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eer relationship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32초

1990년대 이후 중국 당대 성장소설에 나타난 가족결핍과 그 서사적 대응방식 (A Study on Narrative Response to the Lack of Family in the Chinese Contemporary Growth Novel After the 1990s)

  • 김봉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1-26
    • /
    • 2017
  •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발표된 여화(余華)의 "재세우중호함(在細雨中呼喊)"(1993), 소동(蘇童)의 "성북지대(城北地帶)"(1994), 왕강(王剛)의 "영격역사(英格力士)"(2004)에 나타난 가족결핍과 그 서사적 대응방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소재인 결핍된 가족은 존재의 부재를 뜻하기도 하지만 그 기능과 역할의 부재를 의미하기도 한다. 결핍을 야기하는 원인은 작품마다 서로 다르며 대응 양상 또한 차이를 보인다. 중국의 성장 서사는 오랜 시간 동안 전통의 유제와 여러 가지 정치적 압박 속에서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부모와의 갈등, 성장자 자신의 내면의 고통들을 집단의 경험 속에 매몰시켰다. 성장의 기억을 개인에게 돌려주기 시작했던 1980년대의 선취에 힘입어 1990년대 성장 서사는 지나간 연대의 강박과 피로에서 벗어난 작가들의 다양한 시도 속에서 더욱 풍부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가랑비 속의 외침"은 친부모와 양부모에게 의도치 않은 '버려짐'을 당한 주인공의 심리적 고아의식을 보여주었고, "성북지대"는 부재된 가족에게 염증을 느끼고 또래 집단 속에서 위안을 받는 아이들의 서로 다른 성장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오, 나의 잉글리쉬 보이"는 동일시의 대상을 등장시킨다는 점에서 중국 성장소설의 주류적 서사와 구분된다. 개인의 성장은 그를 통해 진일보하고 결국 성장자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성장소설의 모범사례로 여겨진다.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on Infant'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 장철순;구창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5-605
    • /
    • 2017
  •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bigcirc}{\bigcirc}$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프랜차이즈 사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r HRD in Korea Franchise Business)

  • 김은성;리상섭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2호
    • /
    • pp.33-47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existing studie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how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been researched in the domestic franchise business. These studies are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in the franchise bus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based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It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subject language setting, literature search routing, search term selection, literature selection, literature classification and literature analysis.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59 peer-reviewed dissertations and scientific journal publications on the subject of HRD in Korea franchise business. Result - This study analyzed by research methods, research industries, research population and dependent variable using the systematic review process. The literature studied in the 2000s mainly led to research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franchise employees in beauty franchise business. In the literature studied since 2010,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as mainly studied in the supervisor in the restaurant franchise business, and in the study of competence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statistical methods were mostly relatively simple, such as t-test or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until the 2000s, and after 2010, in-depth and structural studies using multiple return analysis, structural method analysis, path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HP, etc were conducted. When classified by study dependant, early research until the 2000s focused on the study of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programs, job satisfaction, and immersion. On the other hand, studies conducted since 2010 have produced more complex results using various medium variants, and those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have been mainly studied, rather tha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itself. Conclusions - While the domestic franchise business is expanding in terms of quantity, such as the number of franchises and franchises, the development in terms of quality for the joint growth of franchises and franchisees is still lacking. In order for the franchisee to continue to grow with each other, the franchisee must identify and develop their current performance or expected capabilities through capacity modeling at various targets and levels.

놀이와 게임을 활용한 주의력향상훈련을 적용한 ADHD 아동의 단일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on a Child with ADHD by the Application of Attention Improvement Training Composed of Play and Games)

  • 김미연;홍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15-32
    • /
    • 2009
  • 본 연구는 ADHD 아동으로 진단 받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정보제공자는 주의력 부족과 충동적인 행동특성이 두드러진 아동이었으므로 대상아동의 주의력향상에 초점을 두고 주의력향상과 함께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집중을 잘 하지 못하는 ADHD 아동이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놀이와 게임을 활용하여 주의력향상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15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 해 주의력과 충동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측정치와 수행과제를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프로그램이 끝난 후, 프로그램이 끝난 뒤 6주 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진행 과정에서 관찰일지, 상담일지, 주변인물과의 면담등의 모든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보제공자를 질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와 게임을 활용한 주의력향상훈련을 적용하여 주의력 관련 사전, 사후, 5주 후 지속검사, 상담일지 등의 관찰된 자료를 통해 정보제공자의 주의력이 향상되었고 그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와 게임을 활용한 주의력향상훈련을 적용하여 충동성 관련 사전, 사후, 6주 후 지속검사, 상담일지 등의 관찰된 자료를 통해 정보제공자의 충동성이 감소되었고 그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의력과 충동성의 검사결과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관찰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교우관계와 자신감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 PDF

An Evaluation of Transfer of Training Effects on Nuclear Power Plant MCR Operators

  • Kim, Jung Ho;Byun, Seong Nam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5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sets factors from previous research known to impact transfer eff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examine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near transfer effects and far transfer effects. Background: Transfer of Training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what learners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in training programs to their job. The ultimate goal of training is to apply what employees learn in training sessions to their workplace. In this sense, transfer of training has been a vital concern for training effectiveness. For training to be effective, trainees(learners) should be able to use what they learn in training program back on the job.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70 nuclear operators in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Of these, survey result from the 167 recruits were sampled.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Holton & Baldwin's(2003) distance model of transfer effects. This study sets transfer effects(near transfer, far transfer) as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Mean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inee characteristics, training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Each independent variable has subordinate variables. Subordinate variables of trainee characteristics are self-efficacy,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and ability to transfer. Subordinate variables of training characteristics are training contents, ability of trainers, training design, training climate. The last Subordinat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re support of supervisors, support of peer, support of organization. Conclusion: As a analysis result, trainee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in effect only significant influence near far transfer of training, the effect of the far transfer of training, there is no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raining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ar and far transfer effects.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ar and far transfer effects. Finally, near transfer effect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far transfer effects. Application: Results of this analysis in the study to train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environment effects on nuclear power institutions and operators training organization having a significant impact that says.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at can be applied to a new situation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 김미희;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13-623
    • /
    • 2017
  • 본 연구는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시 00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생활적응력 척도에서 3학년 최하수준 학급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4년 10월 1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 변인의 사후검사 점수의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을 고려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아동의 정서변화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정서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학급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또래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미래학교 조성을 위한 중학교 공간사용 실태 분석 연구 - 학생중심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Space Usage For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Reorganization of Student-Oriented School Space -)

  • 김경숙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26-39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 공간에 대한 사용자인 학생들의 이용 특성과 요구 공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 방식으로 강의식 수업, 팀 프로젝트 및 4인 토의·토론수업 등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업 방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쉬는 시간대 공간 사용 장소와 친구 관계형성 장소를 보면 대부분 교실과 복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친구의 그룹 구성도 3~8명이 다수이나 그 이상의 경우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급교실에서 가깝게 위치해야 할 공간으로 건물 중심에 체육관, 도서관, 화장실, 계단, 식당, 보건실, 교무실 등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학교 공간이 균형 있게 배치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현재의 시설 외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설로 체육(무용)실, 시청각실(공연실), 공작실(개인 창작), 매점, 휴게 공간, 실내 넓은 광장, 스터디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교과 기반 교실 배치 및 공간 구성 형식은 교수·학습 방법, 쉬는 시간 공간사용, 어울리는 친구의 규모, 가깝게 위치해야 하는 공간의 선호도 등을 고려한 학교 교육 공간 재구조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Verbal Expression Ability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 정윤이;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9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 44명과 만 5세반 유아 42명, 총 84명이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은 장영애(1981)가 만 3-5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표현능력 도구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김영옥(2003)이 개발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표현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그림보고 이야기 꾸미기의 하위 요인 중 내용의 일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언어표현능력이 뛰어난 유아가 또래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도움을 주며,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또래를 배려해 줄 수 있고, 자신의 것을 나누며 감정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유능하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제공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언어를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신체상과 질병적응에 관한 연구 (Children with Cancer: Adjustment to Disease and Body Image)

  • 조혜린;박소영;한인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7-30
    • /
    • 2008
  •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소아암 환아의 생존율이 1960년대 30%미만에서 최근 75%이상으로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소아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투병생활로 인해 소아암 환아들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외모에 관심이 많고, 또래관계가 중요한 10대 소아암 환아들에게 있어 신체적, 심리사회적 변화는 이들의 신체상과 질병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환아의 신체상(신체왜곡도) 및 질병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및 신체상이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07년 10월 2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자는 암진단 후 3년 이내의 10세에서 18세 환아 8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학교생활여부, 신체상이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을 하고 있는 환아가 그렇지 않은 환아보다, 신체왜곡도가 낮을수록 질병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환아의 질병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소아암 환아가 학교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제도 구축, 긍정적 신체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소아암 환아의 연령을 고려한 심리사회적 접근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과학교육을 위한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 가능성 탐색 -과학중점학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Strategic Community of Practice for Science Education: A Case of Science Core Schools in Korea)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9-179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과학교육 현장을 실행공동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학교 차원의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4개 과학중점학교 학생 1600여명을 대상으로 SCaCoP 검사를 실시하여 과학교실 내의 실행공동체적 특징을 점검하고, 학교 교육과정의 과학교육활동 중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 활동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이 두드러지게 운영되는 과학중점과정은, 학교 내의 자연과정 및 인문과정에 비해, SCaCoP의 5개 모든 요인(학습책임감, 호혜적 인간관계, 개방적 참여, 실행, 공동의 관심사)에서 실행공동체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중점과정 학생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활동으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협력이 필수적인 공동체 활동인 '실험', '체험활동', '동아리', '과제연구', 'R&E' 등을 들었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중점학교의 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성과 공유', '동료와의 협력' 등에 긍정적이라고 인식할 뿐만 아니라 '교과 외 과학지식 습득', '교과 내 과학개념 이해', '과학 관련 태도 형성' 등 일반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여 실행공동체를 활성화 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활동들이 과학교육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과학중점학교의 특징들은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 맥락에서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과 이를 통한 과학교육 혁신의 가능성을 잘 예시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