second and fourth week after the implant placements, the rates of bone formation around HA coated implants proceeded faster than those around pure Ti implants under the fluorescent microscopy. For the rabbits that were sacrificed on the sixth week after the implant placements, the rates of bone formation around pure Ti implants proceeded faster than those around HA coated implants under the fluorescent microscopy. But this resul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For the rabbits that were sacrificed on the eighth week after the implant placements, the rates of bone formation around HA coated implants proceeded faster than those around pure Ti implants under the fluorescent microscopy.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 PDF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의 관절경하 장요건 절단술 (Arthroscopic Iliopsoas Tenotomy of Iliopsoas Impingement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 허순호;최병열;한상록;정우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5-133
    • /
    • 2021
  •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 환자에서 관절경적 장요건 절단술이 유용한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고관절 전치환술 후 지속되는 서혜부 통증 및 굴곡 시 통증을 호소하는 18명(19예 고관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 60세(범위, 50-69세)의 환자들에서 고관절 전치환술 후 증상발현까지는 평균 4개월(범위, 1-9개월)이 소요되었으며, 18명 환자 중 13명에는 직접전방접근법, 5명에는 측방접근법을 통한 고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병력청취, 신체 검사, 혈액검사, 단순 방사선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영상 검사, 그리고 국소주사치료를 통하여 장요건 충돌을 진단하였다. 이들 모든 환자는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받았고, 역동적 신체 검사를 통하여 술장 내에서 충돌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근육부위까지 도달하도록 관찰된 건 부위 모두에 대하여 건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추시기간의 증상 및 통증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점수는 술 전 평균 58.4점(범위, 40-88점)에서 술 후 평균 35.0점(범위, 15-76점)으로 감소하였다. 시각통증등급도 마찬가지로 술 전 평균 4.0 (범위, 2-6)에서 술 후 평균 1.4 (범위, 0-4)로 감소하였다. 16명(88.9%)에서 통증 경감 및 하지거상 시 통증의 호전을 보였으며, 2명에서는 통증 잔존과 술 후 근력 약화를 보였다. 이후 추시기간에서 근력 약화는 호전되었다. 1명의 경우 소전자부에서 장요건 건절단술을 시행하였으나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관절부에서 한 차례 더 건절단술 시행 후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에서 고관절 관절경을 이용한 장요건 건절단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Biscover의 잇솔질에 따른 마모양상과 항우식 효과 (Experimental brush wear pattern and cariostatic effect of Biscover)

  • 오은주;박성수;장문주;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4-222
    • /
    • 2008
  • 본 연구는 Biscover를 교정학 영역에서 치아우식 예방 목적으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Biscover의 잇솔질에 대한 마모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인공우식용액에서의 치면 변화를 관찰하여 항우식 효과를 평가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100개의 인간 소구치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90개의 Biscover coating군과 10개의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Biscover coating 군은 잇솔질 횟수에 따라 무작위로 10개씩 9개의 군(B1 - B9)으로 분류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잇솔질 횟수에 따라 5개씩 2개의 군(C1, C2)으로 분류하였다(B1, 0; B2, 450; B3, 900; B4, 1,800; B5, 2,700; B6, 5,400; B7, 8,100; B8 & C1, 10,800; B9 & C2, 21,600 strokes). 3-body 마모 시험기를 이용해 치아 시편에 대한 잇솔질을 재현하였으며, 100 rpm의 빈도와 1.5N의 힘을 적용시켰다. Biscover 도포 후 법랑질면의 조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고, 잇솔질 후에는 증가하였지만, 자연 법랑질보다 낮은 조도를 보였다 (p < 0.001). Biscover 도포 후 잇솔질 기간과 표면의 거칠기의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SEM을 이용한 표면과 단면 관찰 시 10,800회 잇솔질 후에 Biscover 층이 모두 마모된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치아를 인공우식용액에 7일간 침식하여 평가한 결과, 10,800회와 21,600회 잇솔질한 Biscover coating군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이 관찰된 반면, 대조군인 자연치면은 심한 탈회가 진행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Biscover 도포는 치면의 활택도를 향상시키며, 적절한 마모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마모에 의해 Biscover층이 제거된 후에도 자연치면에 비해 우식에 대한 큰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교정장치의 부착에 있어 이의 적절한 활용이 기대된다.

자외선 B 조사 마우스에서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HemoHIM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B irradiated Mice)

  • 이해준;김종춘;문창종;정우희;박혜란;조성기;장종식;김태환;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93-98
    • /
    • 2011
  •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 B(UV-B) 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dot}cm^{-2}$ ($0.5\;mW{\cdot}sec^{-1}$)씩 7일간 조사하고 헤모힘을 UV 조사 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경구투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당 13~15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에서 44.9%, 경구투여군에서는 3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피부도포군에서는 30% 이상의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의 경우 3주 및 6주에 각각 18.3%, 12.5%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 경구투여군에서는 3주 및 6주에 각각 16.9%, 20.4%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32.0%, 6주에 31.2%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헤모힘이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성 단미생약, 유효성분,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및 형성된 세포의 감소 촉진에 관여하는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