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umber of the disabled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2초

장애인스포츠 적용을 위한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ious Game Application of Disabled Sports)

  • 강승애;강선영;김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1-68
    • /
    • 2013
  • 우리나라 장애 인구는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범위도 각종 질병 및 교통사고와 고령화, 산업재해, 기타 사고 등으로 확대되어왔다. 스포츠경험 및 기회가 적은 장애인들은 적극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포츠 초기단계에서는 스포츠 기술보다는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를 통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애인스포츠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성과를 얻기 위해 IT 기술이 접목된 스포츠게임 방식의 시도가 시행되고 있다. 과거 게임의 역할인 놀이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과 영역들이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을 주도하는 부분이 바로 기능성게임 장르이다. 기능성 게임은 교육, 스포츠, 헬스, 의료용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형성하면서 게임 산업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스포츠를 즐기기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의 재미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는 운동게임의 시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이 장애인스포츠 현장에서 적용된 융복합 사례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장애인스포츠의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한 지체장애인 대피경로 계획요소 규명 - 장애인 종합복지관 시설을 대상으로 - (Identification of Evacuation Route Planning Elements for the Disabled by Considering Universal Design - A Study o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 정태호;양원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72-686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 장애인 대피경로 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인들을 도출하고, 각 시설별로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표본수의 문제와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LS(부분최소제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각 시설별로 가장 중요한 계획요소는 출입문 : 출입문 닫히는 시간(1.131), 복도 :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1.227), 계단 : 계단 비상조명(1.117), 대피공간 : 대피공간 편의시설(1.106)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효율적인 장애인 대피경로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일괄적인 반영이 아닌 장애인들의 인식, Needs, 만족도를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지역별 장애인 학교 구강보건사업 평가 비교 (A Comparative the Assessment of Oral Health Plans in Schools for Disabled Youth in Different Regions)

  • 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76-284
    • /
    • 2010
  • 장애인 특수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구강보건사업 항목과 내용이 우리나라 각 지역별의 특색에 따라 다르므로 전국 142개 장애인 학교 담당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자체 평가를 실시하여 지역별로 잘못된 점을 보완하여 향후 장애인 학교 구강보건사업 기획 시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종합평가 결과 경상도 지역 특수학교 구강보건사업이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으며 서울특별시가 장애인 특수학교 구강보건사업 항목이 가장 적어서 낮은 평점을 받았던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애 아동에 대한 별도의 구강보건교육목표 설정과 학교불소용액양치, 치면열구전색사업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을 확대함이 권장되었다.

4가지 선회보조 장치가 운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무와 운전면허 유무에 따른 비교 (Influence of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on Driving Performance: Comparison of Normal and Disabled People with and without Driver's License)

  • 송정헌;김용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4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of Healthy and disabled groups (with or without driver's license) to control steering wheel by using steering assistive devices in the driving simulator. The persons with partial loss of use of all four limbs have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motor vehicle because of functional loss to operate steering wheel. Therefore, if steering assistive devices for grasping the steering wheel are used to control the vehicle on the roa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isabled persons can improve mobility in their community life by driving a motor vehicle safely. Ten healthy subjects (with or w/o driver's license) and ten subjec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or w/o driver's license)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o evaluate driving performance to operate steering wheel by using four types of steering assistive devices (Single-pin, V-grip, Palm-grip, Tri-pin) in driving simulator. STISim Drive 3 software was used to test the steering performance in four scenarios: straight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curved road at low and high speed of vehicle (40 km/h and 80 km/h). This study used two-way ANOVA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factors (type of steering assistive device and subject group) in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driving performance (the lateral position of vehicle,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representing the varia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line crossing). The mean values of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lateral position, 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the number of line crossing) of steering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ealthy or disabled groups with driver's license than the other groups without driver's license on the curved road at high speed of vehicle compared to low speed of vehicle.

Hepatitis A Outbreak in a Facility for the Disabled, Gyeonggi Province, Korea: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 Chang, Yeonhwa;Kim, Chanhee;Kim, Nayoung;Kim, Joon Jai;Lee, Hee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5호
    • /
    • pp.370-375
    • /
    • 2021
  • Objectives: The number of cases of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s has sharply increased in Korea, especially among young adults. In this study, an HAV outbreak in a facility for disabled people was investigated, and we found epidemiological differences both between 2 different generations and between generally abled and disabled groups. Methods: We analyzed the incubation period and attack rate of an HAV outbreak and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AV antibodies among the staff and residents of a facility for the disable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during the HAV outbreak, which lasted from February 8 to 25, 2019, including examinations of HAV antibody tests and post-exposure HAV vaccination for the staff or residents of the facility. Results: There were 9 confirmed cases in 2 staff members and 7 residents. Among 53 people (30 staff and 23 residents), except for the 9 confirmed cases and 1 staff member with a known history of HAV infection, HAV seroprevalence was seen in 16.7% of the staff under 40 years of age and 95.2% of those over 40 years of age, while the corresponding rates in the residents were 0.0% and 58.8%,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HAV vaccination for vulnerable groups and worker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장애인 주택개조 비용이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ing renovation cost for the disabled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 이소영;김미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75
    • /
    • 2011
  •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for the disabled is limited since a certain amount of budget needs to be distributed for a number of disabled famil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und renovation for the disabled effectively and properly.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renovation which intended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 in terms of accessibility (barrier free) and comfort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larger outcome and smaller bud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 such as renovation cost and renovation elements, influence satisfaction of resi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recipients of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refurbishment from City of Seoul and Ministry of Heal and Welfare. A total of 155 cases were analyzed using post occupancy survey and analysis of project cost data. Overall, more cost were used for modification for housing condition improvement than the cost for removal of architectural barriers. Renovation cost differences were not apparent among the type and extent of an individual's disabilities. Instead existing housing type and physical condition for the housing affects cost for renovation more significantly. Overall the renovation cost is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 PDF

위치·음성인식된 장애인 스마트폰과 장애인 편의시설DB 연결 연구 (Research location & voice recognition disabled accessibility smartphones and database connection)

  • 양성용;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5-208
    • /
    • 2013
  • 2011년 등록된 국내 장애인수는 약 25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다. 고령화를 고려한 잠재 장애를 고려한다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이에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장애인 편의시설 DB 구축 방법, 활용방법을 고려하였다. 정보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의 활용이 증가하고, 융합한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도 손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편의시설 DB를 활용하여 장애인 사용자의 편의시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위치 및 음성을 이용하며 손쉽게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 PDF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장애유형별 이용자 핵심요구 연구 (A Study on Disabled Users' Core Nee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for Library Service)

  • 강지혜;차성종;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3-191
    • /
    • 2018
  • 지난 10년간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관련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고, 시설과 설비가 확대되고,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비율이 증가추세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유형별 이용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 면담과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핵심요구를 파악하였다. 이용자들은 자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확대, 개별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시설 편의성 증대, 웹과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전문적인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였다.

물리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 인구사회학적, 경험적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Physical Therapists Social Distanc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Sociodemographic, Experience Characteristics)

  • 김기전;송브라이언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76-4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재활을 담당하는 물리치료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지역 8곳을 선정하여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 종교, 근무연수, 주변인 장애유무, 주변인 장애 유형 별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지각 정도는 사회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47점)과 하위요인인 신체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77점), 대인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17점)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높을수록(p<.05), 근무연수가 많을수록(p<.05), 남성에게서 사회적 거리감이 더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성별에 있어서 남성이 대인적 거리감에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접촉요인에서 장애인 친구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거리감과 사회적 거리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5). 마지막으로, 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령은 정적, 성별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근무연수와 연령의 정적 상관, 성별과 종교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의 질과 기회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치료사를 대상으로 임상 초기부터 장애인 인식의 개선과 장애인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teraction Contents for Reconsidering Visually Disabled Parents

  • Hong, Joo-Bong;Lee, Chan-Kyu;Lim, 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54-62
    • /
    • 2020
  •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Registere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2,494,460 as of 2015. The lowest rat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23%) and mental disorders (33.3%). The highest rates of screening were blindness (97%), heart failure (94.4%), and hearing impairment (92.7%). 65.2% of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have already had a disability at the time of marriage, and the remaining 34.8% can be thought to be the cause of high incidence of disability after marriage. 'SID (Seed in the Dark)' project was designed to recapture the visually impaired parent's desire for attachment and the space difficulties of the blind who want to be a normal parent to their children through a visual impairment of a father with 7-year-old daughter. Using Gear VR(Virtual Reality), the general public was able to feel the surroundings as if they had no vision and focused on the hearing. Especially, We expressed the sound wave visually and added the hilarious game element which grasps the terrain of the maze by sound wave like a 'blind person who perceives the surroundings by sound' and catches up with daughte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far from mental illness often have a form of family with children. The fact that the rate of childbirth is high means that there is relatively little problem in daily life. It is wondered that the rate of blindness among the visually impaired, which accounts for 10% of the total disabled, is the highest at 97%.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obstacle is often caused by aging, accidents, or diseases due to inherited causes rather than the visual disorder. In particular, However, the fact that there is an obstacle in vision that accounts for 83% of the body's sensory organs causes other difficulties in the nursing process of children who are non-disabled. Parents do not know the face of child when their visual impairment is severe. Parents are extremely anxious about worry that they will be lost or abducted if their children are not by their side. And that the child recognizes the disability of his or her parents other than the other parents easily and takes it as a deficiency. Since visually impaired parents are mentally mature parents with non-disabled people, they may want their children not to feel deprived of their disability. The number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1, and people with impairments often become disabled. In addition, there is much research on the problem of nondisabled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re is relatively little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problem of nondisabled child rearing of parent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