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Evalua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1초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권유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7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영어 교재 분석 평가의 사례 (A case study of ELT textbook analysis)

  • 김정민;김해동;박종헌;유재신;이길영;이충현;장수현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233-25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atic way of evaluating competing ELT textbook series. Three stages of evaluation procedures were employed: A sample of two sets of English textbook series for young learners were first analysed by five trained textbook evaluators using a checklist.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evaluative discussion was carried out. Third, two independent evaluators conducted impressionistic evaluation on the series. The procedure employed in this materials evaluation process can be adapted in choosing series of textbooks. Since not many studies have dealt the evaluation of textbook series by multiple evaluators,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and applied by materials evaluators in other contexts.

  • PDF

과학교과서와 그에 관련된 교수 학습자료의 활용 실태 조사 (On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 권치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8
    • /
    • 198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 new view of textbook which may contribute to the abolishment of the instruction mainly based on the only textbook and to the promotion of creativities of students. We first reviewed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foreign countries with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ractical use of them. In western countries the roles of traditional textbook has been changed. That is, various kinds of materials such as reading book, work-book, worksheet, experimental guidebook, filmstrips are used to raise effect of instruction besides of traditional type of textbook. Secondary, we identifi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ience textbook-view of textbook, textbook contents, practical use of textbook-through opinion survey administered to principals ak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Concerning the view of textbook, most teachers did not recognize textbook as an absolute materials. They thought that textbook contents could be taught reorganized according to their judgements. On the contr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follow contents of textbook as they are presented in it were approximately 30%. Further, more than 75% of them have seldom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except textbooks. In order to revise the problems of our present textbook as stated above, a new view of textbook should be established. We, above all, established 4 basic premises for searching a new view of textbook. 1) Textbook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only material but as being at the center of various teaching -learning materials. 2) The importance of textbook should be illustrated Among Curriculum, textbook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struction and evaluation. 3. Textbook contents should not be regarded as definitely fixed or absolute ones. 4. Human being can understand environment more fully by commanding his swnsory organ multilaterally. Under these premises we disscussed about curriculum and textbook, textbook, and instruction, akd evaluation method.

  • PDF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 탐구 실험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Inquiry Scopes in High School General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6th Curriculum - Emphasizing the Analysis of Inquiry Experiment -)

  • 박원혁;김은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8-541
    • /
    • 1999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중 탐구실험을 중심으로 과학탐구 평가표(SIEI)를 사용 하여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공통과학 4종의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평균 횟수는 115.5회로 나타났고, 교과서별 비교에서 B교과서가 147회로 가장 많고, D교과서가 121회, C교과서가 100회, A교과서가 94회로 가장 적어 교과서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탐구활동 영역별 횟수는 관찰이 22회, 실험이 117회, 자료해석이 196회, 조사가 64회.. 토의가 51회, 분류가 4회 그리고 예상이 8회로 개념적 탐구 활동이 탐구실험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이 나타났다. 탐구과제수는 A교과서가 268개, B교과서가 328개, C교과서가 207개 그리고 D교과서가 304개로 C교과서가 가장 적었다. 탐구활동의 구조적 분석 중 경쟁/협동구조의 평가에서 공동과제, 조별결과가 87.1%, 토론구조평가에서 토론이 없는 활동이 83.5%, 탐구자유도 평가에서 문제, 방볍, 답이 모두 제시된 탐구활동이 58.3%, 탐구영역평가에서 교과내용의 증명이나 시범활동이 66.9%로 이들이 각 평가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통과학4종의 교과서에 대한 탐구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탐구피라미드 구조는 모두 형태 I 구조를 나타내었고, 탐구지수는 평균 47.8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 PDF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Inquisitive Tendenc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 이재호;전상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15-62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교과서별로 탐구적 성향이 높은 분석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였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는 활동이었다. 교과서간 평가지수의 편차가 가장 큰 분석요소는 자료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재 평가 연구 (A Study of Evaluating the KSL Textbook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 장경숙;구영산;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교재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교재평가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한국어교재를 평가할 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학교에서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32명의 한국어 교사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도구에 제시된 51개의 세부 기준에 따라 교재의 내적 외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어휘의 반복적 사용, 문화에 대한 내용 확대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한국어교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표준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한국어 교원의 교재평가 전문성 제고, 평가 결과 기반 교재 선정 및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 연구 -6차 교육과정 중심- (Textbook Analysis on Practical Arts for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6th curriculum-)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0
    • /
    • 1997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 on practical arts for the 6th curriculum, to grasp the content problems and to propose the strategy of reformation to be satisfied with consumer better than supplier. The data collected from 196 elemantary school teachers who lived in Gyungsang-namdo and analized by SPSS/PC(sup)+ package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y, descriptives, validity, t-test,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textbooks on practical art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s showed unbalanced division for picture, figure, table unite and evaluation type of all units doesn’t show diversity. 2.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s on practical art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3rd grade textbook and the lowest for 6th grade one. Among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differentiation with other subject’and ‘usefulness of living’showed high scores, wheres ‘fitness of child level’marked lowest scor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idity contents of teachers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 PDF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활동중심의 식생활 교재 및 지침서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for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21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ietary life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for creativ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iddle grade. First, we extracted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from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and created systematization of contents involving educational objectives, goals, contents an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were based on systematization of contents. The textbook was composed of five major chapters, which were 'nutrition', 'cooking', 'environment and hygiene', 'food' and 'dietary culture'. Each major chapter having six to seven smaller chapters, adding up to a total of 34 smaller chapters. The textbook was in activity format so that can be readily and directly used in actual classes. The textbook had fun characters and various activities (particularly a lot of cooking activities) to deliver the main theme of each chapter. The teaching manual was composed of background, goal, teaching plan and teaching point. The smaller chapters had learning goal, teaching-learning resources, important points,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reference material. In evaluation after operating the model school, the developed textbooks were suited for students' needs and cognitive level. This textbook can be utilized at creative activities consisting of ten to fifteen students.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정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용 단계 평가 체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Stage of Use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National Textbook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 신서영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48-67
    • /
    • 2021
  • 본 연구는 국정도서로 개발되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국정도서의 질 관리 체제를 개발단계와 사용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다음, 사용 단계의 질 관리 체제로서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평가체제 구축과 관련한 설문을 배포하고 그 중 설문에 참여한 15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교육과정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점이었으며, 사용 단계의 교과서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평균 4.02로 만족도보다 높았다.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에 있어서, 평가의 주체는 교사(98.7%), 독립된 플렛폼 구축(62.2%), 정기평가(49.4%), 척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혼합한 문항(50.6%)을 선호하였다. 또 평가 결과는 '사용자로 인증된 사람에게만 공개(55.1%)', 평가 결과반영 시기는 '차기 교과서 개발 시'가 가장 많았다(41.0%).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사용 단계 평가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평가 플렛폼을 구축하되, '교과서 사용성'을 규명하여 간단하고 명료한 질문을 통해 교과서 사용자 모두가 부담없이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질관리위원회 조직을 통해 평가 결과의 수정반영 여부를 심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평가 플렛폼에 이미 개발된 교과서와 사용자인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사용-평가 통합형 플렛폼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선택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 최길수;김영주;이종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13
    • /
    • 2010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새로운 정보 교과서가 2010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뒤 중등학교로 점차적으로 확대 시행된다. 그러나 정보 교과서 선택을 위한 평가 관련 연구가 미미하며, 특히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의 제안을 연구 목표로 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평가 관련 연구들을 일반 교과서 선택 준거, 탐구성에 대한 교과서 분석법, 기존 중등 정보 교과서를 분석한 선행 연구로 나누어 분석한 뒤,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위한 선택 기준을 제안한다. 둘째, 제안된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과 타 평가준거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정보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제안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서의 선정에 도움을 주고, 향후 정보 교과서의 평가 연구를 위한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