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Pattern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7초

가치 있는 특허의 TRIZ 발명원리와 SIT 활용도 분석: 노키아 소송 특허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RIZ and SIT Thinking Tool Utilization of Valuable Patents: Focused on the Patent Infringement Lawsuit Filed by Nokia)

  • 임요왕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2-65
    • /
    • 2020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ajor creative ideation patterns embedded in the commercially valuable patent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For the purpose, we analyze 171 cases of the patent infringement lawsuit filed by Nokia in the United States. It is examined that what kind of TRIZ inventive principles and SIT thinking tools were applied to resolve technical contractions in each of the 171 cases respectively. Among the 40 inventive principles of TRIZ, 'feedback' principle was used mostly and 'division' principle the next. Among the 5 thinking tools of SIT, 'attribute dependency' mostly used, and 'division' the next. This suggests that what kind of inventive principles or thinking tools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to resolve technical contradictions in practically important technical problem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에 대한 학습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Analysis of Scratch code for Student Assessment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Capability)

  • 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5-34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Computational Thinking(CT) 교육에서의 학습자 평가를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제작한 프로젝트의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초중등 SW교육에서는 블록형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지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산출물인 스크래치 프로젝트의 코드를 분석하여 CT 개념 습득과 학습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초보학습자 45명의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초보학습자들의 잘못된 습관에 대한 패턴이 나타났으며 CT 개념 학습을 코드의 패턴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학습자의 수준이 높을수록 논리적 사고, 동기화, 플로우 제어, 데이터 표현의 요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중등 SW 교육에서 CT 개념 학습에 대한 평가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사고구술법(思考口述法)을 이용한 수학(數學) 영재(英才)의 사고(思考) 특성(特性) 연구(硏究) (An Analysis on Thinking Processes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Using Think-aloud Method)

  • 홍진곤;강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65-58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영재의 인지적 사고 과정 분석을 통해 수학적 사고 특성에 대하여 조망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수학 영재의 사고 패턴을 구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고구술법을 통해 추출된 수학 영재의 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고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틀과 문제 해결 단계 코드를 이용한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수학 영재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 중 인지 활동으로 거치게 되는 절차와 사고 특성 지도를 살펴보고 대상 학생들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 후 전체적인 과정을 수정하며 수행해 나가게 되는 방법과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안을 도출해 내는 경로 탐색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을 좀 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준거를 마련하였다.

  • PDF

DEVS 형식론 기반의 정보처리학습이론을 적용한 사범대생 대상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for College of Education Student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pplied DEVS Methodology)

  • 한영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91-120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d DEVS based programming education model that based on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not a grammatical programming education, and studied effectiveness analysis using computer thinking patterns. By creating a small range of patterns in the grammar which underlies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solving various examples through combinations, this paper shows an education method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algorithmic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non-majors learn programming languages and understand patterned program structures when writing programs by patterning of control statements which the most important in learning programming.

사고 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Activity Preferenc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ccording to Thinking Styles)

  • 신종호;서정희;최재혁;김용남;김윤근;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95-506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y pre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 cluster analysis procedure was performed to classify students on the basis of thinking styles. Two clusters of different thinking styles were deduced: the gifted group with a high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1), and the average group with a low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2). The gifted group (cluster 1) preferred projects, simulations, discussions and game activities to other types of loaming activities. 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also were clustered into each three unique subgroups with respect to levels and patterns in thinking styles, and these subgroups also showed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The clusters of gifted students included the self-regulated learning type (cluster a), cooperative-learning type (cluster b), and the passive-learning type (cluster c). The clusters of average students included the independent learning type (cluster i), no-preference learning type(cluster ii), and the no-motivation & teacher-directed learning type (cluster iii). Theses clust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thinking styles but also in terms of preferences regarding learning activities. Thes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 PDF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s Presented in Microteaching Lessons

  • Chung, Choong-Du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05-141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present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students who attended a lecture course on science teaching method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simulated lessons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went through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Then, the next set of lesso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fter the first set of simulated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t the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was most remarkable in the focus dimension. In the inquiry and change dimensions, technical reflection stood out. Dialogic or transformative reflection was rarely presented. In addi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mingling patterns of reflection levels in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prove that microteaching has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terms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ubsequent studies to create a new model that can encourag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by structuralizing peer and self-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microteaching.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as a Function of the Questioning Patterns of Teachers)

  • 조부경;조성연;박수옥
    • 아동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3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in creativity among young children and differences in creativity as a function of the questioning patterns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4 teachers and 133 five-year-old children (63 boys and 70 girls). The questioning of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divergent vs. convergent patterns by 3 trained observers. The 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Creativity scores on fluency, elaboration, originality, and abstractness of titles differed by questioning patterns. Girls' elaboration scores were higher than boys' as a function of teachers' divergent questioning patterns. Boys' abstractness of titles was higher than girls' as a function of teacher's convergent questioning patterns.

  • PDF

대뇌반구모형의 사고유형별 온라인 게임 선호요소에 관한 연구 (A Propensity of the Players' Preferences of the On-Line Game under Their Thinking Modes of The Cerebral Hemispheric Model)

  • 김대용;정승호;최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0-150
    • /
    • 2009
  • 본 연구는 개인의 지적능력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개인의 특성 차이를 대뇌모형으로 정의하였으며, 개인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온라인 게임의 요소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문을 통하여 확인하고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뇌 성향은 곧 개인의 지적능력을 관장하며 인격, 기호, 성격, 의사결정 및 행동의 패턴 등을 정의한 것이라 말할 수 있으며 창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뇌 성향에 근간을 둔 대뇌반구모델(Cerebral Hemispheric Model-CHM)을 바탕으로 2가지 Model로 개인의 성향을 구분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대뇌반구모형별 게임요소의 요소상관표를 작성, 대뇌반구모형별 게임요소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정의된 대뇌반구의 개인성향별 게임 선호요소를 바탕으로 각 개인의 뇌 성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뇌 성향 이외의 다른 뇌 성향을 개발하기 위한 컨셉(Concept)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뇌 사고성향 개발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용 게임에서부터 다양한 장르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성향에 최적화하여 즐거움을 느끼며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개인의 사고성향 개발을 통하여 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노이 탑 프로그래밍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보과학적 사고 패턴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Computational Thinking Patterns of Programming Processes for the Tower of Hanoi Task)

  • 장정숙;전영국;윤지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45
    • /
    • 201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때 아이디어를 어떻게 포착하며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체화시키면서 코딩을 해 나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논리적 사고력의 발현과 오류 수정을 통해 정보과학적 사고와 관련된 능력이 펼쳐지는 양상을 탐구하였다. 연구참여자 K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부터 5회에 걸쳐 비디오 기반 회상 면담과 심층면담을 혼합하여 하노이탑 과제에 대한 C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험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K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할 때 '처음에 문제를 천천히, 차근차근 읽어보고 직접 노트에 쓰기도 하고, 그 문제를 분석해서 패턴들을 찾아내고 생각을 구체화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컴퓨터로 구현해 나가는 것' 방식을 드러내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만의 생각을 실험해 보는 것에' 재미를 느끼면서 과학적 사고에 가까운 사고 패턴을 보여주었으며 일상생활에서 알고리즘적 사고를 적용하는 등 사고력의 향상에 관련되는 부분을 드러내 보여 주었다.

  • PDF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기초 코딩 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이 프로그램 이해와 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arner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Patterns on Program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Basic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2020
  • 최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필수교육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물론, 대부분 대학교에서도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불리는 요즘 대학생들은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고 디지털 네이티브로 컴퓨터에 익숙하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을 조사한 후, 기초 코딩 과목에서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유형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코딩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코딩이 처음인 컴퓨터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한 코딩 활동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