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lace museum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1초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A study in pigment analysis and original mounting of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 안지윤;김수연;천주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53
    • /
    • 2014
  • 궁중장식화는 궁궐의 안팎을 장식했던 것으로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왕의 권위와 수복을 기원하여 제작된 대표적인 궁중장식화 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일월오악도와 해반도도 중 19세기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명확한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공개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보존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그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그리고 제작기법 등을 확인하게 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복원과정에서 확인한 2곡병 형태의 양면 장황과 장자문의 귀갑창은 지금까지 궁중장식화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첫 연구 사례이다. 또 원형 장황 복원에 의한 실측과 현존하는 궁궐 건축물의 대조 그리고 의궤 자료의 조사 등으로 창경궁영건도감의궤(1834년)에 기록된 함인정에 배설되었던 것임을 밝혀냄으로 19세기 초반의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복원영상의 박물관 교육분야 활용방안 (Application Method of Image Restor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Museum Education)

  • 원강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05-212
    • /
    • 2010
  • 최근 놀라울 정도로 변화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증강현실의 활용을 다양하게 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증가를 보여주고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은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런 변화들은 교육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데, 이런 변화들로 교실이 아닌 곳에서의 체험교육을 통한 학습이 가능해지고 있다. 최첨단 미래는 결국 과거에서부터 나온 것이기 때문에, 역사교육은 등한시해서는 안 되는 분야이다. 이에 과거의 생활, 문화, 역사 등을 배울 수 있는 박물관에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콘텐츠를 접목시키면 학습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먼저 하였다. 그리고 증강현실 기반의 복원영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해설을 들으며 박물관을 관람하면 학습흥미도와 학습성취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제안을 하면서 국내 박물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게임 설계를 제시하였다. 증강현실 기반의 복원영상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박물관 문화재 교육뿐만 아니라 지역축제나 유적답사 등에도 활용가능하다. 스마트폰 이용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복원영상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유의미한 활용분야와 활용 방법 등을 제안하였지만,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설계와 게임디자인, 매뉴얼 구성 등과 같은 분야에서의 전진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한다.

낙동강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Status of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86-99
    • /
    • 2010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로댕 갤러리 : 전시관과 전시물 (A Study on the Rodin Gallery : Pavilion and Exhibit)

  • 이광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21-28
    • /
    • 2005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vilion and exhibit in Rodin Gallery. Rodin Gallery is intended to accommodate The Gates of Hell and The Burghers of Calais, two materpieces by the French sculptor Auguste Rodin. In order to retain Rodin's intent, the museum designed by KPF is constructed primarily of glass, which maximizes natural light and minimizes shadows. Thematically, the Glass Pavilion was designed to provide a place of relaxation in a highly urban environment.

  • PDF

지역박물관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ce-Marketing of Regional Museum)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76-2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지역박물관을 장소 마케팅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지방 문화 사업 지원책에 힘입어 지역 박물관은 어느 때보다 활발히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역 문화 시설 확충과 관광자원의 확대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건립에만 초점이 맞춰진 현실에서 지역 박물관은 자칫 난립으로 기울 수도 있다. 재정과 인력의 부족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놓인 지역 박물관은 그 아이덴티티를 확충하고 지역주민과 외부지역 방문객에게 만족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지역의 장소 마케팅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 정미소의 실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충북 괴산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Utilization Planning of Rice Mill in Korea - Focused on Goesan Chungbuk -)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96-10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and utilization planning of rice mills in Korea. Especially there are 64 rice mills at Goesangun, Chungbuk. I had selected six among them and examined. They are comparatively good, worth preserving, and considered to be the historical and local value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rice mills of agricultural villages are utilized as the place of learning that people can experience or the agricultural village museum. Seco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sightseeing resources. Therefore, they are utilized as a green tourism. Third, in order to activate small rice mills, it need a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urth, it is necessary of the multilateral plan that can be used as a place of village community.

  • PDF

장소의 문화화를 타겟으로 한 농촌마을 권역종합정비사업 모델 - 영천시 가상권역 사업을 중심으로 -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Model on Target for Strengthening Culture of Place)

  • 한성미;엄붕훈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165-177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Gasangri, Yeongcheon city area, based on the use of the cultural factors and strengthening them in study area. Unlike other cases of today's Korea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keenly concerns not only for tourists but also for the village people. Since culture means the quality of life also, this project especially deals with 'community', 'well-being', and '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it attempts to connect with "Cyan Museum", which is the first grade art gallery remodelled from closed school, to make village of culturally abundant atmosphere. In result, seven sub-projects of the expansion of basic living foundation, and two improvement of landscape in area have planned. Among stereotyp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imilar programs of tourism, the project makes difference on targeting for the meaning and resource of place culture.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부산근대역사관)의 복합구조 특성 (The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ly the Busan Branch of Toyo Takushoku Co.(Busan Modern History Museum))

  • 안재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0호
    • /
    • pp.63-70
    • /
    • 2019
  • The Busan branch of the former Toyo Takushoku Co. carried out the same business as a bank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is required an open space of long-span, which had no pillars, on the first floor where many customers frequently visited. In addition, an office space is required in the upper part, and a column is arranged so as to place a corridor in the center. It was designed with modern complex structures for space utilization and structural adaptation. As a result, scientific structural calculations of the modern era began and various structural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the rationalization and value of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tructural design were analyzed from a technical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structure requiring long-span space. The Busan branch of the former Toyo Takushoku Co. is a complex structure with three structures. It is highly valuable as a building that tried to design its structure in a variety of spaces through calculation and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based on the principle of force in modern times.

무용공간의 새로운 공간 탐색 ; 극장과 미술관의 공간 연구 (A New Search for Dance Space ; A comparative Study of Spaces between Theaters and Museums)

  • 박성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4-57
    • /
    • 2019
  •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텍스트 중심으로 진행되어 플롯이 존재하고 캐릭터가 부각된다. 또한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표현력과 테크닉이 강조되는가 하면 공간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근대적이며 이분법적인 데카르트적 사고의 전형을 보인다. 미술관이라는 공간 역시 극장 공간과 동일하게 근대적 산물의 공간인 동시에 예술이 도래하는 권위를 부여받았다는 점에서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다. 미술관은 재현(Representation)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현존(Presence)에 더한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들어 빈번하게 소개되는 미술관에서의 작업들은 장소특정적이거나 수행적 개념의 작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제는 미술관도 작품으로 규정된 미학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도 지금, 여기에서 발생되는 사건으로의 퍼포먼스에 주목하면서 미술관 스스로의 미학적 생산과 당위성을 보장받고 있는 셈이다.

체험전시공간 시지각적요소의 체류지원성향상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y affordance for Visual Perception factors in Experience Exhibition Space - With Focus on Gyeonggi Children Museum -)

  • 송정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5-204
    • /
    • 2013
  • Today, the children's museum evolved from place of exhibition for seeing and feeling, to that of exhibition for searching and touching, or so-called the hands-on exhibition. This will allow for grabbing the interest from childre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ing by an actual experience at this intellectual and benign environment. But in this modern society that constantly undergoes evolution even as we speak,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ng our children to museums, because they are vastly exposed to various media. Moreover, if the children who visited museums carelessly bypass the specific areas intended for exhibi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nhanced learning effect with hands-on experience" is easily underachieved. According to children's visual stimuli, their behavioral charactoristics are appeared to freewill curiosity but they show shorter elapsed time(impermanence), intensity(stubbornness), frequent occurrence(frequentness) and changeable (translatability). So, We need Improvement of visual image affordance through the measurement of stay time. Firstly, five factors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on twenty questions based on visual image factors; Color accessability and Satistaction(factor1), brightness and color harmony(factor2), feeling on harmonization of color and stay time(factor3), simplex & complex of space(factor4), feeling on scale(factor5) Secondly, the following result are derived through a distribution chart on an exhibition room of K-museum. As shown above, this study based on various analyzed aspects proposes the directions of a color image plan to improve stay time in exhibition space of children museums with a hope to support educational goals of experience education-focused children muse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