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4초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한 수도권매립지 유발 비효용(disamenity) 감소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Estimating WTP for the reduction of disamen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Landfill site using the Hedonic Pricing Model)

  • 강희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3호
    • /
    • pp.335-362
    • /
    • 2020
  • 본 논문은 Box-Cox 전환을 이용한 헤도닉가격모형을 통해 수도권매립지로부터 유발되는 비효용(악취)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잠재가격)과 수도권매립지로부터의 거리 조건의 변화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은 수도권매립지에서의 이격거리를 환경변수로 활용하고, 이를 포함한 다양한 주택특성변수가 매립지에서 반경 5km 이내 아파트 매매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악취는 종류도 다양하고, 다양한 기상·환경적 영향에 따라 변동하며, 피해 정도나 표현방식도 개인별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이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진술선호법 대신 현시선호법 방법론 중 헤도닉가격모형을 선택하였으며, 발생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하여 Box-Cox 전환을 통해 다양한 함수형태를 검증하여 적용하였다. 추정결과 악취원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대한 한계가치(잠재가격)는 추정모형의 함수형태에 따라 0.227~0.533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주택특성요인이 동일할 때, 악취원에서부터 이격거리가 1km 떨어지는 것에 대한 추가 지불의사액은 함수형태에 따라 20,143천 원~ 62,092천 원으로 계산되었으며, 일반적 Box-Cox 모형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지불의사액은 연간 3,874천 원 정도로 추정되었다.

청년층의 인구이동과 주택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nd Housing Policy: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부명;김성아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focusing on the housing problem of youth issues. Targeting 64 local governm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mporal range was decided as 2015. Setting up the rising population in 19-34 as a dependent variable, supposing that each age group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age groups in 19~34, 19~29, and 25~34.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was consider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in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and the rate of housing supply. The increase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promoted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whil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disturbed by the rising rate of housing supply. Also, when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not controlled, the young generation hesitates to enter the region where relatively high rent should be paid while the new housing supply focusing on apartment is hard to be selected by the young generation for residence because of the size and pric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looked quite different in each age group.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in 19~29 was influenced when there were many officetels and non-apartments on top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On the contrary,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25~34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the whole size of completed apartment area. Even though it was not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among control variables,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daily average number of get-on/off had effects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t means that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novices is different from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the group with experiences in marriage and childbirth within the same young generation.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divide the purposes of policies for each subject when executing the youth housing policies.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The Medicare Service Facility Location Problem)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1-84
    • /
    • 1998
  •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함께 경제.사회 정치적 상황과 의료제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의료서비스시설의 입지문제는 그 수요와 공급의 공간작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료서비스시설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토대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시설의 입지적 특성과 의료서비스의 공간배열의 원리를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특히 다른 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는 차별화 되는 입지결정 및 운영의 이원성과, 기능과 규모에 따라 입지원리가 다르게 작용하는 계층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역 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의료기관의 적절한 공간적 배분계획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료서비스시설의 바람직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계획에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 자동차산업의 기업간 거래관계에 의한 지리적 네트워크 구조 분석 (Analysis of Geographic Network Structure by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 김혜림;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8-72
    • /
    • 2021
  • 2021년 7월 UNCTAD가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분류할 정도로 우리나라가 발전하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생태계를 연구하여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성장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 중 하나가 기업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며, 본 연구는 기업 간 거래 데이터 구득이 가능한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공간적인 산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95개의 기업 데이터(노드)와 607개의 거래 관계 데이터(링크)를 활용하였다. 기업의 주소지를 지오코딩하여 공간상 분포를 확인한 결과, 자동차산업 관련 기업은 수도권과 동남권에 집중 분포하고 있었다.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위세중심성 등을 통해 노드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밀도, 거리, 커뮤니티 탐지, 동류성 및 이류성을 파악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4가지 노드 중요도에서 상위 15위 기업은 완성차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3개의 기업이 공통적으로 포함되고, 상위 15위 기업은 주로 수도권에 입지하고 있다. 규모 면에서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은 대부분 종업원 수가 1,000명 이상인 큰 기업이고, 근접중심성과 위세중심성은 완성차기업을 제외하면 대개 종업원 수가 500명 이하인 기업이 상위 15위 안에 포함되었다.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구조는 밀도는 0.01390522, 노드 간 평균거리는 3.422481로 나타났으며, 빠른탐욕알고리즘으로 커뮤니티 탐지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11개의 커뮤니티가 도출되었다.

서울 대도시권 하루 시간대별 지하철 통행흐름 패턴과 토지이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Patterns of Transit Ridership and Land Us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 이금숙;송예나;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도시권에서 도시 내 통행흐름의 시-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서울대도시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하루 동안의 탑승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통행흐름의 유형과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 지하철역별 아침, 낮, 저녁 시간대별 승하차 여객 수를 산출하고, 그의 공간적 분포를 GIS를 이용하여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각 역의 시간대별 승객의 타고 내리는 승객흐름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법을 이용하여 서울대도시권 지하철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353개 역들을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승객 흐름의 유형별 군집에 따라 지하철 역 인접 지역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지역변수들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교통계획은 물론 도시계획의 다양한 단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서비스업 기술혁신과 협력네트워크의 특성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operative Networks of Service Industries by Region)

  • 최지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77
    • /
    • 2005
  •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 및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성장이 화두로 등장하면서 서비스업의 혁신, 특히 서비스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업의 기술혁신을 공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술혁신과정에서 협력메커니즘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수도권과 지방 (비수도권)에는 업종과 기업규모에 무관하게 서비스업 기술혁신율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존재했다. 하지만, 수도권 소계 기술혁신기업의 높은 기술혁신율은 외부기관과의 활발한 협력보다는 기업의 내적 혁신역량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협력파트너의 유형별 특성 분석에서, 수도권 기업은 지방 기업에 비해 대부분의 협력파트너에 대해 기술혁신에 미치는 기여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지만, 지방의 기업은 기술혁신과정에서 대학 기관에 의존하는 정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파트너의 유형화와 유형별 기술혁신과의 관계에 관한 분석에서 수도권과 지방 기업 모두에게 민간 부문은 기술혁신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였으며, 공공 부문은 기술혁신의 성과로서 지적재산권을 출원할 수 있는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모바일 유동인구데이터를 활용한 농촌지역 생활자의 유동특성에 따른 생활권 유형화 (Types of Living Areas according to the Flow Characteristics of Rural Dwellers using Mobile Floating Population Data)

  • 김용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8권2호
    • /
    • pp.61-69
    • /
    • 2022
  • This study categorize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areas of rural dwellers through cluster analysis using mobile floating population data. As a result, rural area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34 rural living areas, and 5 types of rural living areas were derived. Although the 'Suburban in Mega City Areas' and 'Suburban in Regional City Areas' derived through this study have advantages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large cities, they are important for rural space management as they can undermine the unique values of rural areas due to urban expansion. In addition, 'Unclassified areas' have low accessibility in the national space,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their own settlement environment. The population of rural areas in Korea exhibited a phenomenon of widespread migration. This means that rural residents who depend on metropolitan areas are provided with SOC beyond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ove away from establishing a homogeneous regional plan that does not consider population mov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ural living area formed by the population movement occurring in the rural area. This is different in that the existing studies classified the national space based on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egions, beyond the limitations of categorizing regions with homogeneous characteristics based on endogenous indicators.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need for a rural space plan is emphasiz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iving area of rural dwellers and to design an appropriate rural pla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rural plan suitable for the reg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for revitalization of the rural area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attractive national space.

CHAID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지가 영향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SIA) in Seoul Cit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 최유란;김태호;박정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504-512
    • /
    • 2008
  • 본 연구는 합리적인 역세권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CHAID분석을 이용하여 서울시의 강남 강북지역에 대해 SIA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역세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세권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 도보거리로 나타났으며, 두 관계를 이용하여 SIA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SIA모형식(선형식, 2차 다항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강남 북의 역세권의 범위는 지하철역사로부터 도보거리기준으로 강남지역이 767m, 강북지역이 452m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강남지역의 구간 1(0$\leq$175m)의 경우 역으로부터 거리와 가격과의 관계가 선형이 아닌 2차 다항식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현행 도시철도법상 역세권 범위 반경 500m의 기준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서울 북촌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 북촌 가꾸기 사업에 따른 2002~2007 한옥 대수선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form and spatial uses of Urban Hanok in Bukchon, Seoul)

  • 송인호;김영수;조은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2호
    • /
    • pp.47-63
    • /
    • 2009
  • This study focused on changes in form and spatial uses of Urban Hanok in Bukchon, Seoul. There are 10 representative cases which have been renovated through the policy of 'Preservation & Regeneration of Bukchon'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ther experts. Changes in form and spatial uses of Urban Hanok in Buckon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of scale. Trough removing extension parts, facade of renovated Hanoks are 'transformed' into recovering their identity. Using basements or lofts, intensive application of spaces is transformation which promotes the vitality of Hanoks. Second, changes of space organization. As Hanok changes its function from residence to commercial or cultural use, il a1so changes space character or reorganizes spac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hat deciding function of Hanok has to adjust its scale and organization. Third, changes of construction performance. Through introducing new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performance of wall has been changed respecting its wooden structure and interior-exterior figure. However, technical studies must back it up not to destroy its value of eco-friendly architecture. Fourth, changes of facility systems, like floor heating system. They changes floor level of Hanok equally, and then sections of Hanok have became simple. Furthermore, inserting new facility space, such as boiler room, stand-up kitchen, bathroom and toilet, organization of space also changed. It is necessary that wise alternative proposal through the method of transformation or mutation must be presented. These four changes can be classification into method of 'transformation' and 'mutation'. Changes of scale are method of transformation and changes of space organization are method of mutation. Also, while changes of construction performance are mutation, changes of facility systems are transformation. Recently, as price of lots have been increased, a lot of Hanoks have been commercialized. Thc commercial energy threat 'the identity of Bukchon as residential area'. From now on, to operate 'identity' and 'vitality' complementary,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the preservation policy of Hanok and consolidate renovating standards of Hanok which correspond to character of particular region and building usage.

  • PDF

서울 신신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벨리의 산업집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 (Dual Clusters of the Metropolitan Reg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Agglomeration,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ongdaemun Market and Seoul Venture Valley in Seoul, Korea)

  • 남기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60
    • /
    • 2003
  • 경제의 세계화가 가속화되고 도시경제변화의 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원동력이 되는 산업과 이의 집적논리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의 가속화로 인해 현대의 기업은 비용과 위험감소를 위해, 비시장적 기제들 즉, 신뢰, 협력, 상호의존 등의 사회경제적 기제에 더욱 의존하고 있으며, 명시적인 거래비용의 감소보다는 산업활동의 네트워크, 착근성, 도시의 장소적, 역사적 발전특성 등의 문화경제적 기제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대도시내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산업 클러스터의 비교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형성의 특성과 국지적 공간경제와 산업의 차이에 따른 제도화의 특성들을 분석한다. 즉,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시장에서 출발하여 '생산-유통-판매-사후 서비스'가 하나의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동대문의류산업 집적지와 10여 년의 짧은 사무업무활동지구에서 IT중심의 벤처산업지구로 변모한 서울벤처밸리의 내적 발전특성상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사회경제기제와 문화경제기제로 나누어 비교하고 서울의 공간경제 발전에의 함의점을 도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