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rious Game Application of Disabled Sports

장애인스포츠 적용을 위한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 강승애 (남서울대학교 운동건강학과) ;
  • 강선영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 김현철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3.09.09
  • Accepted : 2013.09.25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Compared to the past,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in Korea is continuing to increase. As for the scope of the disability, it is expanding as well since it now includes all types of illnesses, car accidents,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aging, industrial accidents and others accidents. Attempts are made in terms of applying sports game method that grafts IT technolog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disabled people participate continually in sports. While casting away the notion of play which was the role of a game in the past, new roles and domains were developed. In fact, serious game genre is what leads this change. Because serious game is leading the game industry fast, centered on education, sports, fitness and medical use, its market value can be considered very significant since it can be both fund and effective as it targets the disabled who cannot enjoy sports easily in reality. Accordingly, this research seek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serious game for the disabled people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pertaining to the integrated and converged cases applied to the field of sports for the disabled when it comes to the serious game that uses contents based on the IT technology.

우리나라 장애 인구는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범위도 각종 질병 및 교통사고와 고령화, 산업재해, 기타 사고 등으로 확대되어왔다. 스포츠경험 및 기회가 적은 장애인들은 적극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포츠 초기단계에서는 스포츠 기술보다는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를 통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애인스포츠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성과를 얻기 위해 IT 기술이 접목된 스포츠게임 방식의 시도가 시행되고 있다. 과거 게임의 역할인 놀이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과 영역들이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을 주도하는 부분이 바로 기능성게임 장르이다. 기능성 게임은 교육, 스포츠, 헬스, 의료용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형성하면서 게임 산업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스포츠를 즐기기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의 재미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는 운동게임의 시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이 장애인스포츠 현장에서 적용된 융복합 사례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장애인스포츠의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1), "EDI 2011 장애인통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조사통계.
  2. 구본태, 박용재, 허필선, 임명환,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동향 및 사례,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1호, pp. 109-127, 2011.
  3. 김상겸.(2000).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호, 57-82.
  4. 김의수, 노형규(1998), 제7분과 / 특수체육 - 특수아체육 생활체육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6권 0호. pp.397-406.
  5. 문화관광부(2007), "장애인체육백서".
  6. 문화체육관광부(2009), "2008 문화 산업백서".
  7. 문화체육관광부(2010),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육성을 위한 R&D 정책방안 연구"
  8. 박옥희(1999), 장애인 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9. 심승구(1999). 한국 특수체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0. 이승훈, 이범로, 류성열(2010). 기능성 게임 분야별 R&D 핵심 수요 기술 분석,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2(4), pp.33-41.
  11. 이춘호, "형식장애청소년과 비장애청소년의 또래 관계 확대 : 기능성게임의 활용",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13권, pp. 43-52, 2008.
  12. 임명환, 허필선, 박용재(2010),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류체계 정립," 한국콘텐츠학회 춘계학술대회.
  13. 임명환 외(2010),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트렌드: 40대 유망 콘텐츠," ISDN 978-89-5519-152-3.
  14. 정형원(2012),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능성 게임 개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5권, pp 147-155.
  15. 추근도(2006).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지, 제17권 1호, 493-503.
  16. 한국문화콘텐트진흥원(2009). '대한민국 게임백서'.
  17. 홍양자, 홍려교(2001), 스포츠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9권 2호. pp.31-48
  18. 홍유진(2011), SNS와 산업공학 소셜 네트워크게임(SNG) 현황 및 전망, 대한산업공학회, 18권 1호. pp.33-37.
  19. Oster. J, "Mongolism:, Copenhagen, Einar Munksgaard Forlag, 1953.
  20. Strabase(2008) "게임과 질병 치료의 결합, 'Meditainment' 게임의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