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sh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스테인리스 스틸 강선(STS 316Ti)의 웨이브 성형 시 발생되는 금형 치절에 의한 찍임 자국 최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ization of Dent Marks due to Mold Tooth Teeth Generated During Wave Forming of Stainless Steel Wire (STS 316Ti))

  • 문현철;배수한;성효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8-106
    • /
    • 2022
  • Among the parts assembled in the gas receiver of a marine engine, the titanium alloy stainless steel (STS 316Ti) wire mesh serving as a filter was broken, and the related part, the turbine fan of the turbocharger, was damaged. In this study, a sample of the grid wire mesh was collected and the cause of breakage was analyzed, and a method of minimizing the dent mark caused by the mold during wire forming, which is one of the most direct causes, was studied. In addition, the optimum mold shape was realized through FEM simulation, and the wire wave mold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was improved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wire wave molding machin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with minimal dent marks.

주형온도가 CP Ti의 주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Mold Temperature on the Castability of CP Ti)

  • 정종현;주규지;고은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itanium castability with a spin type casting machine(TiCast, Super R, Selec, Osaka. Japan). We tested phosphate bonded investment "Rematitan$^{(R)}$Plus(Dentaurum, Inc., Pforzheim, Germany)"of mesh grid pattern and plate pattern. Four different mold temperatures(room temperature, 200$^{\circ}C$, 400$^{\circ}C$ and 600$^{\circ}C$) were prepared for the present study. In mesh grid pattern with spruing of $\varphi$0.88㎜ dimeter, when the mold temperature increased, high percentage of castability was gained. Mold temperature showed a highly significant(p<0.05) correlation on the castability, In plate pattern, the higher the mold temperature during casting, the greater the adhesive phenomenon between Ti surface and the investment.

  • PDF

Aerosol Deposition 법을 이용한 광촉매 $TiO_2$ 박막 제조 (Fabrication of Photocatalytic $TiO_2$ Thin Film Using Aerosol Deposition Method)

  • 최병규;민석홍;김종오;강경태;최원열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5-59
    • /
    • 2004
  • 본 논문은 광 활성도가 가장 좋은 아나타제(anatase)상의 광촉매 $TiO_2$분말을 상온에서 aerosol deposition 법을 사용하여 박막을 제조하였다. 이런 제조 방법은 aerosol 분말을 초음속으로 분사하여 기판에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저온에서 박막증착이 가능하여 thermal stress를 줄일 수 있고, 공정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박막 제조시 aerosol bath의 압력은 500 torr이고, chamber의 압력은 0.4 torr 였다. 이런 압력차는 $0.4 mm{\times}10 mm$의 크기의 노즐을 통해 $TiO_2$ 나노 분말을 초음속으로 가속하여 기판에 증착시켰다. 박막 제조를 위해 사용한 기판은 수질정화에 응용하기 위해 직경 50 mm인 원판 SUS mesh를 사용하였다. $TiO_2$ 분말의 고른 분포를 위해 $TiO_2$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이차 입자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알코올 bath 속에서 90분간 초음파 세척을 한 후 건조하였다. SUS mesh 위에 증착되어 있는 $TiO_2$ 박막의 입자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주사 현미경(SEM)으로 분석하였으며, $1 {\mu}m$정도의 입자 크기를 관찰 할 수 있었다. X-ray diffraction (XRD) 분석 결과 aerosol deposition 후에도 분말의 anatase상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런 결과는 광촉매 작용을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초음파 촉매 공정에서 주파수와 고정된 고체 촉매가 라디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quency and Fixed Solid Catalyst for Radical Production in Sonocatalysis)

  • 조은주;나승민;이세반;김지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3
    • /
    • 2012
  • The fixed solid catalysts such as glass bead, steel mesh, and $TiO_2$ coated ceramic bead were used to investigate effect of radical produc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The radical production rate at 300 kHz was faster than that at 35 kHz without solid, but the tendency was changed with the presence of glass bead. The presence of glass beads create non-continuous points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phases leading to increased formation of cavitation bubbles. However, the radical production decreased when steel mesh was used at 35 kHz although the surface area of contact with liquid was same when glass bead was used. Hence the solid catalyst did not always enhance the radical production. The radical production using $TiO_2$ coated ceramic bead was dramatically increased at 35 kHz due to the breakage of $TiO_2$ coated ceramic bead. Therefore the radical productions at 300 kHz using fixed solid catalysts generally increased while at 35 kHz the result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iN Ion-Plating이 교정용 브라켓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n Ion-plating on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 김석용;권오원;김교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7-171
    • /
    • 1997
  • TiN ion-plating이 교정용 브라켓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종류의 서로 다른 기저면형태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브라켓을 선택하고, TiN ion-plating 된 브라켓과 ion-plating 되지 않은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켰을 때 초기 및 장기접착강도, 접착계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파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dot}$ TiN ion-plating을 하지 않은 경우 24 시간 후의 접착강도는 Micro-Loc형이 $5.89{\pm}1.77MPa$, Foil Mesh형이 $4.27{\pm}1.12MPa$, Undercut형이 $2.64{\pm}0.58MPa$로 Micro-Loc형 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Foil Mesh형 그리고 Undercut 형의 순으로 나타났다(P<0.05). ${\cdot}$ TiN ion-plating시 24시간 투의 접착강도는 Micro-Loc형이 $6.26{\pm}1.51MPa$, Foil Mesh형이 $7.45{\pm}2.01MPa$, Undercut형 이 $2.93{\pm}0.84 MPa$로 ion-plating 하지 않은 경우와 달리 Foil Mesh형이 Micro-Loc형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고, Undercut형이 역시 가장 낮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Ion-plating 유무에 따른 24시간 후의 접착강도는 3가지형 모두에서 ion-plating시 증가하였으나 Foil Mesh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01). ${\cdot}$ 장기침적시 ion-plaling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초기(1일)접착강도보다 증가하였으며 접착력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cdot}$ 접착계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브라켓 기저면의 형태나 ion-plating 유무에 관계 없이 레진이 브라켓 기저면으로 잘 퍼져들어가 브라켓과 치아와의 사이에 견고한 접착면을 나타내었고, 장기침적의 경우도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cdot}$ 파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다양한 파괴 양상이 나타났다.

  • PDF

수소제조용 광전극을 활용한 Cr(VI) 환원처리에 관한 연구 (Photocatalytic Cr(VI) Reduction with a Photoanode for Hydrogen Production)

  • 심은정;박윤봉;배상현;윤재경;주현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52-457
    • /
    • 2007
  • Titanium foil and mesh(anodized tubular $TiO_2$ electrode, ATTE) were anodized in a bath at $5^{\circ}C$ with 20V external bias applied, then annealed at different temperatures($450^{\circ}C{\sim}850^{\circ}C$) to obtain tubular $TiO_2$ on the Ti substrate. The prepared sample was used to investigate rate of hydrogen production as well as Cr(VI) reduction. The ATTEs annealed at relatively lower temperature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ose at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s. In particular, the Cr(VI) reduction was pH-dependent. To improve photocatalytic Cr(VI) reduction with the ATTEs, two configurations, fixing foil type and rotating mesh type, were also compared. As a result, the rotating mesh type was much more effective for Cr(VI) reaction than the former due to the more efficient use of the light. In the rotating type reactor, as the rotating speed increased, the rate of the Cr(VI) reduction was getting faster.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한 Pd 기반 전극·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d-based Electrode prepared by using Electroless Plating Method)

  • 황인혁;이동윤;김성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38-13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한 Pd coating 기술을 활용하여 폐수처리를 위한 전기분해 공정에 anode로의 적용을 목적으로 Ti-mesh 기반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Pd/Ti-mesh 전극은 염색염료인 RO16을 대표로 그 제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전극 제조조건을 다르게 하여 내구성 및 성능을 극대화한 결과 coating 조건은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Pd coating 후 열처리 공정의 경우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내구성 역시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Ir, Ru, Ta을 복합화하여 성능 및 내구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으나, coating법의 한계로 layer의 thickness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이 커졌으며, 이에 따라 성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CP-Ti 분말로부터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한 타이타늄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소결 온도의 영향 (Effect of Sintering Temperature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Spark Plasma Sintered Titanium from CP-Ti Powders)

  • 조경식;송인범;장민혁;윤지혜;오명훈;홍재근;박노광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65-372
    • /
    • 2010
  • The evolution of sinterability,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spark plasma sintered(SPS) Ti from commercial pure titanium(CP-Ti) was studied. The densification of titanium with 200 mesh and 400 mesh pass powder was achieved by SPS at $750{\sim}1100^{\circ}C$ under 10 MPa pressure and the flowing $H_2$+Ar mixed gas atmosphere. The microstructure of Ti sintered up to $800^{\circ}C$ consisted of equiaxed grains. In contrast, the growth of large elongated grains was shown in sintered bodies at $900^{\circ}C$ with the 400 mesh pass powder and the lamella grains microstructure had been developed by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The Vickers hardness of 240~270 HV and biaxial strength of 320~340 MPa were found for the specimen prepared at $950^{\circ}C$.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제작된 터치스크린패널용 금속메시 (Thin Metal Meshes for Touch Screen Panel Prepared by Photolithography)

  • 김서한;송풍근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75-579
    • /
    • 2016
  • The metal mesh films with thickness of 1.0, 1.5, $2.0{\mu}m$ were prepared by photolithography using Ag, Al, and Cu metals. Every metal films were showed C(111) preferred orientation and Ag showed the lowest resistivity and followed by Al and Cu. The transmittance of almost films were higher than 90%. But, the Ag film with thickness of $2.0{\mu}m$ was delaminated during photolithography process due to low adhesion. So, Cu and Ti metal films were introduced under Ag film to improve adhesion property. The Cu film showed higher adhesion properties compared to Ti film. Furthermore, the Ti films that deposited on Ag film showed higher acid resistance.

In-Situ 반응소결에 의한 전도성 $Si_3N_4$-TiN 복합세라믹스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conductive $Si_3N_4$-TiN Ceramic Composites by In-Situ Reaction Sintering)

  • 이병택;윤여주;박동수;김해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77-582
    • /
    • 1999
  • 전도성 $Si_3N_4$-TiN 세라믹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성형체를 $1450^{\circ}C$에서 20시간 질화처리한 후 $1950^{\circ}C$에서 3.5시간 가스압소결 기술에 의해 후소결하였다. 초기 분말로 약 $10\mu\textrm{m}$로 된 상용 Si분말, 100mesh와 325mesh로된 Ti분말, 그리고 미세한 $\2.5mu\textrm{m}$ TiN분말을 사용하였다. Ti분말울 사용한 $Si_3N_4$-TiN 소결체에서 상대밀도 및 파괴인성값은 다량의 조대한 기공의 존재로 인하여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TiN분말을 사용한 $Si_3N_4$-TiN 복합체에서 파괴인성, 파괴강도 및 전기저항은 각각 $5.0MPa{\cdot}m^{1/2}$, 624MPa 그리고 $1400{\omega}cm$였다. 복합체에서 TiN 업자의 분산은 $Si_3N_4$ 업자의 조대한 봉상형태로의 성장올 방해하며 $Si_3N_4$/TiN 계면에 강한 변형장울 만든다. $Si_3N_4$-TiN 복합체의 전기전도도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TiN 업자가 균일하게 분산 된 미세조직 제어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