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gue clean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혀 세정기가 부착된 수동칫솔이 치아와 혀의 세정도 및 구취 관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 on tooth and tongue cleanness and malodor index)

  • 김태일;홍삼표;이신재;강봉선;오영상;김인경;오미현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699-708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 on tooth cleanness, tongue cleanness and malodor index. Materials and methods: 504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t 1st visit, basic information such as age, sex, smoking amount and alcohol consumption was recorded. Self assessment by individual subjects was performed regarding satisfaction to old toothbrush and toothbrushing habit. Tooth cleanness, tongue cleanness and malodor index was assessed by professional researcher.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 was given to each subject with proper toothbrushing instruction. After 1 month passed, self assessment and researcher assessment regarding the same index were perform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by chi-square test. Results: At 1st visit subjects seem to ignore tongue cleansing and showed poor tooth cleanness index, tongue cleanness index and malodor index, however the same subjects were motivated to clean their tongue and teeth and presented statistically improved distribution pattern in tooth cleanness index, tongue cleanness index and malodor index after using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p<0.01). Satisfaction to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 was 98%. Conclusion: Tongue cleaner-equipped manual toothbrush w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maintaining good oral hygiene through improving tooth and tongue cleanness and preventing malodor formation.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잇솔질, 혀세정기구, 사탕 및 껌의 구취감소효과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ooth Brushing,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Candy, and Gum on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 남상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3
    • /
    • 2012
  • 본 연구는 각종 구취제거방법 중 효과적인 방법들을 시행하여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2007년 4월 2일부터 2007년 4월 13일까지 서울 S보건대학 치위생과 재학생 중 만 20세에서 22세의 여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 구취제거방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잇솔을 사용한 잇솔질군, 구강위생보조용품인 혀세정기구 사용군, 사탕섭취군(무설탕), 껌 저작군(무설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취감소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의 구취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 20분 경과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잇솔질군의 구취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 5분 경과부터 실험 20분에 이르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3. 혀세정기구 사용군의 구취는 잇솔질 사용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사탕섭취군의 구취는 실험 5분 경과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5. 껌 저작군은 저작 후 10분 경과까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구강환경과 구취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environment and halitosis)

  • 이영옥;이태용;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139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halitosis prevention and establish a device to efficiently eliminate halitosi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litosis. Methods : Oral examination on the Gingival index, CPITN, Tongue Plaque index, and OHI-S as well as halitosis measurement among 293 rural residents. Results : Gingival index was high at mild on female and at moderate on male(p=0.025). Sorting the result by age, mild was 54.1% in the 40s, and moderate was 49.5%, 42.0% and 70.0% each in the 50s, 60s, and the 70s(p=0.005). The need for dental plaque management was 100%. The need for scaling was high with 78.3%, 93.0%, 89.9%, and 9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 The need for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was also high with 32.4%, 47.5%, 48.7% and 6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p=0.050). The highest bad condition for OHI-S was 69.5%, and good being 18.9%, and very bad being 11.6%. For moderate tongue plaque index was 74.4% as the highest.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the slight tongue plague was increased, but in contrast, the moderate and higher tongue plague index was decreased(p=0.010). OG under 50ppm was 61.1% on male and OG over 50ppm was 50.9% on female(p=0.041). In OG over 50ppm, CPITN was 52.1% and 41.9% in scaling and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group(p=0.018). OHI-S, in bad and very bad condition with OG, over 50ppm, was 48.7% and 46.9%(p=0.019). The higher tongue plague index showed significant amount of increase at OG and EG above 50ppm(p=0.006). $NH_3$, as the tongue plaque index increased, the wider range of distribution was shown(p=0.000).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OG. There have been selected age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EG and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s factors affecting on $NH_3$. Conclusions : With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mind, the status of halitosis among rural residents is considered to bare a close relation with oral environments. we have to focus on correct tooth brushing methods and tongue brushing, with using tongue cleaner to remove fur of tongue plaque. Also, in order to analyze exactly the factors of individual halitosis, we need continuous and systematic study.

  • PDF

노인의 구강위생행태와 주관적 구강건강 형태에 대한 분석 (Oral hygiene form and the subjective health analysis of the elderly)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19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fundamental data on oral hygiene of the elderly and to assess the behavior of oral hygiene, subjective oral health, oral health problem among the elderly, and to contribute to successful enhancement of life in their declining years. Methods: The author surveyed the behavior of oral hygiene, subjective oral health, oral health problem to 192 elderly at a health center of Busan using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 2nd 2009 to Feb. 10th 2010.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production, ${\chi}^2$ (Chi-square)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otal subjects by oral health behaviors were 56.8% for "have ever trained how to tooth brushing", 76.6% for "correctly performed tooth brushing by himself ", 71.8% for "tooth brushing a day is two times and less", 87.5% for "it doesn't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and 53.6% for "it doesn't use the facility for oral health",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total subjects by the state of perceived oral health were 51.0% for "feel the oral discomfort", 51.6% for "feel the comfortable chewing on starchy food", respectively. The mean point of perceived oral health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otal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type of medical insurance, smoke, exercise, and chronic disease. The mean point of perceived oral health by oral health behaviors of total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experience on tooth brushing, recognition for tooth brushing by himself,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The risk factors of perceived oral health were type of medical insurance and chronic disease in general characteristics,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and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in oral health behaviors. Conclusion: The author recommend to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arry out the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three times and over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for oral health. and the author consider that it need to prepare the active countermeasure to oral health such as reeducation for oral health and supply to the tongue cleaner.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구강솔의 발달과 구강위생관리의 고찰 (Development of oral brush and maintaining of oral hygiene)

  • 박준봉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1호
    • /
    • pp.678-68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oral care devices in the ancient civilization. Through an evolutional process of oral care devices,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has revealed decreasing tendency. Because of the changing the role of the toothbrush, the name of brush should be alter from toothbrush to oral brush. Recent we can apply toothbrush to tongue cleaner to diminish the oral breathe odor. Selection of the toothbrush for fittable for each and every person is the one of important point to maintain the oral hygiene. including check-up the oral hygiene status after toothbrush with disclosing solution. This review of literature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way to maintain the oral health shoul be included the selection of proper toothbrush for each person and confirmation of result of toothbrush in oral cavity after had learned tooth brush instruction from professional person.

일부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usage status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in service workers behavior)

  • 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52
    • /
    • 2008
  • 본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S생명사와 L백화점에 종사하는 서비스군 200명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서비스군 20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습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행태 및 만족도 등에 관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서비스군의 양치 횟수는 하루 3~4회(53.4%)가, 양치방법은 위 아래로 닦는 방법(50.8%)이 가장 많았으며, 양치 시기는 식후 5분 후(45.0%)가 하는 경우가, 칫솔 교환 시기는 모양을 보고 교환하는 경우(56.6%)가 가장 많았다. 2. 서비스군은 비서비스군에 비해 구강위생보조용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그 사용 빈도는 이쑤시개(30.9%), 구강양치용액(29.9%), 치실(13.5%), 혀닦이(10.1%) 순이었으며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았다. 3. 각 구강위생보조용품 별로 두 군 간의 사용현황을 비교해 보면, 서비스군은 치실(66.1%),의 사용이 비서비스군(33.9%)에 비해 더 많았고, 혀닦이(64.4%), 역시 비서비스군(33.3%)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강양치용액에서도 서비스군이 (64.43%) 비서비스군에(35.6%)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쑤시개에 있어서는 비서비스군(54.6%)이 서비스군(45.4%)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동기는 치과에서 권유하여 사용하는 경우(53.6%)가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하기 불편하거나(45.4%),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21.60%)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인지도에 따른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이쑤시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 서비스군이 비서비스군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특히 구강양치용액(54.8%), 혀닦이(43.3%) 치실(35.8%) 등에서 다소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6. 서비스군(54.9%)은 비서비스군(45.1%)에 비해 정기검진을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정기검진의 기간에 있어서 1년마다 시행하는 경우가(43.5%)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서비스 종사자들은 비서비스종사자들에 비해 구강위생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강위생보조용품만을 사용하고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함에 불편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지속적인 적극적인 홍보가 매우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매체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울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개발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판매처를 증가시키고 보급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서비스 종사자들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을 모두 대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률은 평가하였으나 사용능력은 평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구강위생용품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사용률 못지않게 중요하나 이를 조사하지 못했다. 셋째, 인지도에 따른 사용현황은 조사하였으나 구강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보다 더 실용적인 자료가 되기 위해, 앞선 한계를 보완한 조사도구가 개발되어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성인의 구강위생용품에 관한 지식수준과 사용태도 조사 (A Study on Knowledge and Use of Oral Hygiene Devices among Adults)

  • 윤현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9-34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성인들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하여 지식수준과 사용태도를 조사하여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지식 및 사용을 향상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2007년 12월 3일부터 17일까지 383부 중 부적절한 설문지 31부를 제외한 352부를 대상으로 SPSS version 17.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위생용품 지식수준은 "칫솔머리는 위로 향해 보관해야 한다." 76.7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칫솔질 할 때 혀도 닦아야 한다." 74.86점, "일반 칫솔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알고 있다." 71.84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물 사출기, 혀 클리너, 치간 칫솔 등에 대한 지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구강위생용품 실천수준은 "칫솔머리를 위로 향하게 보관한다." 76.7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 칫솔을 사용하고 있다." 74.07점, "칫솔질 할 때 혀도 닦는다." 69.92점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물 사출기, 혀 클리너, 전동칫솔에 대한 사용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은 성별에서는 남자 62.54점, 연령은 50세 이상 66.28점, 가족 수 4명 61.52점, 학력은 대학원졸 66.78점, 직업은 자영업과 전문직 63.63점, 경제 수준은 100-150만원 66.66점, 아버지의 흡연여부에서는 '예' 61.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사용태도는 성별에서는 여자 47.70점, 연령은 40-49세 47.78점, 가족 수 4명 48.18점, 학력은 대학원졸 50.17점, 직업은 전문직 49.79점, 경제수준은 100-150 만원 51.89점, 아버지의 흡연여부에서는 '예' 48.1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

구강보건교육이 구강환경관리 능력지수(PHP index)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PHP Index)

  • 심연수;김희원;김은희;안소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health promoting school in Gunpo, Gyeonggi Province. Before giving the students oral health instruction, their mod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PHP index) was measured using disclosing solution. Then, the students were taught the right way to brush teeth (Rolling method) and use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dental floss, tongue cleaner and interdental brush. Their modified PHP index was re-measured three days after and seven days after the education to evaluate the effect and persist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of the total 116 students, 48 students who completely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nd participated in the whole process, photo shooting and three times of PHP index measurement,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students' modified PHP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three days after the education. However, the index slightly went back up seven days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on: Oral health educ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dental plaque which remained after brushing. Continuous education about and constant motivation for oral hygiene turned out to be critical to maintain the impact of oral health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which can constantly motivate teenagers.

강원지역 D대학의 치면세마 실습 내원환자에 대한 스켈링 실태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 실태 조사 (Investigation into the Scaling the Actual Condition of Patients at the Oral Prophylaxis Lab in D College in Gangwon Province and Their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 홍민희;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66-173
    • /
    • 2009
  • 강원지역 D 대학 치위생과 2, 3학년 학생들의 치면세마 실습시간에 내원한 환자중 20대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관련 스켈링 만족도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 실태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학생들이 스켈링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스켈링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61.2%로 그렇지 않은 학생 38.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스켈링을 받은 장소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스켈링을 치과에서 받은 학생이 75.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이 34.4%로 여학생 11.8%보다 스켈링을 학교에서 많이 받았고 여학생은 88.2%로 남학생 65.6%보다 치과에서 많이 받았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10.79, p<.01). 2. 스켈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성별로 살펴본 결과 성별로는 남학생이 38.7%로 여학생 26.5%보다 "잘 모르겠다"에 높은 분포를 보였고, 여학생은 57.4%로 남학생 55.9%보다 스켈링을 받을 당시 아프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6.38 p<.05). 3. 구강위생용품 사용 실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치실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학생이 72.2%로 혀 세척기를 사용한 경험이 없는 학생이 86.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