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1 cytokine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8초

내장리슈만편모충 유래 GP63 항원을 마우스에 접종한 후 관찰되는 Th1/Th2-type 복합 면역반응 (Development of mixed Th1/Th2-type immune response in mice following immunization with GP63 from Leishmania donovani)

  • 산성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1-218
    • /
    • 2001
  • 병원성 내장리슈만편모충(Leishmania donovani)에서 추출한 GP63 또는 LPG 항원을 liposome으로 캡슐화하고 보강제로서 BCG를 조합하여 DBA-2N 마우스에 면역접종을 한 후, 내장리슈만편모충의 병원성 amastigote를 접종하여 이들 물질의 방어면역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GP63 과 LPG, 그리고 BCG를 모두 첨가하여 접종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유의성 있는 내장리슈만편모충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감소율은 27.4%에 불과하였다. 실험적 피부리슈만편모충증에 대하여 성공적인 방어면역성을 나타낸 GP63이 내장리슈만편모충 감염에 대하여 방어면역성을 상실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에서 C3H 마우스에 GP63-GST 단백질과 BCG를 혼합하여 면역접종하고 내장리슈만편모충의 병원성 amastigote로 접종한 후, 혈청 내 특이항체와 비장세포에서의 감마인터페론 및 IL-5의 생산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GP63-GST와 BCG를 혼합하여 면역 접종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도 유의성 있는 amastigote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이들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는 BCG 만을 접종한 군에 비해 10배 이상의 감마인터페론과 3배의 IL-5가 생산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GP63-GST 단백질과 BCG를 혼합하여 접종한 마우스에서 Th1 및 Th2 타입 면역반응이 모두 활성화되었음을 시사하며, Th1 뿐만 아니라 Th2 타입 면역 반응도 함께 활성화된 것이 실험적 내장리슈만편모충 감염에 대한 방어면역에 실패한 원인 중의 하나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황화패장, 백화패장의 항천식 작용의 비교연구 (Comparitive study on anti-asthmatic activities of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ex Link and Patrinia villosa Jussieu in a mouse model of asthma)

  • 차종태;이장천;이영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5-82
    • /
    • 2012
  • Objective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rmacological profile of the aqueous extract of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ex Link (EPS) and $Patrinia$ $villosa$ Jussieu (EPV) for its anti-asthmatic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if EPS result in better anti-asthma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outcome as compared with EPV. Methods : In this study, BALB/c mice were systemically sensitized to ovalbumin (OVA) followed intratracheally, intraperitoneally, and by aerosol allergen challeng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PS, EPV on the recruitment of pulmonary inflammatory cells, various immune cell phenotypes, Th1/Th2 cytokin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and histamine production in serum. Results : In BALB/c mice, we found that EPV-treated groups had more effectively suppresse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lung and BALF, B220+IgE+, CD11b+Gr-1+ cell population in lung and these occurred by suppressing the gene expression of IL-4, IL-5 and IL-4 cytokine production in BALF and serum.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V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anti-asthmatic activities by down-regulation of Th2 cytokine (especially IL-4, IL-5). In general, EPV has shown a better anti-asthmatic activities compared to EPS.

백개자, 나복자 및 두 배합 약물의 천식 동물 모델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Sinapis Semen, Raphani Semen, and mixture decoction on the Asthmatic Mouse Model)

  • 김창민;이영철;이장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5-23
    • /
    • 2013
  • Objectives : To clarify the possible effects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on the development of pulmonary eosinophilic inflammation in a asthmatic mouse model. Methods : BALBav/c mice were sensitized to OVA followed intratracheally and by aerosol allergene challeng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eosinophiic infitratio, immune cell phenotype, The2 cytokine product, and OVA-spedific IgE production. Results : Total lung cells, eosinophils, and lung leukocytes, OVA specific IgE levels, and Th 2cytokine levels such as IL-5, IL-13, IL-17, TNF-alpha, and eotaxin in BALF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OVA sensitized asthma mice (control). The absolute numbers of $CD3^+$, $CD3^+/CD69^+$, $CD3^-/CCR3^+$, $CD4^+$, $CD8^+$, $Gr-1^+/CD11b^+$, $B220^+/CD22^+$, $B220^+/IgE^+$ cells in lung tissiue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pecially total lung cells in BALF and the absolute number of $CD3^+/CD69^+$ and, $B220^+/IgE^+$ cells in lung tissiue effectively reduced in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compared to those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has deep inhibitory effects on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sponsiveness in asmatic mouse model and also has effect of suppression of IL-5, IL-13, IL-17, OVA specific IgE production in BALF. The results verified that Sinapis Semen, Raphani Semen, and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could act as a immunomodulator which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anti-asthmatic property by modulating the relationship of Th1/Th2 cytokine imbalance.

Myristicin이 Ovalbumin으로 유도한 천식 생쥐모델에서 Th1/Th2 Balance를 조절하는 GATA-3에 미치는 효과 (GATA-3 is a Key Factor for Th1/Th2 Balance Regulation by Myristicin in a Murine Model of Asthma)

  • 이규;이창민;정인덕;정영일;천성학;박희주;최일환;안순철;신용규;이상율;염석란;김종석;박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090-1099
    • /
    • 2007
  • Myristicin은 육두구에서 발견되는 고농축 정유 중 하나인 물질이다. 하지만 Th1/Th2 면역반응에서 육두구의 항알레르기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에 Th1/Th2 전사인자로서 T-bet, GATA-3가 밝혀졌는데 이번 실험에서 myristicin이 ovalbumin(OVA)으로 유도한 천식(asthma) 생쥐모델에서 Th1,Th2 싸이토카인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회수하여 백혈구의 수적 변화, 제2형 협조T세포(Th2 cell)가 생산하는 IL-4, IL-5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폐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OVA로 감작하여 천식을 유도한 실험군에서는 호산구의 현저한 증가, Th2 형 싸이토카인(IL-4, IL-5)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myristicin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OVA의 감작에 의하여 증가한 각종 염증성 지표들이 감소하거나 정상화 되었다. 또한 OVA에 의하여 증가된 기도저항성이 myristicin 투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폐조직의 염증성 소견도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myristicin이 천식의 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및 취나물(Aster scaber)이 첨가된 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Enhancing Effect of Pteridium aquilinum and Aster scaber Added Doenjang on Immunomodulatory Activity)

  • 성낙윤;안은주;박원종;박우용;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45-451
    • /
    • 2016
  • 본 연구는 고사리 및 취나물과 같은 산채가 첨가된 된장 및 일반 된장의 면역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세포인 대식세포와 적응면역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비장세포에 각각 산채첨가 된장 추출물(WPDJ) 및 일반 된장(DJ) 추출물을 처리하여 각각의 면역세포의 세포증식률과 사이토카인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WPDJ 및 DJ를 125, 25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두 추출물 모두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WPDJ 처리구에서 더 높게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마우스 비장에서 유리된 비장세포에 WPDJ 및 DJ를 125, 25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Th1 type의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gamma}$의 분비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알레르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h2 type의 사이토카인인 IL-4의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채를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은 일반 된장보다 면역 활성을 더 높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의 예후 지표로서 혈청 IFN-γ, IL-5 및 ECP치와 흉부 방사선 소견의 의의 (The Significances of Chest X-ray Findings and Serum IFN-γ, IL-5, ECP as Predictors of Prognosis of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in Infants)

  • 조수현;이현승;이미희;이준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30-235
    • /
    • 2003
  • 목 적 :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은 흉부 X-선 사진으로 감별되며 세기관지염은 과팽창(hyperinflation)이 중요한 소견으로서 이는 기관지 천식의 흉부 X-선 사진 소견과 유사하다. 세기관지염에 이환된 환아는 향후 기관지 천식을 앓을 가능성이 높다. 기관지 천식은 Th1보다는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되며, 이러한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한 영아의 하기도 질환은 그렇지 않은 하기도 질환보다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Th1과 Th2 cytokine인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를 관찰하여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면역 병태 생리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봄으로써 영아 하기도 질환의 흉부 X-선 사진상의 차이가 향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세 미만의 영아로서 흉부 X-선 사진상 세기관지염 그리고 기관지 폐렴 환아 21명을 실험군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증거가 없는 영아 1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의 혈청에서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CP치를 측정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 1) IL-5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2, P=0.042)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각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IFN-{\gamma}$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또한 기관지 폐렴에서 세기관지염에서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나 역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ECP치는 세기관지염에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ECP치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 모두에서도 IL-5와 ECP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영아 하기도 질환 환아의 혈청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알레르기 염증지표(IL-5, ECP)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 IL-5와 $IFN-{\gamma}$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어 이 두 질환의 면역 병태 생리에 Th1, Th2 림프구의 선별적 관여를 증명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흉부 X-선 사진 양상의 차이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영아 하기도 질환이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 것 같지 않았다.

RBL-2H3 세포에서 Hesperidin의 Th2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Hesperidin on Th2-associated Cytokines Expression in RBL-2H3 Cells)

  • 정화현;김순례;표명윤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4-109
    • /
    • 2013
  • Hesperidin (HES), a flavonone glycoside isolated from the citrus fruits such as lemons and oranges, has been reported to have many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llergy activiti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action of HES modulating Th2-associated cytokines such as IL-4 and IL-13 expression in PMA/ionomycin (PI)-stimulated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The production of IL-4 and IL-13 was quantified by ELISA and the mRNA expression was detected by using RT-PCR assay. In addition,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cytokine expression. We found that HES significantly decreased PI-induced IL-4 and IL-13 productions and also decreased the level of mRNA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transcription factors implied that HES down-regulated the protein level of c-Jun and c-Fos, which are the activating protein 1 (AP-1) family an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characterized as a transcription factors related to the Th2-associated cytokine expression. Taken together, our data showed that the action of HES responsible for antiallergy activities is based on suppression of Th2-associated cytokines through inhibition of AP-1 and NF-${\kappa}B$ transcription factors.

Effects of MOK, a pharmacopuncture medicine, on the TH1/TH2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tion in Con A-stimulated primary mouse splenocytes

  • Hwang, Ji Hye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39-48
    • /
    • 2017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oxidant effect of MOK, a pharmacopuncture medicine, in concanavalin A (Con A)-stimulated mouse splenocytes. Methods : Primary splenocytes were isolated from ICR mice. The splenocytes were treated with MOK extract (1.25, 2.5, 5, 10, and 20 mg/mL)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Con A (200 ng/mL) for the indicated times. Cell viability of the splenocytes was measured using an MTT assay. The mRNA expression of Th1/Th2 cytokines ($IFN-{\gamma}$, IL-4, IL-10, and Foxp3) and antioxidant enzymes (HO-1 and MnSOD) was measured by RT-PCR. Results : Addition of MOK extract at 2.5, 5, and 10 mg/mL in Con A-stimulated splenocyt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FN-{\gamma}$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4, IL-10, and Foxp3 mRNA. MOK extract also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HO-1 and MnSOD in splenocytes. Conclusion : MOK extract modulated the Th1/Th2 immune response via the regulation of cytokine levels in splenocytes and exerted an antioxidant effect via the upregulation of antioxidant proteins.

면역결핍 동물모델에서 울금 주정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urcuma longa L. Extract in LP-BM5 Murine Leukemia Viruses-induced Murin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김옥경;유선아;남다은;김용재;김은;전우진;황권택;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17-13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울금 20% 주정 추출물이 LP-BM5 MuLV에 감염된 MAIDS 모델에서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ytokines 생산, 혈장 면역글로불린 농도, T 세포 및 B 세포의 증식능, NK 세포의 활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BM5 MuLV 감염으로 인하여 감소된 T 세포 및 B 세포의 증식능, NK 세포의 활성능을 울금 20% 주정 추출물 식이 투여가 증가시켰으며, Th1 type cytokines(IL-2, IFN-${\gamma}$)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Th2 type cytokines(IL-4, IL-10)은 억제시킴으로써 Th1/Th2 type cytokine 발현을 조절하여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울금은 면역조절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e inhibitory effects of Gami-Phedoc-San on TNF-α, IL-1β and IFN-γ secretion from human monocytes

  • Kim Mi-Sun;Lee Eun-Hee;Choung Se-You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41-46
    • /
    • 2002
  • In our study, the several cytokines were determined in phytohaemagglutinin (PHA)-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f Adamantiades-Behcets patients. Adamantiades-Behcets disease (ABD) is a systemic inflammatory disorder and might involve immune dysfunction. High levels of $TNF-\alpha,\;IL-1\beta$ and $IFN-{\gamma}$ indicate the activation of inflammatory reactions and immune system in ABD. Gami-Phedoc-San (GPS) is an Oriental herbal medication, which has been used in Korea for the treatment of ABD. GPS (1 mg/ 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and\;IL-1\beta$, compared to absence of GPS (by $50.5{\pm}1.9%$ inhibition for $TNF-\alpha$ and $106.9{\pm}16.8%$ for $IL-1\beta$). GPS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FN-\gamma$, immunoregulatory Th1 cytokine, by $78.4{\pm}2.8%$. The inhibitory effects of GPS on cytokine secretion showed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pre-treatment of 1 mg/ml GPS had better effects than immunosuppressive drug for treatment of ABD, cyclosporin A. Our results suggest that GPS treatment for ABD patients might hav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the cytokine mod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