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reatest lower boun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The Improved Estimation of the Least Upper Bound to Search for RSA's Private key

  • Somsuk, Kritsanap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2074-2093
    • /
    • 2022
  • RSA is known as one of the best techniques for securing secret information across an unsecured network. The private key which is one of private parameters is the aim for attackers. However, it is exceedingly impossible to derive this value without disclosing all unknown parameters. In fact, many methods to recover the private key were proposed,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is acceptable for the different cases. For example, Wiener's attack is extremely efficient when the private key is very small. On the other hand, Fermat's factoring can quickly break RSA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wo large prime factors of the modulus is relatively small. In general, if all private parameters are not disclosed, attackers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the private key is unquestionably inside the scope [3, n - 2], where n is the modulus. However, this scope has already been reduced by increasing the greatest lower bound to [dil, n - 2], where dil ≥ 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crease the least upper bound to narrow the scope that the private key will remain within this boundary. After finishing the proposed method, the new scope of the private key can be allocated as [dil, dir], where dir ≤ n - 2. In fact, if the private key is extremely close to the new greatest lower bound, it can be retrieved quickly by performing a brute force attack, in which dir is decreased until it is equal to the private key.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xtremely effectiv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prime factors is close to each other and one of two following requirement holds: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multiplier of Euler totient function is very close to the public key's small value whereas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the public key should be large whenever the multiplier is far enough.

축 대칭 전방 압출의 극한 해석 (Limit Analysis of Axisymmetric Forward Extrusion)

  • 김병민;최인근;최재찬;이종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3-104
    • /
    • 1991
  • Limit analysis is based on the duality theorem which equates the least upper bound to the greatest lower bound. In this study, limit analysis of axisymmetric forming problem with workhardening materials is formulated by minimizing the upper bound functional and finite element program is developed for forward estrusion. Limit loads, velocity and flow line fields are directly obtained under various process conditions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trains, strain rates and grid distortion are obtained from the optimum velocity components by numerical calculatio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was carried out for extrusion and compared with computed results.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is shown that the developed programming is very effective for the analysis of axisymmetric extrusion.

  • PDF

Near λ-lattices

  • Chajda, Ivan;Kolarik, M.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7권2호
    • /
    • pp.283-294
    • /
    • 2007
  • By a near ${\lambda}$-lattice is meant an upper ${\lambda}$-semilattice where is defined a parti binary operation $x{\Lambda}y$ with respect to the induced order whenever $x$, $y$ has a common lower bound. Alternatively, a near ${\lambda}$-lattice can be described as an algebra with one ternary operation satisfying nine simple conditions. Hence, the class of near ${\lambda}$-lattices is a quasivariety. A ${\lambda}$-semilattice $\mathcal{A}=(A;{\vee})$ is said to have sectional (antitone) involutions if for each $a{\in}A$ there exists an (antitone) involution on [$a$, 1], where 1 is the greatest element of $\mathcal{A}$. If this antitone involution is a complementation, $\mathcal{A}$ is called an ortho ${\lambda}$-semilattice. We characterize these near ${\lambda}$-lattices by certain identities.

  • PDF

구성부호의 연접방법에 따른 직렬연접 길쌈부호의 성능 (Performance of Serial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according to the Concatenation Methods of Component Codes)

  • 배상재;이상훈;주언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A호
    • /
    • pp.18-2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AWGN 채널환경에서 직렬연접 길쌈부호(serial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SCCC)의 세 가지 형태에 대한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한다. 모의실험 결과 낮은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영역에서는 첫 번째 형태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높은 SNR 영역에서는 세 번째 형태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아 수 있었다. 그리고 첫 번째 형태에서는 SNR과 반복복호 횟수를 증가시키더라도 성능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 오류마루(error floor)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와 세 번째 형태는 높은 SNR에서 반복복호를 5회 이상 수행하더라도 성능이 계속 향상되며 오류마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SNR이 증가할수록 세 가지 직렬연접 길쌈부호의 BER 성능은 각각의 상위경계(upper bound) 성능에 근접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유거리(free distance)가 가장 큰 세 번째 직렬연접 길쌈부호가 세 가지 구조 중에서 가장 우수한 상위경계 성능을 나타내었다.

포화된 다공성매체에서 파동의 전파특성 II. 파라미터 연구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Saturated Porous Media II. Parametric Studies)

  • 김선훈;김광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91-206
    • /
    • 2007
  • 본 연구의 I부에서 유도된 포화된 다공성매체의 파동 전파속도와 감쇠에 대한 이론해를 전산코드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파동의 전파속도와 감쇠에 미치는 외력 주파수의 영향과 재료특성치의 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형태의 파동에 대한 압축성 파동 속도는 주파수-투수성 곱이 증가함에 따라 파동속도가 하한치로부터 상한치로 변이하는 영역에서는 주파수-투수성 곱의 함수로써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파동의 전파속도 변화율이 가장 클 때 감쇠값이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형태의 파동에서 파동의 전파속도는 주파수-투수성 곱이 작은 값을 가질 때 거의 0값을 나타내며, 주파수-투수성 곱이 큰 값을 가질 때 상한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Information-Theoretic Approaches for Sensor Selection and Placement in Sensor Networks for Target Localization and Tracking

  • Wang Hanbiao;Yao Kung;Estrin Deborah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4호
    • /
    • pp.438-449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s the information-theoretic approaches to sensor selection and sensor placement in sensor net­works for target localization and tracking. We have developed a sensor selection heuristic to activate the most informative candidate sensor for collaborative target localization and tracking. The fusion of the observation by the selected sensor with the prior target location distribution yields nearly the greatest reduction of the entropy of the expected posterior target location distribution. Our sensor selection heuristic is computationally less complex and thus more suitable to sensor networks with moderate computing power than the mutual information sensor selection criteria. We have also developed a method to compute the posterior target location distribution with the minimum entropy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fusion of observations of the sensor network with a given deployment geometry. We have found that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posterior target location distribution with the minimum entropy is consistent with the Cramer-Rao lower bound (CRB) of the target location estimate. Using the minimum entropy of the posterior target location distribution, we have characterized the effect of the sensor placement geometry on the localization accuracy.

양자논리를 위한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준동형사상 (A Homomorphism on Orthoimplication Algebras for Quantum Logic)

  • 연용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5-71
    • /
    • 2017
  • 양자논리는 양자역학을 위한 수학적 구조인 힐버트 공간에서의 사영을 다루기 위해 Birkhoff와 von Neumann에 의해 소개되었고 Husimi는 이 양재논리를 보완하기 위해 직교모듈라의 성질과 직교모듈라 격자를 제안하였다. Abbott은 직교모듈라 격자에서의 함의를 연구하기 위해 직교함의 대수와 그 성질을 소개하였다. 직교모듈라 격자에서 가환관계는 분배법칙과 모듈라 성질 등과 관련된 중요한 성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한 이항연산과 이를 이용한 최대하계를 정의하고 그 이항연산의 성질을 밝힌다. 또한 준동형사상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가환관계를 특성화한다.

a-Tropomyosin의 아미노 말단 구조가 기능에 미치는 영향 (Functions of a-Tropomyosin Are Mainly Dependent upon the Local Structures of the Amino Terminus)

  • Cho, Young-Joon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70-777
    • /
    • 2004
  • a-Tropomyosin (TM)의 아미노(N) 말단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 말단에 알라닌 아미노산 잔기 하나를 첨가한 재조합 Ala-TM을 제조하였다. Ala-TM을 대장균에서 대량발현 시켜 정제한 후, N 말단이 아세틸화된 근육TM및 N말단에 알라닌-세린 잔기를 첨가한 AS-TM과 N말단이 비아세틸화된 TM등의 재조합 TM과 기능을 비교하였다. Ala-TM은 비아세틸화된 TM보다 액틴친화력이 현저히 증가했으나, 근육 및 AS-TM 보다는 약 3배정도 약하게 액틴에 결합하였다. 근육 TM, AS-TM,그리고 Ala-TM모두가 myosin 51의 농도가 낮을 때 ATPase 활성을 억제하였고 농도가 높을 때 촉진하였으나, 억제와 촉진의 정도는 서로 차이가 있었으며 비아세틸화된 TM은 억제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N말단 구조가 TM의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며 TM의 온전한 기능을 위해서는 아세틸화된 N 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