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isabl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상지기능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의 입력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Android-based Smart Phones Targeted at People with Upper Limb Dysfunctions)

  • 김경식;송병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2
    • /
    • 2016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로 대표되는 초고속 정보 통신기술시대에 장애인과 노인은 정보 통신 분야에서 이른바 ' 상대적 약자'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불편함만으로 그치지 않고, ICT 기반의 현대 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뇌병변, 경추, 근육병, 지체장애 등의 상지기능장애를 수반하는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접근성 항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특히 쥐는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상지 기능 장애인은 잡기 및 회전 등의 작업이 필요한 상황에서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입력 키보드의 지침 부족하며, 장애 유형에 따른 설문 조사 결과로는, 중증의 척수 장애를 지닌 사용자 집단이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수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tness Avatar Model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in Individual with Spinal Cord Injury)

  • 강선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3_1호
    • /
    • pp.65-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해마다 장애인구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지체장애인에 포함되는 척수장애인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 마비로 인해 체육시설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척수장애인들의 신체활동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상황에서 이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신체활동 방법으로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신체활동량 증가 방법은 가장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척수장애인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고 보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 전후로 용이한 방법을 통한 건강 및 체력 검사를 진단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지속적인 신체활동 수행을 위한 지원체제의 확립이 필수적이며, 둘째, 지속적 신체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고려하고 단계별 수준에 적합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며 중재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보안 컨테이너 가상화 기반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using Secured Container-based Virtualization)

  • 정동화;이성규;신영상;박현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0-334
    • /
    • 2017
  • Container 기반 가상화 환경에서는 가상 실행 환경 들이 호스트 OS를 공유함으로써 기존 가상화가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가상 실행 환경 간의 isolation을 보장한다. 이로 인해 최근 embedded device와 같은 system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도 서로 다른 가상 실행 환경 또는 호스트 실행 환경의 자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sandboxing의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상 실행 환경들이 공유하는 호스트 OS 및 호스트 실행 환경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이 있을 경우 이를 악용한 공격자가 가상 실행 환경으로의 접근 및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 보안 위협이 존재하여 이의 방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실행 환경에 대한 임의 접근 및 비인가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가상 실행 환경접근 권한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제어하는 Container 접근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공격자의 Container 접근 제어 기능 무력화 방지를 위해 커널 드라이버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Linux 커널에 구현 및 테스트되었으며, 가상 실행 환경에 대한 임의 접근 및 비인가 행위 차단 결과를 보인다.

  • PDF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 이원경;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219
    • /
    • 2013
  •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항경련제를 복용하고 있는 지적장애 환자의 외래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후 합병증 발생 조사 연구 (Analysis of Complications of Ambulatory General Anesthesia after Discharge in Patients Who are Taking Anticonvulsant)

  • 차민주;서광석;김미선;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0
    • /
    • 2014
  • Background: About 60% of patients with epilepsy showed a variety of complications after returning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further information and to help in the anesthetic management of the disable patients with epilepsy. Methods: After searching the outpatient anesthesia lis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clinic of the disabled from September 2010 to March 2012, we found total 83 patient cases who were taking antiepileptic drugs. A nurse of anethesiology department called to the patient's home after general anesthesia and got surveys with questionnaires form filled with complications at home. We enrolled total of 51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this survey. And we also reviewed pre-anesthesia evaluation sheet, anesthesia record, and recovery and discharge record. Results: 11 of 51 (21.6%) patients had seizure convulsion at home within 1 weeks. 33.4% of patients who had at least once seizure attack per week had a seizure attack within 3 days. And 50% of once a month frequency patients had a seizure attack within 1 week. 33% of 1 - 3 seizure attacks per year patient group had a convulsion within 1 week. But there was no seizure attack within 1 week in whom had no seizure attack history during more than 1 year. Conclusions: After dental treatment, patient taking anticonvulsant have so many complications-especially seizure, more than we respected. We need more research about handle these problems.

합성곱 신경망 기반 물체 인식과 탑승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Safety Driving Assistance System Using CNN-Based Object Detection and Boarding Detection Sensor)

  • 손권중;배성훈;이현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1-218
    • /
    • 2021
  • 최근에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크게 늘고있다. 개인형 모빌리티가 자세 안정성이 낮고 탑승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도 사고나 낙상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동킥보드 사고 방지를 위해 본 논문은 주행 보조 장치로써 자동긴급제동시스템과 안전시동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물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제동을 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탑승이 확인되기 전까지 장치의 시동을 보류하는 안전시동시스템도 개발하였다. 상용차와 주행 조건이 매우 다른 개인형 이동 수단에 특화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융합 기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human JNK2 (MAPK9) transcript variants that show different stimulation activities on AP-1

  • Wang, Pingzhang;Xiong, Ying;Ma, Chuan;Shi, Taiping;Ma, Dalong
    • BMB Reports
    • /
    • 제43권11호
    • /
    • pp.738-743
    • /
    • 2010
  • The c-Jun $NH_2$-terminal kinase (JNK) signaling pathway participates in many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current study we reported th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novel JNK2 transcript variants, which were designated as $JNK2\alpha3$, $JNK2\alpha4$, $JNK2\beta3$, $JNK2\gamma1$ and $JNK2\gamma2$, respectively. Among them, $JNK2\alpha4$ and $JNK2\gamma2$ are potential non-coding RNA because they contain pre-mature stop codons. Both $JNK2\alpha3$ and $JNK2\beta3$ contain an intact kinase domain, and both encode a protein product of 46 kDa, the same as those of $JNK2\alpha1$ and $JNK2\beta1$. $JNK2\gamma1$ contains a disrupted kinase domain and it showed a disable function. When over-expressed in mammalian cells, $JNK2\alpha3$ showed higher activity on AP-1 than that of $JNK2\beta3$ and $JNK2\gamma1$. Furthermore, $JNK2\alpha3$ and $JNK2\beta3$ showed different levels of substrate phosphorylation, although they both could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293T cells. Our results further demonstrate that JNK2 isoforms preferentially target different substrates and may regulate the expression of various target genes.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Permission Smell in Android Applications

  • Wu, Zhiqiang;Lee, Hakjin;Lee, Scott Uk-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9-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와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인해 발생하는 Permission Smell을 탐지하여 그 영향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서 실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존재하는 Android 앱로 구성된 대규모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존재하는 Permission Smell의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안드로이드 앱에 Permission Smell이 존재하며 특히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도 권한을 요구하므로 이러한 Smell 들을 더 많이 발생시킨다. 또한, 대다수의 개발자는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인해 선언된 불필요한 권한을 올바르게 비활성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Permission Smell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하는 앱이더라도 다운로드 횟수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하는 앱들은 사용자들로부터 더 낮은 평가를 받았다.

OMOP CDM 구축 시 개인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HIPAA PHI 적용 방법 연구 (Study on HIPAA PHI application method to protec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n OMOP CDM construction)

  • 김학기;정은영;박동균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66-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OMOP(Observational Medical Outcomes Partnership) CDM(Common Data Model) 구축시 개인의료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HIPAA(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PHI(Protected Health Information)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CDM으로 추출 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식별 불능 화 처리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법에는 민감 정보의 처리 제한에 관한 내용은 존재하나 그 민감 정보가 무엇인지에 관한 명확한 규정은 없어 개인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민감 정보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IPAA PHI를 개인정보 보호법 제23조 민감 정보의 처리 제한 기준으로 정하고 CDM데이터와 매핑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DM구축 시 발생되는 개인의료 정보 보호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CDM구축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크질환과 언더라이팅 -보장급부를 중심으로 고찰한 생명보험 언더라이터의 제안- (Disc and underwriting - A proposal of life underwriter in terms of insurance benefits -)

  • 변혜진
    • 보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6-106
    • /
    • 2008
  • 다음은 위의 모든 결과를 바탕으로 디스크 질환의 입원기간이 길어지고 재발이 일어날 수 있는 나쁜 조건 (NEGATIVE)과 그 반대인 좋은 조건(Positive)을 table로 정리하였다. 좋은 조건은 같은 추간판 탈출 기왕력자라고 하더라도 예후에 긍정적인 가능성을 주는 조건이다. 따라서 심사할 때 table를 토대로 고지내용이 좋은 조건인지, 나쁜 조건인지 판단 할 수 있고 추가 질문사항을 요청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입원을 했더라도 며칠을 입원했는지. 재수술을 하였다면 어떻게 했는지, 직장인의 경우 현재 어떤 조건인지, 수술을 했다면 구체적으로 수술명이 무엇인지, 수술 후 술, 담배를 하였는지, 수술 후 현재 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인수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