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Elderly with Dementia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34초

원인불명의 극심한 식욕부진(食慾不振)을 호소한 고령 환자 치험례 (Case of an Old-Age Patient with Ill-defined Severe Anorexia)

  • 정기용;하유군;백종우;최유경;김동우;박종형;전찬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6-261
    • /
    • 2008
  • Anorexia is a common symptom in the elderly patients. Causes of anorexia in the elderly are very diverse and multifactorial. Causes include physi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ment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orexia tardive, dementia, medical diseases such as cancer(lung and gastrointestinal cancer), benign gastrointestinal disorders, cardiac disorders, pulmonary disease, thyroid disorders, infection. Medications such as digoxin, theophylline have also been implicated in the problem. No cause is found in about one quarter of patients. Management is directing at treating causes and providing nutritional support. In Oriental medicine, the appetite has close relation to Biwi. The main cause of anorexia is the insufficiency of Biwi. The physiology of Biwi is that Bi sends clarity(food essence) upward and Wi sends digested food downward. Specially if the physiologic function of Wi is disordered by various factors, Wi cannot send digested food downward. As a result, the anorexia can present by the disorder of Wi func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an 74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ill-defined severe anorexia differentiated as Wijoongheohan.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fluid therapy and Jeonghyangsiche-tang. The anorexia and other symptoms improved continuously during hospitalization.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in Community)

  • 이선명;채주현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00-160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compares and analyzes programs applied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in the community to find out their effectiveness. Methods: In this study, 12 papers were finalized by searching for "elderly", "cognitive", "community", and "program" using the databas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ystem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KISS). Results: Programs for cognitive function were in the order of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arts and crafts, and exercise program. In the program, rather than applying the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alone, the program was operated by combining leisure or exercise, music, art, and handicraft. The time was shown to be 30 minutes.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tool was MMSE, followed by GDS and BBS. By cognitive domain,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and memory, satisfaction in psychology, and balance ability in exercise were evaluated the most. In the cognitive area, various cognitive stimulation areas were included, and in the exercise area, basic exercise, muscle strength exercise, joint exercise, and balance exercise were applied. Conclusion: Therefore,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will be possible to prepare guidelines to establish and development.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기능상태에 따른 간호서비스 필요도 예측 (Predictors of Nursing Service Need for Nursing Homes Residents)

  • 이태화;조순영;장윤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5-1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unc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and to analyze time use, and finally identify factors to predict nursing care needs in relation to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Methods: In this study a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Functional status of participants was obtained through interviews, and nursing care time was examined using a 1 min time-motion study with a standardized instrument developed by Korea Long-Term Care Planning Committee (2005). Results: The mean total functional score was 65 (range 28-125) and mean total nursing care time was 144.15 min per da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nursing care time, marital status, back pain, dementia, and vision impair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 liner combination of number of illnesses, types of primary disease, ADL, IADL, cognitive function, nursing demand, and rehabilitation demand explained 42.8% of variance of total nursing time. ADL (${\beta}$=-.533)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nursing service need. Conclusion: Identifying factors that result in variations of service need has implications for adequate nursing service, estimation of optimum nurse to patient ratio,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AI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I Robot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t home)

  • 김연미;송미영;양정숙;나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11-52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다양한 노인돌봄 방식의 변화가 제기되고 있어, 재가의 경증치매 및 신체허약노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 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4일부터 9월 17일까지이며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 대상자의 설문결과를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언어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등도 이상 우울과 경증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인지기능은 장기요양등급과, 일상생활활동은 동거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돌봄 현장에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도입한다면, 노인의 인지기능훈련 및 우울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적 배제와 중·고령 노인 우울의 연관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ssociation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in Middle and Older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이예진;노영민;김진욱;하영은;이주현;노진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3-301
    • /
    • 2019
  • 본 연구는 중 고령 노인의 우울과 연관이 높은 사회적 배제 요인 7가지를 새롭게 정의하고, 각 사회적 배제 요인과 노인의 우울의 연관성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6차년도(2016년) 자료 중 50세 이상 중 고령 노인을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기술분석, 카이제곱검정 및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동, 주거, 건강, 관계가 배제된 노인이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주거 배제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 연관 요인에서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적 배제가 높게 나타난 요인인 노동과 문화에 대해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사회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며,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의 참여 기회를 높여 노동과 문화 배제 해소를 통해 우울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전반적인 노인의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구체적 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메타분석을 통한 주·객관적 인지-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 : 정상 노년층, MCI,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 이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14-7423
    • /
    • 2015
  •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호소는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의 진전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이다. 그러나, 인지-언어 능력의 주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연구마다 상이하다. 특히, 양자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26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상 노년층, MCI, 치매 집단의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자의 수는 26~657명이었다. 주관적 평가의 유형은 자기 보고형 75.4%, 정보제공자 보고형 24.6%였으며,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은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 등의 순으로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자기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치매 집단이 가장 높았고, 정보제공자 보고형은 세 집단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는, 정상 노년층에서 자기 보고형과 추론력,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기억력 및 언어능력 간에 상관성이 높았다. MCI에서는 자기 보고형과 언어능력 등,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전반적 인지능력 등의 영역 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치매 집단에서는 두 유형 모두 기억력, 언어능력, 전반적 인지능력을 잘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두 유형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Medi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Lee, Go eun;Kim, Sang ho;Jung, In chul;Kang, Hyung won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7-249
    • /
    • 2019
  • Objectives: Interest in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s to treat dementia. Meditation is used to treat various sympto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eases. Some studies suggest that meditation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s, especially attention, in the elderly. However, how meditation affects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remains unclear. In this review, we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practicing meditation in combination with standard care in AD. Methods: We searched the CCRCT, MEDLINE, EMBASE, AMED and CINAHL databases on 30 May 2017.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used meditation in adult patients diagnosed with AD. We allocated patients to a meditation combined with standard care or a standard care-only group. Results: The two R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 total of 9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meditation with standard care and standard care-only groups in this review. All meditation programs in the included trials were based on practicing mindfulness. The results of our meta-analysis indicatedthat adjunctiv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exerted favourable but non-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D=4.68, 95% CI -0.11 to 9.46; Z=1.92, p=0.06). Only one study assessed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and stress. No adverse events related to meditation were reported in the included studies. Conclusions: Insufficient data iscurrently available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racticing meditation on patients diagnosed with AD. Hence, further RCTs with high methodological quality and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to effectively estim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on AD.

노인 또는 경증 뇌질환 환자들의 운동 및 인지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게임형 재활 시스템 (A game-type rehabilitation system that can be helpful for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mild brain disease)

  • 최군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9-237
    • /
    • 2021
  • 노인과 경증 뇌질환(치매 및 뇌졸중 등) 환자들 중 일정 정도의 자력 행동 능력과 인지 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과 인지 재활을 병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운동 또는 인지 재활로 분리 또는 특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두 가지 모두를 연계하는 형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ICT 기술의 하나인 CAN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동과 인지 재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형 재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CAN BUS 구조를 이용하여 재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모듈들을 다양한 형태로 분리 및 결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환자(또는 노인)의 인지 능력과 운동 능력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재활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제안된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을 실제로 제작하였다. 아울러 이 시스템을 이용한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한 운동/인지 병행 재활의 구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Group Programs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 정은화;주유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23-36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NDSL, DBPia, Riss,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147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6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연구 대상자 특성, 그룹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중재기간 및 회기, 결과 측정방법,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6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III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8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 거주 일반 노인 대상의 연구가 5편(25.0%)이었다. 총 16편의 연구에서 적용한 그룹 프로그램의 유형은 10개로 구분되었고, 운동 그룹 프로그램이 4편(25.0%)이었다. 그룹 프로그램 중재 기간은 12주 동안의 중재 기간이 6편(37.5%)이었고, 회기는 8회기와 12회기가 4편(25.0%)이었으며, 그룹 프로그램의 적용 시간은 60분이 7편(43.8%)이었다. 결론 : 본 고찰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인지수준의 노인을 위한 작업치료 그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본의 재가간호 및 방문간호 -새로운 개호보험제도의 실시를 앞두고- (A Study on Home Care and Home Visiting Nursing in Japan)

  • 김증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6-120
    • /
    • 1999
  • Japan has been prepared for aging society from 1970. In 1970, the percentage of distribution of population of 65 years old and over was 7.1%. It is similar to present percentile of the elderly in Korea.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study about home care and home visiting nursing in Japan at present. This study was aimed to prepare the fundamental documents for home care nursing in Korea and to know the background of new health care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by studying home care and home visiting nursing in Japan. With the continuing aging of the population, especiall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atter stage elderly, it is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elderly who are bedridden and suffering senile dementia. To ensure that these people will be able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ies and homes they are accustomed to, surrounded by their families and neighbors, Japan substantially improve and expand in-home services. There were also long-term effort to reach the level of services outlined in the Gold Plan and the New Gold Plan within the decade between FY 1991 and FY 1999 in the field of health care and welfare. Under this plan, the most noticeable change was occurred in home care, home was permitted as the field of care and visiting nursing was established in law. Through this 10- Year Strategy for Promo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Aged, many problems have been improved and solved, but some problems remained such as inadequate service supply and consumption of medical insurance for the elderly. Japan will be a society composed 25% of elderly people of total population in 2020, and it will be soon faced with a shortage of welfare and medical facilities and manpower. As for equalizing the benefits and cost burdens, and other future arrangements for health care and welfar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established in 1994. This system will be enforced from April 2000 and use present facilities and services. To know home care and home visiting nursing in Japan, we need to consider present conditions well and to take notice of changes and measures to cope with an aging society continu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