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소의 문화화를 타겟으로 한 농촌마을 권역종합정비사업 모델 - 영천시 가상권역 사업을 중심으로 -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Model on Target for Strengthening Culture of Place

  • 한성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Han, Sung-M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Eom, Bo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투고 : 2012.11.12
  • 심사 : 2013.02.27
  • 발행 : 2013.03.30

초록

This study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Gasangri, Yeongcheon city area, based on the use of the cultural factors and strengthening them in study area. Unlike other cases of today's Korea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keenly concerns not only for tourists but also for the village people. Since culture means the quality of life also, this project especially deals with 'community', 'well-being', and '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it attempts to connect with "Cyan Museum", which is the first grade art gallery remodelled from closed school, to make village of culturally abundant atmosphere. In result, seven sub-projects of the expansion of basic living foundation, and two improvement of landscape in area have planned. Among stereotyp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imilar programs of tourism, the project makes difference on targeting for the meaning and resource of place 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겸, 2006 농촌관광과 문화마케팅 전략. 농촌관광 심포지엄, 3.
  2. 김경량, 김지용, 최윤숙, 2010, 농촌지역자원을 활용 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농촌관광연구 17(1), 41-65.
  3. 김영택, 이상창, 강은지, 김용근, 2011,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활성화 계획, 농촌계획, 17(3), 113-124.
  4. 김정욱, 2010, 농촌관광연구 17(4), 145 -163.
  5. 김제안, 채종훈, 2011,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이 주민만족도 및 개인소득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1, 한국산업정비학회, 산업경제연구 24(5), 2671-2691.
  6. 김진경, 김혜민, 조순재, 2004, 농촌자원활용 마을계획개발과정에 관한 기초연구, 농촌계획, 10(4), 29-37.
  7. 김혜란, 임창수, 김은자, 김상범, 2012, 농촌마을종 합개발사업 경관형성계획 지역의 시설정비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104.
  8.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보고서, 3-40. 농촌진흥청.
  9. 반영훈, 윤중석, 우혜미, 한경미, 백종인, 2010, 생태적 농촌어메니티 기반 주민주도형 농촌마을종합계획, 농촌계획, 16(4), 157-169.
  10.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2010,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 연구-춘천시 사북면 원평리를 중심으로-농촌관광연구, 17(1), 67-89.
  11. 오윤경, 최진용, 배승종, 2008, 생활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고려한 농촌어메니티의 지역별 수준평가, 농촌계획, 14(4), 21-32.
  12. 오윤경, 최진용, 이지민, 배승종, 2009, 농촌어메니티 자원도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수요자 요구조사, 농촌계획, 15(4), 1-10.
  13.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김한중, 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농촌계획, 12(4), 43-51.
  14. 윤유석, 이상영, 강방훈, 2011, 농촌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인문콘텐츠 제21, 106-125.
  15. 이병훈, 2012, 스토리텔링 구현을 통한 농촌마을에 서의 장소성 확보-개실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농촌계획, 18(1), 47-575.
  16. 이소영, 2009,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장소 마케팅 전략 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71-102.
  17. 정남수,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 개발, 농촌계획, 11(4), 9-15.

피인용 문헌

  1. A Case Study on Resident Participative Primary Design of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Project with Master Planner vol.21, pp.4, 2015, https://doi.org/10.7851/ksrp.2015.21.4.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