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atened specie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초

준위협종 긴흑삼릉의 서식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환경 특성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ear Threatened Sparganium japonicum)

  • 김서현;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51
    • /
    • 2015
  • Sparganium japonicum Rothert. is designated as a near threatened specie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and is restrictiv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To conserve and restore habitats of this plant,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at five habitats during the growing season. Thirty plant species from seventeen families were found in the S. japonicum community. The species frequently found in this community included Utricularia vulgaris, Potamogeton distinctus, Phragmites japonica, Cicuta virosa, Persicaria thunbergii, Phragmites communis, Hydrilla verticillata. Maximum height of this plant reached at August and average height at five habitats is 120 cm at this time. Water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low value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wetlands. S. japonicum lived in not only shallow water level but also deep water level.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for S. japonicum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eeds of Couroupita guianensis Aubl. - A Threatened Tree with Recalcitrant Seeds

  • M., Manokari;Shekhawat, Mahipal S.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5호
    • /
    • pp.388-394
    • /
    • 2018
  • An efficient and reproducible protocol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eeds of Couroupita guianensis has been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Couroupita guianensis is a medicinally important tree and categorized as threatened plant species by the IUCN. The seeds were surface sterilized using 0.1% $HgCl_2$ and inoculated on MS (Murashige and Skoog) and Woody Plants (Llyod and McCown) medium. The seeds with partially removed seed coat responded better (100%) on half strength MS medium as compared to the full (51%), one-fourth strength MS (79%) and the WP medium. Half strength MS medium conjunct with $2.0mg{\cdot}L^{-1}$ indole-3 butyric acid (IBA) was found bes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auxins and cytokinins tested for seed germination, as all the seeds germinated on this medium combination. The seedlings were successfully hardened in the greenhouse and restored in the field with 83% survival rate. The protocol can be used as conservation measure for large scale multiplication of this threatened forest tree species.

가야산국립공원 기후변화취약종의 분포 및 보전방안 (Conservation Measures and Distribution of Vulnerable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Gayasan National Park)

  • 김윤영;임효선;한세희;지성진;소순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7-175
    • /
    • 2017
  • 가야산국립공원 내의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 및 국가기후 변화 지표 생물종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28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11분류군, 남방계 2분류군, 관심식물은 2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자생종은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역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으로는 전나무, 구상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매발톱나무, 흰참꽃나무, 산앵도나무, 설앵초, 기생꽃, 백리향, 병풍쌈, 솔나리가 해당되었으며, 이들은 수직적 분포역이 매우 좁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기후변화 취약종에 포함되지 않지만 본 지역의 산정에 자생하고 있는 한라송이풀, 세모산부추, 숙은처녀치마 등의 고유종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에 해당하는 여우꼬리풀, 구름병아리난초 등도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들에 대한 보전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산정에 분포하는 잔존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기후변화취약종을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류군으로 재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반도 관속식물 IUCN 적색목록 평가와 문제점 (An Assessment and Review of IUCN Red List for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 장진성;김혜원;김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11-120
    • /
    • 2017
  • IUCN의 적색목록은 전 세계 규모에서 가장 신뢰받는 멸종, 희귀 동식물종의 평가와 보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6년 7월까지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중 IUCN 적색목록 평가를 받은 종은 236종으로, 5종이 멸종위기종(CR), 20종이 위기종(EN), 9종이 취약종(VU)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189종은 약관심종(LC)으로 평가되었다. 환경부는 2011년 국가적 색목록 평가라는 명목 하에 IUCN 적색목록과 내용, 형식이 다른 정성적 기준에 따라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I급과 II급 목록을 57종으로 수정 제시하였다. 이 목록은 IUCN의 적색목록과 비교시 일부 공통종이 있으나 공통종도 보전상의 지위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평가 내용의 불일치의 이유는 남한이라는 제한된 지역 수준의 평가로는 전 세계 규모의 평가와는 결과가 일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평가에 필요한 정보가 부실하게 제시되거나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자의적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국가 단위의 종 관리를 위해서는 멸종과 절멸에 대한 엄밀한 용어 적용과 남한에 국한된 제한적 시각의 편향된 결과를 배제하고, 분류학적 실체에 근거한 종 선정, 평가를 위한 개체군의 크기, 분포, 개체수, 개체군 증감에 대한 구체적 자료 제시와 수집이 필요하다. 환경부의 현재 멸종위기동식물 목록은 '국내절멸위기목록'으로 변경하고, 전 세계 단위의 IUCN적색목록 평가종을 '멸종위기목록'으로 이원화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 기관에서 제시하는 몇 백 종의 과도한 목록 보다는 우선 평가 대상의 종을 순차적으로 늘려가면서, 평가 및 종관리에 내실을 다지는 것이 필요하다.

Sequencing and annot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 threatened labeonine fish, Cirrhinus reba

  • Islam, Mohammad Nazrul;Sultana, Shirin;Alam, Md. Jobaidu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3호
    • /
    • pp.32.1-32.7
    • /
    • 2020
  • The mitochondrial genome of a species is an essential resource for its effective conservation and phylogenetic studies. In this article, we present sequenc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 threatened labeonine fish, Cirrhinus reba collected from Khulna region of Bangladesh.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was 16,597 bp in size, which formed a circular double-stranded DNA molecule containing a total of 37 mitochondrial genes (13 protein-coding genes, 2 ribosomal RNA genes, and 22 transfer RNA genes) with two non-coding regions, an origin of light strand replication (OL) and a displacement loop (D-loop), similar structure with other fishes of Teleostei. The phylogenetic tree demonstrate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labeonine fishes. The complete mitogenome of Cirrhinus reba (GenBank no. MN862482) showed 99.96% identity to another haplotype of Cirrhinus reba (AP013325), followed by 90.18% identity with Labeo bata (AP011198).

Status, Distribution, Conservation and Use Valu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MAPs) in Sagarmatha National Park, Nepal

  • Gaire, Damod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53-258
    • /
    • 2014
  • The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status, distribution, conservation and use valu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MAPs) in the Sagarmatha National Park. Altogether 62 species of MAPs belonging to 47 genera and 33 families have been recorded in the study area. 10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are categorized as the potential species. Out of the these species, most potential in local but threatened species are Allium hypsistum Stearn, Cordyceps sinensis Sacc, Dactylorhiza hatagirea Soo, Nardostachys grandiflora DC, Aconitum orochryseum, Ephedra gerardiana Wall. Ex. Stapf, Swertia multicaulis D. Don, 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 Rheum australe. D. Don, Malva verticillataL and Swertia pedicallata Benerji. By analysis of data using Simpson's diversity index (SI) and Shannon weaver function (H'), there was high diversity (more heterogeneous) MAPs species composition in the Manjo Gate to Large Dobhan. (0.98349). Less diversity (less heterogeneous) MAPs species composition was in Tyanboche to Pangoche (0.90419). Similarly, the Shannon weaver function shows that in plots laying out in Mongla to Phorche are evenly distributed than others However, higher MAPs species (i.e., 31) was found in the way of Manjo Gate to Larja Dobhan than others.

Intergenerics Nuclear Transfer Technology for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 Lee, B.C.;S.K. Kang;J.K. Cho;B. Bavister;W.S. Hwa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56-62
    • /
    • 2002
  •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considers the western/lowland bongo Tragelaphus eurycerus eurycerus to be a threatened species, and the eastern/mountain bongo Tragelaphus eurycerus isaaci an endangered species[1]. Although extinction is considered by many biologists to be a natural process during evolution,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human population has drastically and prematurely reduced the numbers and genetic diversity of many species[2]. Species have evolved to adapt to a specific habitat or environment that meet their survival needs. Alteration or destruction of their habitat results in a species becoming incapable of adapting and hence becoming threatened with extinction. A widespread scientific and public consensus has emerged suggesting that governments should assign high priority to the maintenance of biological diversity via habita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ar species conservation[3]. Unfortunately, the loss of biological diversity far surpasses the available conservation resources and species are lost forever on a daily basis[4]. Notwithstanding the focus on habitat preservation and wildlife management, conservation biologist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sing the technologies of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to help manage or rescue endangered species[5].

  • PDF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 김혁진;홍정기;김상철;오승환;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9-556
    • /
    • 2011
  • 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인 목본식물 20종, 초본식물 18종 총 38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식물계절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식물은 개엽, 개화, 낙화, 단풍, 낙엽 등 5개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종의 식물계절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상 자료는 2009년 11월 말부터 2010년 12월 초까지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기온은 향적봉-중봉 지역에서 최대가 $30.4^{\circ}C$, 최소가 $-20.3^{\circ}C$로 조사되었으며, 상대습도는 최고 100%, 최소 3.4%로 조사되었다. 덕유산 향적봉과 중봉지역의 개엽시기를 조사한 결과 박새, 산오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은 비슷하거나 전년도에 비해 6~20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개화시기는 식물계절 변화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른 봄에 개화하는 처녀치마, 산철쭉, 노랑제비꽃은 2차년도에 13일~20일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늦은 봄과 여름에 개화하는 백당나무, 풀솜대, 개시호 등은 2차년도에 6일~10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화시기와 단풍시기는 전년도에 비해 10일~18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엽시기는 전년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이 한반도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들에게 상당히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wards Conservation of Threatened Ceropegia Species Endemic to a Biodiversity Hotspot: In Vitro Microtuber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a Novel Strategy

  • Pandit, Sagar Subhash;Nair, Aneeshkumar;Naik, Dhiraj Dilip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79-88
    • /
    • 2008
  • Twenty-eight of 44 Indian Ceropegia species are endemic and their survival is threatened. As a step towards conservation, we implied in vitro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opagule production in C. hirsuta, C. lawii, C. maccannii, C. oculata and C. sahyadrica. Effects of ex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photoperiod were studied. High frequency microtuber production was achieved with the seedling-apical buds,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4-6 mg $1^{-1}$ BAP, 3-8% (w/v) sucrose,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Each microtuber, when subcultured proliferated to form a cluster of secondary microtubers. Every primary and secondary microtuber bore at least one shoot-bud and a root primordium. Each tuber (formed with any of the significantly effective treatments) weighed more than 500 mg, enough to plant directly in non-sterilized soils. Microtubers could be produced and proliferated round the year. Proliferation could be solely attributed to in vitro procedures as these plants bear solitary tubers in vivo. Microtubers could be sprouted in vitro to prepare ready to pot plantlets. As, this novel method succeeded for all five species, though they belong to different eco-physiological backgrounds, we recommend its implementation in the conservation programs for a broader range of Ceropegia species, supported by other integrated strategies.

  • PDF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 등급 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Threatened Assessment of Endangered Species,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 in Korea)

  • 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6-191
    • /
    • 2016
  •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의 분포 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와 경상북도 등에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71개 조사지점 중 21개 하천 (지점)에서 854개체가 채집되었다. 과거 30여 년 동안 가시고기는 23개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이 지점들에 대한 본 조사 결과 12개 하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는 등 서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하천 하류의 소 (pool)가 형성되고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서식지 및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와 작은 점유 면적 ($84km^2$) 등으로 위기 (EN)[B2ab(ii,iii,iv,v)]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