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process

검색결과 1,453건 처리시간 0.026초

무용심상을 통한 신체지각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Creative Thinking by Dance Imagery)

  • 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30-137
    • /
    • 2013
  • 이 연구는 무용심상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무용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신체지각과 창의적사고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무용수의 내적심상과 외적표현은 자기감응의 확산적 표현과정이며, 신체지각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성을 입증하였다. 그 핵심은 상상력을 통한 문제인식과 해결의 적극적인 사고과정이며, 새로운 지각과 그 소통능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용심상은 신체와 정신의 통합원리에 근거한 지각훈련이고, 폭넓은 내적상상의 다양성과 외적표현의 적극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소통을 창조해야 한다.

간호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임상적 추론, 임상적 판단 개념의 고찰 (A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Education)

  • 이동숙;박지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8-387
    • /
    • 2019
  • Purpose: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which still lack a consensus and are of mixed use. Methods: Norris's method of concept clarification was used to review concepts that have no clear definition or conceptualization yet. Results: This review summarized literature from various disciplines, classified each concept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provided hypothetic conceptual schema. Conclusion: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are clinical situation specific concepts, while critical thinking is a concept applied in general situations. Critical thinking is a broader concept and serves as a foundation for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Clinical reasoning precedes clinical judgment. Clinical judgement implies the end point or conclusion of clinical reasoning. Each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s a cognitive and affective process not a psychomotor process. The concept of clinical competency involves action taken after the cognitive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capstone design class utilizing the design thinking technique of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이승희;정효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94-401
    • /
    • 2020
  •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n analysis of the extents of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ho had applied the design thinking technique to capstone design class. Methods: The experimental method involved an analysis of 122 cases of data where advance and post replies were performed for the subject by students who had applied the design thinking technique and students who had not. The students involved had attended the capstone design class as a junior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D University. Results: In the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proces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five questions among nine had a high positive rating, while all eight questions on the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methods had a high negative rating. Among ten questions on subjective learning outcomes, six showed a high positive rating.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thinking class method, all mean values of the group with the application were higher than the group with no application in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process,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method, and subjective class outcomes. Hence, the design thinking class di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improvement of clas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implied that the considerations about diverse class composition methods and operation methods capable of improv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re need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신규 보건진료원을 위한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및 운영 평가 (A Design for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박지연;서민규;김형숙;유경희;전경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1-14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cribe the process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Methods: The case study design was used to develop and evaluate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46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training program. The class was held two hours a week for 8 week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tes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critical skill was graded according to the final test sco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using SPSS WIN 20.0. Results: Clinical critical thinking competenc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ase situations with questions guid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group discus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articipants was determined to have increased slightly after having taken the class. 17.4% of the participants had a competency level high enough to solve a problem and half of them stayed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Compared with the class's satisfaction with the relevance to their jobs, the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ethod and instructor was high.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classes for community health nurses in order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 탐색: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Generation Process by University Students)

  • 강성주;박지영;윤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01-510
    • /
    • 2013
  •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핵심은 독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의 생성이다. 따라서 아이디어의 생성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이에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역발상적 사고기법은 학생들의 관점 전환을 유도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을 도왔다. 이에 학생들의 아이디어 산출을 지원해 주는 사고 틀로서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발상적 사고가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산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이론적 판단이나 가치 개입, 경험 등으로 인한 편견을 배제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역발상적 아이디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대나 비판 등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이나 용기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요구된다.

과학적 사고에 관한 예비 과학교사의 개념 정교화 과정 (The Process of Elaboration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tific Thinking)

  • 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7-954
    • /
    • 2008
  • '과학적 사고의 신장'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예비 중등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정의하고, 토론에서 동료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 개념을 어떻게 정교해 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과학적 사고에 대한 개인적 개념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둘째, 소집단 및 전체 토론을 통해 가장 논쟁이 활발했던 세 가지 논제에 대하여 개념의 구성과 정교화 과정을 조명하였다. 과학적 사고와 관련된 세 가지 논제는 일상적 대 과학적 사고, 과학지식과 과학적 사고의 관계, 논리적 체계와 증거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과학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GENEPLORE 창의적 사고 과정 모델과 지식발달론에 기초한 영재아 과학-기술-사회(STS) 창의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Science-Technology-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ased on GENEPLORE Creative Thinking Process and Theory of Knowledge Development)

  • 전명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74-87
    • /
    • 2003
  • 과학-기술-사회에서의 창의력 교육은 창의적 사고의 과정과 과학적 지식 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기존의 창의력 개발 교육보다 진일보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영재아를 위한 창의력 개발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과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Wallas, Weisberg 등의 의해 창의적 사고 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Finke 등에 의해 창의적 사고과정으로서 ‘생성단계’와 ‘탐구단계’로 구성된 GENEPLORE 사고 과정이 제안되었다. 또한, 창의력은 기반 지식의 영향으로 발휘된다는 연구들이 대두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식발달론에 근거한 창의력 교육 문제는 논의 수준에 그치고 있다. Piaget(1977), Gallagher(1981) 등은 지식발달이 경험적 추상과 반성적 추상의 과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규명해 낸 바 있으며 최근 인지과학 분야의 연구성과는 지식발달의 과정을 다루는데 초점 맞추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네트웍, 바이오텍, 로봇, E-비즈니스, E-교육, E-건강, 나노텍, 오락 등의 과학-기술-사회 주제를 중심으로 영재아를 위한 ‘개인과 창의적 사고 방법 및 사횔 및 과학기술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창의적 사고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소개하였다.

  • PDF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Refining Ideas for Social Problem Solving Based on Design Thinking in Digital Convergence Era)

  • 백승철;조성혜;김남희;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6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자원 문제, 환경문제 등 사회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경제, 문화, 교육 등에서의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문제 발생과 복지예산의 증가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망에서 정부와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본질적인 발생 원인과 이해관계자, 지역성과 문화에 대한 복합적 조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혁신회사 IDEO, 스텐포드 d.school등의 디자인 사고 기반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서비스화를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NGO, 공익활동가 등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육군의 미래 핵심역량 창출을 위한 군사혁신 사고과정 정립 (Establishing a Thinking Process for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to Create Future Crucial Capabilities for the Republic of Korea Army)

  • 조상근;이광운;민철기;예병익;최현규;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53-458
    • /
    • 2022
  • 육군은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약적 변혁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은 2018년 창설된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혁신의 붐을 육군 전체로 확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육군 구성원들은 전력, 싸우는 개념, 구조 등 미래 핵심역량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의 연구진은 이와 같은 현장의 목소리에 부응하기 위해 '군사혁신 사고과정'을 정립하고, 전문가 타당성 평가와 육군혁신학교 적용을 통해 이를 최적화시켜 나갔다. 그 결과, '군사혁신 사고과정'은 육군 기획문서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했고, 육군 교육체계에 포함되었다. 동시에 육군 연구과제와 KCI급 논문의 연구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앞으로 '군사혁신 사고과정'은 후속연구를 통해 육군의 군사혁신을 이끄는 이정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 김민주;임채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9
    • /
    • 2022
  • 본 연구는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정량적 자료와 정성적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105명의 학생이 창의 과정과 산물을 나타내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에 응답한 내용과 그중 과학 창의성이 가장 높았던 4명을 대상으로 주로 어떤 과정으로 창의 산물을 냈는지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해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고 면담 자료와 함께 유형화의 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 측면에서 적합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 탐구기능 중 관찰, 창의적 사고기능의 창의 과정 중 창의적 사고기능만이 창의 산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의적 사고기능 중 과학 창의성 산물과의 연관성은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연관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은 산물에 따라 창의형, 유용형, 독창형, 비창의형으로 유형이 나뉜다. 그중 비창의형은 세부적으로 진부형, 반복형, 미응답형, 비타당형, 추상형으로 나뉜다. 다섯째, 초등학생은 창의 과정에서 지식 혹은 관찰 중 하나를 주로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지식 지향형, 관찰 지향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사고기능을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했는지에 따라 DT형, DT-CT형, DT-CT-AT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과학 창의성 교육에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